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시철도 2호선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대전 도시철도 2호선(大田 都市鐵道 2號線)은 대전광역시의 두 번째 도시 철도 노선이다. 진잠동 ~ 서대전역 ~ 동부네거리(대전복합터미널) ~ 정부청사 ~ KAIST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 ~ 도안신도시 ~ 관저동을 경유하는 38.8km의 순환형 노선이다. 계획대로 개통되면, 대전 트램은 세계에서 길이가 가장 긴 트램이 될 예정이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대전 도시철도 |
상태 | 공사중 |
기점 | 서대전역 (본선) 중리역 (연축지선) 관저4역 (진잠지선) |
종점 | 서대전역 (본선) 연축역 (연축지선) 진잠역 (진잠지선) |
역 수 | 45 |
개통일 | 2028년 12월 (예정) |
소유자 | 대전광역시청 |
운영자 | 대전교통공사 |
차량 기지 | 연축차량사업소 |
사용 차량 | 대전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노면전차)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38.8 km |
전철화 | 전 구간 |
웹사이트 | 대전트램 홈페이지 |
노선 개요
편집2012년 11월 21일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어 대전광역시는 설계를 끝낸 뒤 착공해 2020년부터 2호선을 운행한다는 구상이었으나, 기종이 노면전차로 변경되면서 착공시기가 늦춰지게 되었다.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다. 2024년 9월에 착공했고,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대전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순환선과 정거장 45개소, 차량기지 1개소로 건설될 예정이다.
특징
편집2호선은 총연장이 38.8km로 5개 자치구(동구·중구·서구·유성구·대덕구)를 순환하며, 세계에서 길이가 가장 긴 노면전차(트램) 노선이다.[1]
연혁
편집- 2001년 9월: "제1차 대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교통개발연구원이 연구용역에서 대전 2호선(순환선) 건설을 제안
- 2001년 12월: 제1차 지방5대도시권 광역교통5개년계획(2001/12, 건설교통부)에 완공목표 미정으로 포함
- 2003년 12월 15일: 교통개발 연구원의 의뢰에 따라 대전시청에서 대전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및 노선 재검토가 결정
- 2003년 6월 22일: 건설교통부 고시에 의거, 2호선 경전철 건설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 신청
- 2003년 11월: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선정
- 2003년 12월: 한국개발연구원의 의뢰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 착수
- 2006년 12월: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B/C(비용대비편익) = 0.73, AHP(종합분석) = 0.312로 경제성이 낮게 평가
- 2011년: 계획이 변경되어 1호선과 x축으로 건설하려 했던 2호선은 신탄진을 통과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구축사업이 확정됨에 따라 원안인 순환형을 재검토
- 2012년 11월 21일: 한국개발연구원, 대전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 분석 결과 B/C(비용대비편익) 0.91, AHP(종합분석) 0.508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2]
- 2013년: 민관정위원회에서 자기부상열차로 추진하기로 결정, 지상고가 방식과 노면 방식 모두 반대 의견이 있기에 여론 수렴
- 2014년 4월 16일: 염홍철 시장, 자기부상열차로 기종 발표[3] 및 자양로 등 일부 난구간은 지하화로 확정
- 2014년 12월 4일: 민선 6기 새로 취임한 권선택 시장의 공약에 따라 트램으로 기종 변경을 발표
- 2016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 시범노선인 스마트트램의 건설 계획과 노선 계획 발표[4]
- 2019년 1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됐다. 따라서 건설 및 향후 일정에 청신호가 켜졌다.[5]
- 2020년 12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발주 및 착수했다. 2022년까지 설계를 끝내고, 착공할 예정이다. 원래 목표 준공 기한은 2025년이었으나 코로나-19 등으로 계획이 미뤄져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고 한다.
- 2021년 5월 26일: 대전광역시에서는 노선 일부를 변경하여, 대전역을 경유하기로 하였다.[6]
- 2021년 12월 13일: 대전시가 "충남대역 - 유성구청역 - 한국과학기술원역 - 엑스포과학공원역" 갑천변 정류장들을 도로 중앙이 아닌 광장 형태로 건설하는 방안을 연구하기 시작한다. "국립중앙과학관 - 대전신세계"라고 발표해서, 엑스포과학공원역 계획이 두 역으로 분리되는 것이냐는 추측을 낳았다.[7]
- 2022년 2월 21일: 대전시가 법무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2월 내에 (대전 2호선의 진잠동 구간인) 대전교도소 이전을 협상하기로 했다.
