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기하학 에서 리만 곡률 텐서 (Riemann曲率tensor, 영어 : Riemann curvature tensor )는 리만 다양체 의 곡률 을 나타내는 (1,3)차 텐서장 이다.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레비치비타 접속
∇
{\displaystyle \nabla }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임의의 두 벡터장
u
,
v
∈
Γ
(
T
M
)
{\displaystyle u,v\in \Gamma (\mathrm {T} M)}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표현을 정의할 수 있다.
Riem
(
u
,
v
)
w
=
∇
u
∇
v
w
−
∇
v
∇
u
w
−
∇
[
u
,
v
]
w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u,v)w=\nabla _{u}\nabla _{v}w-\nabla _{v}\nabla _{u}w-\nabla _{[u,v]}w}
이 2차 미분 연산자
Riem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
은 사실 (1,3)차 텐서장에 불과한 것을 보일 수 있으며, 이 텐서장을 리만 곡률 텐서 라고 한다. 즉, 리만 곡률 텐서는 공변 미분 의 비가환성을 나타내는 개체로 이해할 수 있다.
좌표로 쓰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지표(index )와 아인슈타인 표기법 을 쓰자. 레비치비타 접속은 크리스토펠 기호
Γ
ν
ρ
μ
{\displaystyle \Gamma _{\nu \rho }^{\mu }}
로 나타내어진다. 그렇다면 리만 곡률 텐서는 다음과 같다.
Riem
ρ
σ
μ
ν
=
∂
μ
Γ
ν
σ
ρ
−
∂
ν
Γ
μ
σ
ρ
+
Γ
μ
λ
ρ
Γ
ν
σ
λ
−
Γ
ν
λ
ρ
Γ
μ
σ
λ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rho }}_{\sigma \mu \nu }=\partial _{\mu }\Gamma _{\nu \sigma }^{\rho }-\partial _{\nu }\Gamma _{\mu \sigma }^{\rho }+\Gamma _{\mu \lambda }^{\rho }\Gamma _{\nu \sigma }^{\lambda }-\Gamma _{\nu \lambda }^{\rho }\Gamma _{\mu \sigma }^{\lambda }}
리만 곡률 텐서는 다음과 같은 대칭을 지닌다.
Riem
(
u
,
v
)
=
−
Riem
(
v
,
u
)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u,v)=-\operatorname {Riem} (v,u)}
⟨
Riem
(
u
,
v
)
w
,
z
⟩
=
−
⟨
Riem
(
u
,
v
)
z
,
w
⟩
{\displaystyle \langle \operatorname {Riem} (u,v)w,z\rangle =-\langle \operatorname {Riem} (u,v)z,w\rangle }
⟨
Riem
(
u
,
v
)
w
,
z
⟩
=
⟨
Riem
(
w
,
z
)
u
,
v
⟩
{\displaystyle \langle \operatorname {Riem} (u,v)w,z\rangle =\langle \operatorname {Riem} (w,z)u,v\rangle }
제1 비안키 항등식(영어 : first Bianchi identity )
Riem
(
u
,
v
)
w
+
Riem
(
v
,
w
)
u
+
Riem
(
w
,
u
)
v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u,v)w+\operatorname {Riem} (v,w)u+\operatorname {Riem} (w,u)v=0}
제2 비안키 항등식(영어 : second Bianchi identity )
(
∇
u
Riem
)
(
v
,
w
)
+
(
∇
v
Riem
)
(
w
,
u
)
+
(
∇
w
Riem
)
(
u
,
v
)
=
0
{\displaystyle (\nabla _{u}\operatorname {Riem} )(v,w)+(\nabla _{v}\operatorname {Riem} )(w,u)+(\nabla _{w}\operatorname {Riem} )(u,v)=0}
.
이에 따라,
n
{\displaystyle n}
차원 다양체에서 리만 곡률 텐서는
n
2
(
n
2
−
1
)
/
12
{\displaystyle n^{2}(n^{2}-1)/12}
개의 독립된 성분을 지닌다. (교환 대칭성은 반대칭성과 제1 비앙키 항등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지표로 쓰면 이들은 다음과 같다.
Riem
(
ρ
σ
)
μ
ν
=
R
ρ
σ
(
μ
ν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_{(\rho \sigma )\mu \nu }=R_{\rho \sigma (\mu \nu )}=0}
Riem
ρ
σ
μ
ν
=
Riem
μ
ν
ρ
σ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_{\rho \sigma \mu \nu }=\operatorname {Riem} _{\mu \nu \rho \sigma }}
Riem
ρ
[
σ
μ
ν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_{\rho [\sigma \mu \nu ]}=0}
.
