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현의 역사

(류큐 처분에서 넘어옴)

류큐 열도의 역사는 석기시대부터 12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진 패총 문화의 뒤를 이어 류큐 열도의 각 섬에 구스쿠가 지어지고 호족인 안지들이 통치하기 시작한 구스쿠 시대, 섬의 세 곳이 성장하여 경쟁하게 된 산잔 시대(三山時代, 삼산시대)가 있었다. 1429년 쇼하시 왕류큐 열도를 통일하여 산잔 시대를 끝내고 류큐국을 세웠다. 류큐국은 명나라와 뒤를 이은 청나라, 일본, 조선 등과 교류하였으며 근세에 들어서는 네덜란드 등과도 교류하며 해양 문화를 꽃피웠다. 메이지 유신 이후 팽창주의 정책을 추진한 일본은 1879년 류큐국을 폐지하고 일본으로 편입하였다.

구스쿠 터 (세계유산)

일본의 지방자치체로 편입된 오키나와현은 이후 일본군의 군사 기지로서 제2차 세계대전을 겪었고 태평양 전쟁 당시 오키나와 전투 와중에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이 있었다. 특히 일본군은 이른바 옥쇄를 강요하면서 민간인에게 자결을 강요하였고, 전황이 극에 달했을 때에는 민간인 학살을 자행하기도 하였다. 전쟁 이후 미군은 오키나와에서 군정 통치를 하였고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을 통해 다시 일본 정부의 관할이 되었다. 전쟁 이후 오키나와의 주일 미군은 늘 지역 사회의 문제였고, 미군 철수를 원하는 지역 여론이 매우 높은 편이다.

2018년 오키나와현 지사 선거에서 미군 철수를 공약으로 내세운 다마키 데니가 당선되었다.[1]

선사 패총 문화

편집

오키나와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석기 시대의 일이다. 1967년 발굴된 미나토가와인(港川人)은 약 2만년 전에 류큐 제도에 살던 옛 인류의 유골이다. 각각 두 명의 남성과 여성의 유골이 발견되었다.[2]

한국의 빗살무늬 토기와 비슷한 소바타식 토기((曾畑式土器)가 발견되었고, 오랜 세월 동안 채집한 조개 껍질이 쌓여서 이루어진 조개무지인 패총이 특징적이다. 오키나와는 중국, 일본, 한반도의 여러 옛나라들과 교역할 때 류큐 제도의 조개 껍질을 가공한 특산물을 거래하였다.[3]

고대

편집

류큐국 시기인 1605년 만들어진 역사서인 《중산세감》에서는 하늘의 최고신인 아마미쿄가 오키나와섬을 만들고 부부인 신을 보내 살게 하였다고 한다. 이 부부는 삼남이녀를 낳았는데 장남은 국왕의 조상이 되었기애 왕가의 성씨가 천손(天孫)이 되었고, 차남은 제후의 조상, 삼남은 농민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장녀는 고위 신녀의 조상이고 차녀는 무녀(巫女)의 조상이다. 이 이야기는 한국의 단군신화나 일본의 개조신화와 같은 건국신화로서 류큐국이 스스로 독자적인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기록한 것이다.[4]

7세기 중국의 수나라 시기 역사를 기록한 《수서》(隋書)에는 〈권팔십일 열전 제사십육 동이전〉의 항목 가운데 유구국(流求國)의 항목이 있다.[5]

流求國,居海島之中,當建安郡東,水行五日而至。土多山洞。其王姓歡斯氏,名渴剌兜,不知其由來有國代數也。
유구국은 바다 한 가운데의 섬으로 건안군의 동쪽에 있으며 바닷길로 닷새가 걸린다. 왕의 성은 환시씨이고 이름은 갈랄도이다. 언제 왕국을 세워 몇 대를 지냈는 지는 알 수 없다.