- 2022년 2월 28일: 급전 방식을 가선+배터리 방식으로 공식 발표했다. 시간낭비 비판을 의식했는지 대신 정류장을 10곳 늘릴 예정임도 함께 발표를 했다.[8]
- 2022년 6월 17일: 대전광역시는 기본설계 결과 사업비가 기존 7,492억원에서 1조 4,837억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 기본계획의 변경 및 총사업비 조정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사업기간이 기존 2027년 개통에서 1년 지연된 2028년 개통으로 연장되었다.[9]
- 2023년 4월 23일: 완전 무가선 도입과 4개 구간 지하화 건설 등 이장우 시장이 취임한 후 수정 보완한 트램 건설 계획 예산이 중앙부처 심의를 최종 통과했다. 이로서 2024년 상반기 착공이 가능해졌다.[10]
- 2023년 9월 11일: 대전광역시가 실시설계 용역을 구간별로 시공사를 나눌 계획을 밝혔다.[11]
- 2024년 2월 1일, 대전광역시가 선거를 앞두고 거대양당에 "2호선 지선" 추진을 요청했다.
- 2024년 2월 4일, 대전광역시가 3월에 차량 제작을 발주한다고 발표했다. 총 38편성으로, 1편성당 5량이다. 또한 5월에 철도 노선, 정류장, 차량기지 건설도 발주한다. 처음엔 전용선으로, 정착 뒤엔 차도와 혼용을 할 예정이다.
- 2024년 3월 5일, 기재부가 대전시의 기본계획 변경을 승인했다. 예산 증액, 노선 변경, 정거장 추가, 일부 구간 지하화, 차량 수소트램으로 선정 등이 통과되었다. 또, 착공이 다시 미뤄져 9월 착공 예정으로 바뀌었다. 이로서 사전행정절차는 마무리되었으며, 실시설계는 4월까지 완료되며, 건설공사는 6월까지 발주된다.
- 2024년 4월 1일,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지선은 연축지구~회덕역 사이 1.22km 구간, 진잠네거리~교촌삼거리 0.81km 구간으로, 도심 접근성 향상을 위해 총사업비 345억원을 투입, 오는 2028년 트램 준공 시점에 맞춰 2호선과 동시 개통이 추진된다.
- 2024년 7월 1일, 대전광역시는 최대한 구간을 많이 나눠 14개로 분리 발주하며, 이 중 10곳은 300억원 미만으로 분리 발주해, 지역 업체 참여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 2024년 7월 25일, 대전광역시가 현대로템과 수소트램 34편성 차량제작을 위한 2,934억원 계약을 최종 체결해, 차량 제작에 돌입했다.
- 2024년 9월: 착공[12]
상세 노선
편집대전광역시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정거장 위치 자료[13]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역 위치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 사업계획 기준.[14]
본선
편집역 번호 | 역명 | 연계 교통 | 영업 거리 (km) | 위치 | 비고 | |
---|---|---|---|---|---|---|
201 | 서대전역 | 0.000 | 중구 | 오류동 | 지하역 | |
202 | 서대전4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0.480 | |||
203 | 대사 | 1.090 | 대사동 | |||
204 | 대흥 | 2.285 | ||||
205 | 인동 | 3.340 | 동구 | 인동 | ||
206 | 대전역(중앙시장) |
대전역: 경부고속선·경부선 |
4.168 | 원동 | ||
207 | 대전역(혁신도시) | 5.085 | 신안동 | |||
208 | 대동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5.885 | 대동 | ||
209 | 자양 | 6.625 | 자양동 | |||
210 | 가양 | 7.815 | 가양동 | |||
211 | 동부 | 대전복합터미널 | 8.800 | 용전동 | ||
212 | 중리 | 연축지선 | 9.430 | |||
213 | 한남대 | 10.140 | 대덕구 | 중리동 | ||
214 | 오정 | 충청권 광역철도 본선, 옥천지선 | 10.725 | |||
215 | 농수산물시장 | 11.830 | 오정동 | |||
216 | 둔산 | 12.815 | 서구 | 둔산동 | ||
217 | 샘머리공원 | 13.590 | ||||
218 | 정부청사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14.215 | |||
219 | 월평 | 14.874 | 월평동 | |||
220 | 만년 | 15.608 | 만년동 | |||
221 | 엑스포과학공원 | 16.390 | 유성구 | 가정동 | ||
222 | 카이스트 | 18.016 | 구성동 | |||
223 | 유성구청 | 19.229 | 어은동 | |||
224 | 충남대 | 20.144 | 궁동 | |||
225 | 유성온천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21.149 | 봉명동 | ||
226 | 상대 | 21.822 | 상대동 | |||
227 | 원골 | 22.378 | ||||
228 | 시립박물관 | 23.234 | ||||
229 | 목원대 | 23.845 | 용계동 | |||
230 | 용계 | 24.673 | ||||
231 | 대정 | 25.416 | 대정동 | |||
232 | 원앙 | 26.244 | 서구 | 관저동 | ||
233 | 관저4 | 진잠지선 | 27.099 | |||
234 | 관저 | 27.746 | ||||
235 | 가수원 | 28.505 | 가수원동 | |||
236 | 정림 | 29.810 | 정림동 | |||
237 | 복수 | 충청권 광역철도 | 30.810 | 도마동 | ||
238 | 도마 | 31.500 | ||||
239 | 유천 | 대전서남부터미널 | 32.260 | 중구 | 유천동 | |
240 | 유천4 | 32.790 | ||||
