김우진 (양궁 선수)
김우진(金優鎭,[1] 1992년 6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이다. 2016, 2020, 2024 올림픽에 참가하여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하계올림픽에서는 양궁 혼성 단체전에서 임시현과 함께 금메달을 획득하고,[2][3] 양궁 남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기록하며 대회 3관왕[A]이 되었다.[4][5]
| ||||||||||||||||||||||||||||||||||||||||||||||||||||||||||||||||||||||||||||||||||||||||||||||||||||||||||||||||
---|---|---|---|---|---|---|---|---|---|---|---|---|---|---|---|---|---|---|---|---|---|---|---|---|---|---|---|---|---|---|---|---|---|---|---|---|---|---|---|---|---|---|---|---|---|---|---|---|---|---|---|---|---|---|---|---|---|---|---|---|---|---|---|---|---|---|---|---|---|---|---|---|---|---|---|---|---|---|---|---|---|---|---|---|---|---|---|---|---|---|---|---|---|---|---|---|---|---|---|---|---|---|---|---|---|---|---|---|---|---|---|---|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당시의 김우진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Kim Woo-jin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생일 | 1992년 6월 20일 | (3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 |||||||||||||||||||||||||||||||||||||||||||||||||||||||||||||||||||||||||||||||||||||||||||||||||||||||||||||||
키 | 180 cm | |||||||||||||||||||||||||||||||||||||||||||||||||||||||||||||||||||||||||||||||||||||||||||||||||||||||||||||||
몸무게 | 95 kg | |||||||||||||||||||||||||||||||||||||||||||||||||||||||||||||||||||||||||||||||||||||||||||||||||||||||||||||||
스포츠 | ||||||||||||||||||||||||||||||||||||||||||||||||||||||||||||||||||||||||||||||||||||||||||||||||||||||||||||||||
국가 | 대한민국 | |||||||||||||||||||||||||||||||||||||||||||||||||||||||||||||||||||||||||||||||||||||||||||||||||||||||||||||||
종목 | 양궁 | |||||||||||||||||||||||||||||||||||||||||||||||||||||||||||||||||||||||||||||||||||||||||||||||||||||||||||||||
세부종목 | 리커브 | |||||||||||||||||||||||||||||||||||||||||||||||||||||||||||||||||||||||||||||||||||||||||||||||||||||||||||||||
소속팀 | 청주시청 | |||||||||||||||||||||||||||||||||||||||||||||||||||||||||||||||||||||||||||||||||||||||||||||||||||||||||||||||
코치 | 홍승진 | |||||||||||||||||||||||||||||||||||||||||||||||||||||||||||||||||||||||||||||||||||||||||||||||||||||||||||||||
세계 랭킹 | ||||||||||||||||||||||||||||||||||||||||||||||||||||||||||||||||||||||||||||||||||||||||||||||||||||||||||||||||
리커브 | 5위(2021년 7월 15일) | |||||||||||||||||||||||||||||||||||||||||||||||||||||||||||||||||||||||||||||||||||||||||||||||||||||||||||||||
메달 기록
|
김우진 | |
---|---|
한글 표기: | 김우진 |
한자 표기: | 金優鎭 |
개정 로마자 표기: | Gim Uji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im Uchin |
예일 표기: | Kim Wucin |
공식 로마자 표기: | Kim Woo-jin |
국제 음성 기호: | [ki.mu.dʑin] 또는 [kim] [u.dʑin] |
2016년 72발 랭킹 라운드에서 700점을 기록하며 2019년 미국의 브레이디 엘리슨이 702점을 기록하며 세계 신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세계 신기록을 가지고 있었고 2024년 8월 기준, 올림픽 기록 보유자이다.[6]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 3관왕을 하며 개인 통산 5개[B]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이에 따라 대한민국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C]가 되었다.[4][5]
선수 경력
편집충북체육고등학교 재학 중 광저우에서 열리는 2010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예선전에서 1387점을 기록하며 오진혁 선수의 종전기록인 1386점을 넘어 세계신기록을 기록했다.[7] 임동현, 오진혁 선수와 함께 단체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개인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2관왕을 달성하였다.[8] 대회 후 인터뷰에서 그는 201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와 런던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따고 싶다고 말했다.[9] 이후 201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단체전과 개인전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1년 대한양궁협회 선정 올해의 양궁 선수에 선정되었다. 그러나 2012년 하계 올림픽 대표팀에는 합류하지 못했다.[10][11]
2015년 다시 대표팀에 합류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2] 개인전에서 한 선수 2번 우승은 1985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13] 이후 2016년 올림픽에도 대표팀에 합류하며 생애 처음으로 올림픽 대회에 출전하였다.[14] 예선전 랭킹라운드에서 700점을 기록하며 임동현의 기존 기록인 699점을 넘어 세계신기록을 달성하였다.[15] 구본찬, 이승윤과 함께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나 개인전에서는 32강전에서 인도네시아의 리아우 에가 아가타에게 패배하며 탈락하였다.[16][17]
도쿄 올림픽에도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김제덕, 오진혁과 함께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8] 이후 개인전 16강전에서 9발 모두 10점을 기록하여 8강전에 진출하였지만 8강전에서 중화 타이베이의 탕즈쥔 선수에게 6-4로 패배하며 결승전 진출에는 실패하였다.[19][20] 도쿄 올림픽부터 양궁 종목에 심박수 중계가 도입되었는데 16강전에서 그의 심박수가 매우 낮게 나와 화제가 되었다.[21][22]
2024년 하계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참가하였으며, 양궁 남자 단체전에서 김제덕, 이우석과 함께 금메달을 획득, 올림픽 3연패를 기록하였다.[23][24] 양궁 혼성 단체전에서는 임시현과 함께 금메달을 획득,[2][3] 양궁 남자 개인전에서 미국의 브레이디 엘리슨에게 승리해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3관왕[D]이 되었다.[4][5] 그는 양궁 남자 개인전에서 자신의 5번째 금메달을 획득하며 김수녕, 진종오, 전이경을 넘어 올림픽 금메달을 가장 많이 획득한 대한민국 선수가 되었다.[25]
개인사
편집그의 좌우명은 '계산하지 말자' 이며 2011년 8월 23일 청주야구장에서 시구자로 나와 시구를 했다.[9][26] 2021년 12월 4일 심민지와 결혼했고 2022년 7월 아들 김주원이 태어났다.