산잔 시대

편집
 
산잔 시대 (三山時代):
  호쿠잔 (北山)
  츄잔 (中山)
  난잔 (南山)

오키나와에 대한 상세한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12세기 후반 이후의 일이다. 철기를 사용한 농업의 확장과 인구의 증가로 지역 호족인 안지들이 자신들의 아성인 구스쿠를 쌓고 저마다 장군 또는 왕을 자처하기 시작하였다. 오키나와가 역사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할 무렵 동아시아는 격변기였다. 중국은 남송이 쇠락하고 원나라가 중국 전역을 장악하던 시점이었고, 고려에서는 무신정변이 일어났고, 일본은 헤이안 시대가 끝나고 가마쿠라 막부가 시작되던 시점이었다.[6] 12세기 중반에서 13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 류큐 제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역은 각국의 정세로 인해 관리가 느슨하여 왜구와 같은 해적 행위가 문제가 되기도 하였지만, 그 이전 시기보다 무역량이 크게 증가한 시기이기도 하였다. 당시 류큐나 제주도는 주변 국가의 힘이 크게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었다.[7]:92 - 107

이러한 지역 정세 속에서 오키나와 섬의 안지들은 서로 경합하면서 자신들의 힘을 확장하였고 대외 무역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오키나와섬에서 발견된 계유년고려장인와장조(癸酉年高麗匠人瓦匠造)의 명문이 쓰인 기와 조각은 아직 류큐국이 세워지기 이전인 산잔 시대에 고려에서 수입된 것으로 당시 무역 상황을 짐작하게 한다.[8]

오키나와섬 안지들의 세력은 난잔(南山ㅡ 남산), 츄잔(中山,중산), 호쿠잔(北山,북산)의 셋으로 세력이 좁혀졌다. 이 시기를 산잔 시대(三山時代, 삼산시대)라고 한다. 1322년에서 1429년까지 약 1 세기 동안 이어진 산잔 시대에는 각 산의 안지가 저마다 왕을 자처하였다. 1372년 츄잔에서 먼저 명나라에 입조하여 조공 무역을 시작한 이래 난잔과 호쿠잔 역시 경쟁적으로 조공 무역을 시작하여 이후 50년 간 삼산이 보낸 조공선의 횟수는 70여 회에 이르렀다.[9]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조공 무역은 전통적으로 조공을 바치면 답례를 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는데, 대개는 받쳐진 조공보다 답례가 넉넉 하였다. 시기에 따라 상인들의 개인적 거래인 호시가 열리기도 하였으나, 명나라 이후 국제 무역에서 호시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었다.[10] 산잔 시대의 오키나와 각 왕조의 경제 활동은 대외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공선의 왕래는 매우 중대한 사안이었다.[9]

류큐국

편집

산잔 가운데 츄잔의 힘이 점차 강해지면서 산잔 시대는 마지막에 이르게 되었다. 1429년 츄잔의 제2대 쇼하시왕(일본어: 尚巴志王)은 난잔과 호쿠잔을 멸하고 삼산통일(三山統一)을 이루어 류큐국을 세웠다.[11] 쇼하시는 수도인 슈리성 정전에 만국진량의 종(万国津梁の鐘, 세계로 나아가는 기틀이 되는 종[12])을 걸고 새 국가의 출범을 선포하였다.[13]

그러나 소하시 당대에는 오키나와 전역에 확고한 지배력을 행사하지는 못하였다. 류큐국이 실제 류큐 제도를 관장하는 국가로서 기능하기 시작한 것은 뒤를 이은 쇼엔왕 시기 부터이다. 이 시기 류큐는 일본, 조선, 명나라 등과 폭넓은 교역을 진행하면서 국력을 신장한다. 특히 이 시기 명나라는 해금 정책을 펴 자국의 상선들이 자유로이 무역하는 것을 금지하였기 때문에 동아시아 해역과 동남아시아 해역을 아우르는 해상 무역 통로를 지니고 있던 류큐는 크게 성장하게 되었다. 오키나와에서는 이 시기를 대교역시대라고 부른다.[11] 1429년 무렵 류큐국의 쇼신왕은 주변 섬들을 모두 지배하에 두고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14]

명나라 시기 주요 국가의 조공 무역 횟수[15]
1368년 - 1566년
국가 1368년
- 1402년
1403년
- 1435년
1436년
- 1464년
1465년
- 1509년
1510년
- 1539년
1540년
- 1566년
합계
조선 60 158 87 + a 135 + a 90 + a 81 + a 611 + a
류큐 47 105 63 37 20 16 288
일본 11 9 1 4 3 1 29
대월
(베트남)
25 6 27 23 4 4 89
시암 39 26 11 10 1 4 91
참파 23 31 22 10 3 1 90