201 | 서대전역 | 서대전역: 호남선 (KTX·ITX-새마을·ITX-마음·무궁화호·충청권 광역철도) |
33.737 | 오류동 | 지하역 |
연축지선
편집역번호 | 역명 | 연계 교통 | 영업 거리 (km) | 위치 | 비고 | |
---|---|---|---|---|---|---|
212 | 중리 | 본선 | 0.000 | 동구 | 용전동 | |
241 | 법동 | 0.880 | 대덕구 | 중리동 | ||
242 | 동부여성가족원 | 1.700 | 법동 | |||
243 | 읍내 | 2.170 | 읍내동 | |||
244 | 연축 | 3.784 | 연축동 |
진잠지선
편집역번호 | 역명 | 연계 교통 | 영업 거리 (km) | 위치 | 비고 | |
---|---|---|---|---|---|---|
233 | 관저4 | 본선 | 0.000 | 서구 | 관저동 | |
245 | 진잠 | 1.143 |
차량
편집차량은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어 운행하는 수소 트램이며, 현대로템이 제작을 맡게 된다. 대전시가 도입할 수소트램은 한 번 충전으로 2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며 완전 무가선 방식으로 건설되어, 도심 내 전력 공급선 설치가 필요 없으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므로 운행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정화, 대기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1] 현대로템은 2026년 하반기에 최초 1편성을 시작으로 2028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총 34편성을 제작, 납품할 예정이다.[15]
2024년 12월 11일 진행된 착공식에서 수소트램 디자인의 초안이 공개되었다. 전문과 자문, 시민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최종 디자인은 2025년 2월경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16]
논란
편집차종 선정 과정에 대한 논란
편집대전시민들은 1호선처럼 지하철로 건설할 것을 요구하였지만 지하철은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대전시가 충분한 국비를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상고가 방식으로 잠정 결정되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았고 통과되었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 등 일각에서 지상고가 방식이 도시 미관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노면 트램 방식을 주장하였고, 권선택 시장이 2014년 12월 4일 기존 자기부상열차 대신 트램으로 기종을 변경하겠다고 시민들에게 발표하였다. 노면 트램방식으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통과해야 하며 이를 골자로 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도 국토교통부 사업 승인까지 다시 통과되어야 한다.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되었다.
기타
편집한국개발연구원(KDI)은 2호선 건설 사업을 추진하면 생산 유발 효과 2조 4,590억 원과 부가가치 유발 효과 9,808억 원, 고용 유발 효과 1만 1,698명, 취업 유발 효과 1만 6,190명 등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였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세계 최장 대전 트램(38.8㎞)'...2028년 개통한다”. 중앙일보. 2024년 12월 11일.
- ↑ 대전도시철도 2호선 예타 통과, 한국일보, 2012년 11월 21일
- ↑ 대전도시철도2호선 '고가 자기부상열차' 확정, 뉴스1, 2014년 4월 16일
- ↑ 대전에 '노면전차' 놓인다…2개 시범노선 발표(종합), 연합뉴스, 2016년 4월 28일
- ↑ [예타면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표류 마침표…본궤도 올라, 연합뉴스, 2019년 1월 29일
- ↑ 도시철도 2호선 '대전역 경유' 노선 개선, 대전광역시청, 2021년 5월 26일
- ↑ 대전시 트램 정거장 특화 시도하나… 유동인구 고려한 대규모 광장형 정거장 ‘계획중’, 중도일보, 2021년 12월 12일
- ↑ 대전 도시철 2호선 트램 '유·무선 혼용' 추진, 한국일보, 2022년 2월 28일
- ↑ ‘백지화 위기’ 대전 트램, 첫 단추부터 잘못 뀄다, 충청투데이, 2022년 6월 20일
- ↑ 대전 트램, 내년 상반기 착공… 계획보다 6개월 빨라진다, 동아일보, 2023년 4월 24일
- ↑ 대전 트램 발주, 공구 세분화 관심 집중, 대전일보, 2023년 9월 11일
- ↑ “대전도시철도 2호선 9월 첫삽…총사업비 1조5천69억원(종합)”. 《연합뉴스》. 2024년 8월 29일. 2024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대전도시철도 2호선 정거장 상세 위치
-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고시 제2024-11호. 2024년 11월 29일. 대한민국관보(20884).
- ↑ “대전 수소트램 사업 본격화…"2028년 개통 목표 10월 첫삽"”. 《한국경제》. 2024년 8월 26일.
- ↑ “대전 숙원 도시철도2호선 수소트램, 28년 만에 첫 삽…3개 공구 순차적 착공”. 《세계일보》. 2024년 12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