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오징어

북대서양, 뉴질랜드, 북태평양 등지에서 발견되는 오징어

대왕오징어(大王오징어, 영어: giant squid)는 북대서양, 뉴질랜드, 북태평양 등지에서 발견되는 오징어이다. 학명은 Architeuthis dux(Steenstrup, 1857)이다. Architeuthis는 지배하는 오징어라는 뜻이다. 연체동물문의 두족강, 오징어목, 대왕오징어과에 속한다.

대왕오징어속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연체동물문
강: 두족강
목: 살오징어목
아목: 개안아목
과: 대왕오징어과
(Architeuthidae)
Pfeffer, 1900
속: 대왕오징어속
(Architeuthis)
Steenstrup in Harting, 1860

학명이명

Architeuthus (Steenstrup, 1857)
Dinoteuthis (More, 1875)
Dubioteuthis (Joubin, 1900)
Megaloteuthis (Kent, 1874)
Megateuthis (Hilgendorf in Carus, 1880)
Megateuthus (Hilgendorf, 1880)
Mouchezis (Velain, 1877)
Plectoteuthis (Owen, 1881)
Steenstrupia (Kirk, 1882)
Architeuthis japonica (Pfeffer, 1912)

  • 본문 참조
대왕오징어속의 분포

발견된 표본에 따른 대왕오징어의 분포

크기는 12m~15m (39ft~50ft), 최대 20m (65ft), 몸무게 1톤의 대형종이며, 약 600~1,500m의 심해에 주로 서식한다. 덩치가 큰 오징어류가 다 그렇듯이 몸에 부력을 얻기 위한 염화 암모늄이 다량 포함되어있어 알싸한 맛이 나기 때문에 식용으로는 이용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대왕오징어 종의 수는 논의되어 왔지만, 최근 유전자 연구에서 한 종만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연 서식지에 있는 대왕오징어의 첫 번째 사진은 2004년 일본 팀에 의해 촬영되었다.

범위와 서식지

편집

대왕오징어는 전 세계의 바다에 널리 퍼져 있다. 일반적으로 북대서양 특히 뉴펀들랜드, 노르웨이, 북부 영국 제도, 스페인,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의 해양 섬, 남아프리카 주변의 남대서양, 일본 주변의 북태평양, 뉴질랜드호주 주변의 남서부 태평양 지역 근처에서 발견된다. 열대 및 극지방의 위도에서는 드물다. 대왕오징어의 수직 분포는 불완전하지만 추적된 표본과 향유고래의 잠수행태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대왕오징어가 300–1,000 미터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깊이에 걸쳐 있음을 시사한다.


생태

편집

먹이

편집

최근 연구에서 대왕오징어가 심해 물고기와 다른 오징어 종을 먹는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왕오징어는 두 촉수를 사용하여 먹이를 잡고, 끝에 톱니 모양의 빨판으로 먹이를 고정한다. 그러고 나서 대왕오징어는 먹이를 단단한 입으로 가져와서 식도에 닿기 전에 치설로 채 썬다.

대왕오징어는 어망에 개별로만 잡혔기 때문에 고독한 사냥꾼이라고 여겨진다. 뉴질랜드 해역에서 저인망어업에 의해 잡히는 대왕오징어의 대부분은 현지 남방대구어업과 관련이 있지만, 남방대구는 오징어의 먹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것으로 남방대구와 대왕오징어가 같은 동물을 잡아먹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타

편집
  • 노르웨이어로 '무서운 바다 괴물'이라는 뜻의 크라켄의 실체는 대왕오징어인 것으로 추측된다.
  • 대왕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들은 몸에 산소가 많이 필요한데, 대왕오징어는 심해에 살아서 산소를 얻기가 힘들다. 그래서 대왕오징어는 몸에서 산소를 효율적으로 뽑아 낼 수 있는 혈색소를 가지고 있고, 일반 두족류들보다 신진대사 활동이 느리다.
  • 대왕오징어는 긴 세모꼴의 몸통 아래에 눈이 달린 머리 부분이 있다. 농구공만 한 크기의 두 눈은 지름이 30~40cm에 달하는데, 이 크기는 지구상의 동물들의 눈 중에서도 가장 큰 크기이다. 머리 아래에 붙어 있는 열 개의 다리 중 다른 것에 비해 유난히 긴 두 개의 촉완는 사냥이나 교미에 사용된다. 다리들이 모이는 머리 가운데에는 앵무새 부리처럼 생긴 입이 있다.
  • 이동할 때는 머리 옆이나 다리 근처에 있는 물을 뿜는 관으로 몸 안의 물을 강하게 배출,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몸이 앞으로 튀어 나가게 된다. 이때 몸을 최대한 길게 늘려 가장 저항이 적은 유선형으로 만들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 대왕오징어는 향유고래태평양슬리퍼상어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향유고래에게 잡혔는데 향유고래가 다시 물 위로 올라가는 상황을 틈타 위기에서 벗어나는 일도 있다고 한다.
  • 대왕오징어는 현존하는 모든 무척추동물 중에서 두 번째로 큰 연체동물이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