15세기 초까지 강하게 유지되었던 명나라 중심의 조공 무역 질서는 16세기에 들어 크게 약화되었다. 후기 왜구가 다시 해상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였고 외교와 무역을 일원화하려는 명나라의 정책은 명나라 내부의 상인들도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는 사항이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화상들은 당국의 감시를 피해 보다 적극적으로 밀무역을 개시하였다. 결국 1560년대 말 명나라는 남중국해에서 화상들의 무역을 묵인하여 해금을 완화하였다. 이즈음 동아시아 해역에서 영향력을 넓히던 스페인포르투갈세력은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 거점을 마련하고 중국을 상대로 한 무역을 증가시켰다.[7]:162 - 165 이러한 국제 무역 질서 개편은 류큐의 경제와 영향력에 큰 타격을 주었다. 또한 왜구 활동의 증가와 함께 전국시대가 끝난 일본의 위협도 류큐국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일본도 동남아시아와 직접 무역을 시작하면서 류큐가 누리던 중계 무역의 잇점이 사라져버렸다. 1609년 사쓰마번침공해 오자 류큐국은 아마미 제도를 빼앗기고 일본에 조공을 시작하였고 이후 류큐는 일본에 점차 종속되었다.[14]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 선 뒤 류큐국은 국가의 존립을 위해 청나라와 일본 양 쪽에 조공을 보내는 이중 조공을 하였다. 이로서 류큐국은 나라의 명맥을 유지하면서 잠시나마 다시 중계무역을 통한 성장을 보였다. 류큐국은 "중국은 우리의 아버지이고 일본은 우리의 어머니이다."라는 식으로 외교노선을 설정, 중국과 일본 양쪽에 모두 조공을 바치면서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다.[16] 그러나 18세기 말부터 경제가 악화되어 혼란스러워졌으며, 19세기 중엽 서양 세력이 청과 일본에 개항의 압력을 가하면서 류큐는 중계 무역의 거점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된다. 이 시기 류큐국은 사실상 일본의 막번체계에 종속되어 있었다.[9]

일본의 병합과 폐번치현

편집

일본1879년 3월 27일에 경찰과 군인 등 약 600명을 동원해 무력적 위압 상태에서 '류큐번을 폐지하고 오키나와현을 설치한다'는 식의 폐번치현 명령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8일 후인 4월 4일에 일본 영토로 편입시켜 오키나와현을 설치하였다.(류큐 처분, 琉球處分)[16] 류큐국의 쇼타이왕은 일본 메이지 정부에 의해 강제로 도쿄에 이주당해 후작에 봉해지게 된다. 이 사건으로 청나라일본 제국의 갈등은 심화되었다. 미국의 대학교수 이정식에 의하면 일본의 류큐국 병합은 청나라가 조선의 내정간섭에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펴게 된 동기를 제공하게 되었다고 한다.[16] 1879년 처음 부임한 오키나와현의 지사는 나베시마 나오요시였다.[11]

어제까지 류큐인이었다가 오늘 일본 천황의 현이 되었다고 오키나와인이 갑자기 일본인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정치적, 문화적 갈등이 있었다. 일본 본토의 정부는 지사와 함께 경찰과 군대를 파견하여 위압적으로 오키나와를 통치하였고 류큐인들 가운데 일부는 청나라 등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17]

근대화

편집

오키나와현의 근대적 도시계획은 일본의 다른 지역에 비해 늦게 출발하였다. 이미 1919년 시작된 일본 본토의 도시계획법과 달리 1933년이 되어서야 나하시에 대한 도시계획법이 시행되었다. 1879년 폐번치현에서 1933년 도시계획 시행까지의 시기를 "구습온존기"로 부르기도 한다. 폐번치현 이후에도 류큐국 시절 지배층이 여전히 지역 사회의 유지로서 군림하였다. 1940년대에 이르러 나하시와 옛 류큐국의 수도 수리시가 합병되었고 근대적 도시계획에 따른 도시 정비를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1941년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면서 오키나와는 전시 상황에 빠져들게 되었다.[9]

