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서
김태서(金台瑞, ? ~ 1257년 6월 10일)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문하시랑평장사 김봉모(金鳳毛)의 아들이며, 김경손(金慶孫)의 아버지이다. 시호(諡號)는 문장(文莊)이다.
생애
편집김태서(金台瑞)의 경주[1]사람으로 세계는 신라 왕실에서 나왔다.[2]
아버지 김봉모(金鳳毛)는 용모와 태도가 아름다웠고, 여진어와 한어에 통달하여 매번 금(金)의 사신이 오면 반드시 그에게 접대하게 하여, 항상 동각에 거처하였다. 신종때 추밀원부사에 임명되고 여러 번 벼슬이 올라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르러 죽으니, 사흘 간 조회를 멈추었다. 시호를 정평(靖平)이라 하였다.[3]
과거에 급제한 후 명종(明宗)·신종·희종(熙宗)·강종(康宗)·고종(高宗)의 다섯 왕을 섬겼으며[3], 1232년(고종 19)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문과의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문진(文振) 등 31명에게 급제를 준.[4] 이후, 관직이 수태보 문하시랑평장사(守太保 門下侍郞平章事)에까지 올랐다가, 나이를 이유로 치사(致仕) 하였다.[3]
그 뒤에 '오승적(吳承績)의 사건에 연좌'되어 집이 적몰(籍沒)되었으며, 1257년(고종 44) 졸하였다.
인품·일화
편집그는 비록 유학을 업으로 삼았지만 글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성품이 탐욕스럽고 비루하여 남의 토전(土田)을 무리하게 빼앗으니, 매번 출입할 때마다 사람들이 길을 막고 호소하며 말하기를,
“ | “공(公)께서는 어찌하여 우리들의 생계를 빼앗습니까?”라고 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