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의 일종

(dill, Anethum graveolens)은 허브의 일종으로, 자라는 장소에 따라 여러해살이 허브, 한해살이 허브로 불린다. Anethum 속의 유일한 종이며, 시라(蒔蘿), 소회향(小茴香)으로도 부른다.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미나리목
과: 미나리과
속: 딜속
종:
학명
Anethum graveolens
L.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180 kJ (43 kcal)
7 g
식이 섬유2.1 g
1.1 g
3.5 g
비타민함량 %DV
비타민 A7717 (154%) IU
티아민 (B1)
9%
0.1 mg
리보플라빈 (B2)
25%
0.3 mg
나이아신 (B3)
11%
1.6 mg
판토테산 (B5)
8%
0.4 mg
비타민 B6
15%
0.2 mg
엽산 (B9)
38%
150 μg
비타민 B12
0%
0 μg
비타민 C
102%
85 mg
무기질함량 %DV
칼슘
21%
208 mg
철분
51%
6.6 mg
마그네슘
15%
55 mg
망간
62%
1.3 mg
9%
66 mg
칼륨
16%
738 mg
나트륨
4%
61 mg
아연
9%
0.9 mg
기타 성분함량
구리 6670.14 mg (7%)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방향 효과

편집

방향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독물학

편집

독물학 분야에서의 향균 작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쓰임새

편집

처음은 약간 자극적이지만 바로 단맛으로 변하는 딜은 오이, 생선, 감자요리와 잘 어우러진다.[8] 잎, 줄기, 씨앗, 꽃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생선이나 새우 등을 마리네이드 할 때나 소스를 만들 때 쓰인다.[8] 잎은 상쾌한 향을 살리기 위해 그대로 썰어 샐러드 등에 넣기도 한다.[8]

딜파우더는 통후추를 갈아서 사용하듯이 딜의 씨앗을 갈아서 사용한다.[8] 피클을 담글 때나 수프를 끓일 때 넣어 풍미를 더한다.[8]

각주

편집
  1. Bailer, J.; Aichinger, T.; Hackl, G.; de Hueber, K.; Dachler, M. (2001).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in commercially available dill cultivars in comparison to caraway”.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14 (3): 229–239. doi:10.1016/S0926-6690(01)00088-7. 
  2. Santos, P. A. G.; Figueiredo, A. C.; Lourenço, P. M. L.; Barroso, J. G.; Pedro, L. G.; Oliveira, M. M.; Schripsema, J.; Deans, S. G.; Scheffer, J. J. C. (2002). “Hairy root cultures of Anethum graveolens (dill): establishment, growth, time-course study of their essential oil and its comparison with parent plant oils” (PDF). 《Biotechnology Letters24 (12): 1031–1036. doi:10.1023/A:101565370126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Singh, G.; Maurya, S.; Lampasona, M. P.; Catalan, C. (2005). “Chemical Constituents, Antimicrobial Investigations, and Antioxidative Potentials of Anethum graveolens L. Essential Oil and Acetone Extract: Part 52”. 《Journal of Food Science70 (4): M208–M215. doi:10.1111/j.1365-2621.2005.tb07190.x. 
  4. Dhalwal, K.; Shinde, V. M.; Mahadik, K. R. (2008). “Efficient and Sensitive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Validation of Umbelliferone, Carvone and Myristicin in Anethum graveolens and Carum carvi Seed”. 《Chromatographia67 (1–2): 163–167. doi:10.1365/s10337-007-0473-6. 
  5. Blank, I.; Grosch, W. (1991). “Evaluation of Potent Odorants in Dill Seed and Dill Herb (Anethum graveolens L.)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Journal of Food Science56 (1): 63–67. doi:10.1111/j.1365-2621.1991.tb07976.x. 
  6. Delaquis, P. J.; Stanich, K.; Girard, B.; Mazza, G.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individual and mixed fractions of dill, cilantro, coriander and eucalyptus essential oil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74 (1–2): 101–109. doi:10.1016/S0168-1605(01)00734-6. PMID 11929164. 
  7. Jirovetz, L.; Buchbauer, G.; Stoyanova, A. S.; Georgiev, E. V.; Damianova, S. T. (2003). “Composition, Quality Contro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Long-Time Stored Dill (Anethum graveolens L.) Seeds from Bulgari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51 (13): 3854–3857. doi:10.1021/jf030004y. PMID 12797755. 
  8. 김희태, <<파스타>>, 랜덤하우스, 2010, 1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