전쟁기

편집
 
오키나와 전투 당시 일본군 포로

일본은 메이지 시대 초기인 1874년 이미 타이완 침략을 벌인 이후 지속적으로 제국주의에 따른 팽창주의 노선을 보였다. 1895년 이미 타이완을 식민지로 삼았고, 청일전쟁러일전쟁에서 승리한 뒤 한일 병합 조약을 통해 조선 역시 식민지로 삼았으며 1931년 만주사변 이후 꼭두각시 국가인 만주국을 세워 중국의 동북 3성도 점령하였다. 일본의 이러한 팽창정책은 이른바 대동아공영권을 앞세운 동남아시아 지역 개입으로 이어졌고 결국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게 되었다.

전쟁시기 오키나와 역시 군국주의를 앞세운 일본 정부에 의해 전시 체계로 재편되었으나 일본의 패색이 짙어진 1945년 초까지도 크게 전쟁에 휘말리지는 않았다. 그러나 1945년 4월 1일 시작된 오키나와 전투오키나와섬을 비롯한 류큐 제도를 전쟁터로 만들자 수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하고 오키나와는 참혹한 폐허가 되었다. 오키나와 전투의 사망자는 연합군, 일본군, 민간인을 모두 합쳐 24만명이 넘으며[18] 민간인 희생자의 수는 12만명에 달한다. 민간인의 희생 중 많은 경우가 이른바 옥쇄를 강요하는 일본군과 행정 당국에 의해 의해 이루어졌다. 일본군은 수류탄을 나누어 주며 자살을 강요하였는가 하면, 전투 막바지에 절망적인 상황이 되자 직접 민간인을 학살하기도 하였다.[19] 일본군은 미군이 오키나와섬에 상륙하기도 전인 3월 말부터 민간인들에게 자결을 종용하였다.

자, 이 시점에서 섬 주민은 모두 황국 만세와 일본의 필승을 기원하고 자결하라
 
— 3월 28일 온나가와라 주둔 일본군 대위의 명령[20]

1972년 일본 정부는 오키나와 전투 당시의 희생을 추도하는 평화기념관을 만들었지만 일본 본토의 시각에서 일본군을 중심으로 한 시설이라는 비판이 있다.[21][22]

미군정과 일본 반환

편집

1945년 9월 2일 일본이 정식으로 연합군에 항복한 후 미국은 류큐 열도를 점령하고 미군정을 실시하였다. 미군은 오키나와섬 전체를 미군의 군용지로 사용하면서 섬 주민 전체를 수용소에 가두었다. 일본은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이후 국제사회에 복귀하였지만, 류큐 열도는 여전히 미군의 점령지로 남았다. 미군은 류큐 열도를 아시아 지역의 전략요충지로 삼았다. 류큐 열도는 1972년이 되어서야 전부 일본에 반환되었다.[17] 그러나 오키나와섬에는 여전히 미군의 군사기지가 유지되고 있어 오키나와섬 주민 사이에는 미군 철수의 여론이 높다. 특히 미군에 의한 성폭력과 같은 사태가 일어나면 미군 기지에 대한 반감이 크게 격상된다.[23]

현대

편집

경제

편집

오키나와에서 미군의 영향력은 여전히 높다. 일본은 본토 내에 있던 미군 기지를 지속적으로 오키나와로 이전해 왔고 일본 영토의 0.7%에 불과한 오키나와는 주일미군의 75%를 감당하고 있다. 미군은 정치나 사회적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1972년 반환 당시 오키나와에서 미군의 경제적 비중은 15.5%에 달했고 2014년에도 5%에 이르렀다. 그러나 오키나와 주민의 다수는 미군이 차지하고 있는 군용지를 다른 용도로 대체할 경우 새로운 경제 성장이 가능한 기회 비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미군 기지의 경제적 영향력이 과장되어 있다고 생각한다.[24]

현대의 오키나와현은 일본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2018년 오키나와를 방문한 관광객은 984만 2,400명이었다. 외국인 보다는 일본인 관광객이 더 많은 관광지이기도 하다.[25] 2019년 오키나와를 방문한 외국인은 195만 1,150명이었고 타이완 40.00%, 한국 22.99%, 중국 18.38%, 홍콩 10.26%, 미국 3.51% 순이었다.[26]

