눠쑤어
(롤로어에서 넘어옴)
더 넓은 의미의 이어에 대해서는 로로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눠쑤어(Nuosu, 이어: ꆈꌠ꒿, 중국어 간체자: 诺苏语, 정체자: 諾蘇語), 쓰촨 이어(중국어 간체자: 四川彝语, 정체자: 四川彝語), 량산 이어(중국어 간체자: 凉山彝语, 정체자: 涼山彝語), 로로어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윈난성 등지에서 거주하는 이족들이 사용하는 이어의 가장 큰 방언이다.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
사용 지역 | 쓰촨성 남부, 윈난성 북부 |
언어 인구 | 200만 명 (2000년) |
문자 | 이 문자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로로버마어군 로로어군 눠쑤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중화인민공화국 |
언어 부호 | |
ISO 639-1 | ii
|
ISO 639-2 | iii
|
ISO 639-3 | iii 눠쑤어
|
글로톨로그 | sich1238 (Sichuan Yi)[1] |
여러 로로어(이어) 중 가장 높은 지위를 가진 것으로서 중국 정부에 의해 표준 "이어"(彝語)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구어나 문어로 학교에서 교육되는 유일한 형태이다. 2000년 기준 약 2백만 명의 화자가 있었으며 1994년 추산 기준 60%가 단일 언어 화자였다.
자음
편집입술소리 | 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또는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평음 | 치찰음 | |||||||
비음 | 유성음 | m ⟨m⟩ | n ⟨n⟩ | ɲ ⟨ny⟩ | ŋ ⟨ng⟩ | |||
무성음 | m̥ ⟨hm⟩ | n̥ ⟨hn⟩ | ||||||
파열음/ 파찰음 |
선비음화 | ᵐb ⟨nb⟩ | ⁿd ⟨nd⟩ | ⁿdz ⟨nz⟩ | ᶯɖʐ ⟨nr⟩ | ᶮdʑ ⟨nj⟩ | ᵑɡ ⟨mg⟩ | |
유성음 | b ⟨bb⟩ | d ⟨dd⟩ | dz ⟨zz⟩ | ɖʐ ⟨rr⟩ | dʑ ⟨jj⟩ | ɡ ⟨gg⟩ | ||
무성음 | p ⟨b⟩ | t ⟨d⟩ | ts ⟨z⟩ | ʈʂ ⟨zh⟩ | tɕ ⟨j⟩ | k ⟨g⟩ | ||
유기음 | pʰ ⟨p⟩ | tʰ ⟨t⟩ | tsʰ ⟨c⟩ | ʈʂʰ ⟨ch⟩ | tɕʰ ⟨q⟩ | kʰ ⟨k⟩ | ||
지속음 | 무성음 | f ⟨f⟩ | l̥ ⟨hl⟩ | s ⟨s⟩ | ʂ ⟨sh⟩ | ɕ ⟨x⟩ | x ⟨h⟩ | h ⟨hx⟩ |
유성음 | v ⟨v⟩ | l ⟨l⟩ | z ⟨ss⟩ | ʐ ⟨r⟩ | ʑ ⟨y⟩ | ɣ ⟨w⟩ |
모음
편집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비원순모음 | 원순모음 | |||
마찰모음 | 이완음 | ⟨y⟩ /z̩/ | ⟨u⟩ /v̩ʷ/ | |
긴장음 | ⟨yr⟩ /z̠̩/ | ⟨ur⟩ /v̠̩ʷ/ | ||
고모음 | 이완음 | ⟨i⟩ /e̝/ | ⟨e⟩ /ɤ̝/ | ⟨o⟩ /o̝/ |
중저모음 | 긴장음 | ⟨ie⟩ /ɛ/ | ⟨uo⟩ /ɔ/ | |
저모음 | 긴장음 | ⟨a⟩ /a/ |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Sichuan Yi〉.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