수상 내역
편집수훈
편집- 체육훈장 청룡장(2022년 10월 14일)
출신 학교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내용
- ↑ 김우진 선수의 양궁 3관왕은 2020 안산, 2024 임시현에 이어 세 번째이다.[4]
- ↑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 금메달, 도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 파리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 금메달, 파리 올림픽에서 3관왕(양궁 남자 단체전·양궁 혼성 단체전·양궁 남자 개인전)
- ↑ 대한민국 선수 중 올림픽 금메달을 4개 이상 기록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금메달의 개수이다.[→하계: 양궁 김우진(5), 양궁 김수녕(4), 사격 진종오(4),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전이경(4)][5]
- ↑ 김우진 선수의 양궁 3관왕은 2020 안산, 2024 임시현에 이어 세 번째이다.[4]
출처
- ↑ “2010년 아시아 경기대회 대한민국 선수단 편람” (PDF). 대한체육회. 2016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안홍석 (2024년 8월 3일). “[올림픽] 임시현·김우진, 양궁 혼성전도 금메달…'3관왕 보인다!'(종합)”.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파리). 2024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염혜원 (2024년 8월 3일). “양궁 혼성 단체 김우진·임시현 독일 꺾고 금메달”. 《YTN》. 네이버 뉴스(보존). 2024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안홍석 (2024년 8월 4일). “[올림픽] 한국양궁, 사상 첫 5종목 석권…김우진 통산 최다 금메달 신기록(종합)”.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파리). 2024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김진엽 (2024년 8월 4일). “'명불허전 한국 양궁' 8년만에 전 종목 석권…韓 10번째 금메달 달성[파리 2024]”. 《뉴시스》. 네이버 뉴스(보존) (파리). 2024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4일에 확인함.
- ↑ “BRADY ELLISON BREAKS WORLD RECORD WITH 702-POINT QUALIFICATION AT PAN AMERICAN GAMES”. World Archery. 2019년 8월 7일. 2020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아시안게임> 김우진 "세계신에 들뜨지 않겠다"”. 《연합뉴스》. 2010년 11월 20일.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김현길 (2010년 11월 24일).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녀 양궁 싹쓸이… 김우진 피날레 金”. 《국민일보》.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양궁 2관왕 김우진 "런던 올림픽에서도 우승하고 싶다"”. 《스포츠월드》. 2010년 11월 24일.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이건 (2012년 2월 15일). “김우진, 양궁 올해의 선수 2연패”. 《스포츠조선》.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권혁진 (2012년 5월 7일). “김우진 탈락…런던행 궁사 6명 확정”. 《뉴시스》.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이종길 (2018년 9월 13일). “김우진, 난적 엘리슨 제치고 세계선수권 2관왕”. 《아시아경제》.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Liew, Jonathan (2012년 7월 27일). “London 2012 Olympics: South Korean archers secure first two world records of London 2012”. 《The Daily Telegraph》.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 ↑ 이종석 (2016년 4월 20일). “4년 절치부심… 양궁 김우진 리우행 태극마크”. 《동아일보》.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Rio 2016: South Korean archer Kim Woo-jin sets first world record of Games”. 《BBC Sport》.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 ↑ “Rio Olympics 2016: South Korea beat USA to win archery gold”. 《BBC Sport》. 2016년 8월 8일에 확인함.
- ↑ Wells, Chris. “#1 Seed Kim Suffers Shock 2nd-Round Defeat in Rio”. 《World Archery》. 2016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안홍석 (2021년 7월 26일). “[2보] 양궁, 또 올림픽 금메달 쐈다…남자 단체전 2연패”. 《연합뉴스》.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김우진, 9발 모두 10점으로 남자 양궁 개인전 8강 진출”. 《YTN》. 2021년 7월 31일.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안홍석 (2021년 7월 31일). “-올림픽- 양궁 전종목 석권 무산…김우진 8강서 '대만 김제덕'에 패배(종합)”. 《연합뉴스》.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박지혜 (2021년 7월 30일). “안산, '슛오프'에도 심박수 108bpm...'강철 멘탈' 자랑”. 《이데일리》.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최선을 (2021년 7월 31일). ““기계가 이상해” 김우진 심박수 70bpm대에도 ‘텐텐텐’(종합)”. 《서울신문》.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안홍석 (2024년 7월 30일). “[올림픽] 한국양궁, 남자 단체전도 금메달…남녀 동반 3연패 쾌거(종합)”.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파리). 2024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권혁준 (2024년 7월 30일). “남자 양궁도 단체전 금메달…프랑스 꺾고 3연패 금자탑(종합)[올림픽]”. 《뉴스1》. 네이버 뉴스(보존) (파리). 2024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이헌재, 임보미 (2024년 8월 5일). “최후의 한발 4.9㎜차 승리… 김우진, 한국 첫 金 5개 ‘신화’”. 《네이버 뉴스》. 동아일보. 2024년 8월 6일에 확인함.
- ↑ 조병관 (2011년 8월 23일). “[포토] 양궁 김우진 '활로 쏘면 스트라이크 자신 있는데...'”. 《스포츠조선》. 2021년 7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