정치

편집

일본의 다른 지역과 달리 자민당에 대한 반감이 강하고 무소속이나 야당 인사가 당선되는 경우가 많다. 주일미군의 철수 문제, 자치권의 보장 문제 등이 선거 때마다 주요 사안이 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여러 가지 약속을 하며 주민의 의사를 존중하겠다고 해 왔지만 실제로는 주일미군의 이전이나 오키나와의 자치에 대해 주민의사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8년 오키나와현지사 선거에서 미군 철수를 공약으로 내세운 다마키 데니가 당선되었다. 다마키는 미군 아버지와 오키나와인 어머니 사이의 혼혈로서 오키나와의 여러 문제를 당사자로서 직접 겪은 정치인이다.[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특파원 스페셜 - 오키나와의 선택 “미군기지 OUT”, KBS, 2018년 10월 27일
  2. 渡辺延志 (2010年6月28日). “港川人、縄文人と似ず 顔立ち復元、独自の集団か”. 朝日新聞社. 2015년 12월 23일에 확인함. 
  3. 해양문물교류특별전 『한국-일본 오키나와의 조개제품을 통한 선사시대 문화의 재발견』, 국립제주박물관
  4. 小島瓔禮(「禮」は実際には、しめすへん「ネ」に「豊」)「天孫氏」、『沖縄大百科事典 中巻』(1983年)、p.865
  5. s:zh:隋書/卷81
  6. 오키나와로부터 온 편지 - 고중세에 존재했던 공존의 생활사, 주간경향, 2020년 11월 9일
  7. 하네다 마사시 편, 고지마 쓰요시 감수, 조영헌 정순일 역, 《바다에서 본 역사》, 민음사, 2018년, ISBN 978-89-374-3902-5
  8. 일본 오키나와 유구왕국을 아시나요, 제주투데이, 2007년 7월 14일
  9. 근현대 동아시아 도시이야기 - 전쟁 전 오키나와 도시, 슈리와 나하, 나하와 슈리 Archived 2020년 10월 21일 - 웨이백 머신, 한국역사연구회, 2018년 5월 29일
  10. 한국무역의 역사,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11. 역사 Archived 2020년 10월 21일 - 웨이백 머신, Visit Okinawa Japan
  12. 만국(萬國)은 모든 나라를, 진량(津梁)은 나루터와 다리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시작되는 기반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 참조
  13. 万国津梁(ばんこくしんりょう)の鐘(かね)と首里城, 首里城公園
  14. 일본은 왜 '류큐왕국'을 오랫동안 합병하지 않았나, 뉴스소프트, 2019년 6월 2일
  15. 中島樂章, 《14 - 16세기 동아시아 무역 질서의 변화와 재편》 - 《바다에서 본 역사》163쪽 재인용
  16.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29페이지
  17. 나미히라 쓰네오,〈오키나와의 역사체험과 ‘비무(非武)의 평화’ 사상〉, 《아시아리뷰》 제5권 제2호(통권 10호), 2016: 259~292
  18. 생생한 한국인 징용 기록 ‘뜻밖’… 군 위안소 지도까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방일보, 2016년 9월 25일
  19. 오키나와 민간인 학살…70년 전 4·3과 닮은 꼴, 제주일보, 2018년 12월 16일
  20. 오키나와타임스 편, 김란경 외 역, 《철의 폭풍》, 산처럼, 2020년, ISBN 978-89-9006-295-6. 50쪽
  21. ‘평화’의 외피를 둘러싼 치열한 기억투쟁의 현장 (상), 한겨레신문, 2005년 6월 10일
  22. 평화’의 외피를 둘러싼 치열한 기억투쟁의 현장 (하), 한겨레신문, 2005년 6월 22일
  23. 오키나와 미군, 일 여성 집단 성폭행…반미여론 다시 ‘부글', 한겨레신문, 2012년 10월 17일
  24. ‘기지가 들어서면 지역경제가 산다’는 환상, 일다, 2014년 7월 30일
  25. 오키나와 방문객 6년 연속 신기록, 여행신문, 2019년 1월 28일
  26. 沖縄県のインバウンド需要, Honi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