Riem
ρ
σ
[
μ
ν
;
τ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_{\rho \sigma [\mu \nu ;\tau ]}=0}
.
여기서 대괄호
[
μ
ν
ρ
]
{\displaystyle [\mu \nu \rho ]}
는 지표의 (완전) 반대칭화, 소괄호
(
μ
ν
)
{\displaystyle (\mu \nu )}
는 지표의 대칭호를 뜻한다.
이 대칭에 따라서,
n
{\displaystyle n}
차원에서 리만 곡률 텐서의 서로 독립인 성분은
1
12
n
2
(
n
2
−
1
)
{\displaystyle {\frac {1}{12}}n^{2}(n^{2}-1)}
개이다. 임의의 차원에서, 리만 곡률 텐서는 리치 곡률 텐서 와 바일 곡률 텐서 로 표현될 수 있다. 리치 곡률 텐서의 성분의 수는
1
2
n
(
n
+
1
)
{\displaystyle {\tfrac {1}{2}}n(n+1)}
이며 바일 곡률 텐서 의 성분의 수는
1
2
(
n
−
3
)
(
n
+
2
3
)
(
n
≥
3
)
{\displaystyle {\frac {1}{2}}(n-3){\binom {n+2}{3}}\qquad (n\geq 3)}
이다.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위의 임의의 벡터장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리만 곡률의 정의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
∇
μ
∇
ν
−
∇
ν
∇
μ
)
X
ρ
=
Riem
ρ
σ
μ
ν
X
σ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nabla _{\nu }\nabla _{\mu })X^{\rho }=\operatorname {Riem} ^{\rho }{}_{\sigma \mu \nu }X^{\sigma }}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위의 임의의 1차 미분 형식
α
{\displaystyle \alpha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μ
∇
ν
−
∇
ν
∇
μ
)
α
σ
=
−
Riem
ρ
σ
μ
ν
α
ρ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nabla _{\nu }\nabla _{\mu })\alpha _{\sigma }=-\operatorname {Riem} ^{\rho }{}_{\sigma \mu \nu }\alpha _{\rho }}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
r
,
s
)
{\displaystyle (r,s)}
차 텐서장
T
{\displaystyle T}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
∇
μ
∇
ν
−
∇
ν
∇
μ
)
T
β
1
⋯
β
s
α
1
⋯
α
r
=
Riem
α
1
ρ
μ
ν
T
β
1
⋯
β
s
ρ
α
2
⋯
α
r
+
⋯
+
Riem
α
r
ρ
μ
ν
T
β
1
⋯
β
s
α
1
⋯
α
r
−
1
ρ
−
Riem
σ
β
1
μ
ν
T
σ
β
2
⋯
β
s
α
1
⋯
α
r
−
⋯
−
Riem
σ
β
s
μ
ν
T
β
1
⋯
β
s
−
1
σ
α
1
⋯
α
r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nabla _{\nu }\nabla _{\mu })T_{\beta _{1}\dotsi \beta _{s}}^{\alpha _{1}\dotsi \alpha _{r}}=\operatorname {Riem} ^{\alpha _{1}}{}_{\rho \mu \nu }T_{\beta _{1}\dotsi \beta _{s}}^{\rho \alpha _{2}\cdots \alpha _{r}}+\dotsb +\operatorname {Riem} ^{\alpha _{r}}{}_{\rho \mu \nu }T_{\beta _{1}\dotsi \beta _{s}}^{\alpha _{1}\cdots \alpha _{r-1}\rho }-\operatorname {Riem} ^{\sigma }{}_{\beta _{1}\mu \nu }T_{\sigma \beta _{2}\dotsi \beta _{s}}^{\alpha _{1}\cdots \alpha _{r}}-\cdots -\operatorname {Riem} ^{\sigma }{}_{\beta _{s}\mu \nu }T_{\beta _{1}\cdots \beta _{s-1}\sigma }^{\alpha _{1}\dotsi \alpha _{r}}}
1차원 리만 다양체 (즉, 곡선 )의 리만 곡률 텐서는 항상 0이다. 1차원 이하의 다양체는 내재적 곡률을 갖지 않는다.
2차원 리만 다양체 의 경우, 리만 곡률 텐서는 1개의 독립된 성분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이다.
Riem
a
b
c
d
=
K
(
g
a
c
g
d
b
−
g
a
d
g
c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_{abcd}^{}=K(g_{ac}g_{db}-g_{ad}g_{cb})}
K
=
1
2
tr
Ric
{\displaystyle K={\frac {1}{2}}\operatorname {tr} \operatorname {Ric} }
여기서
K
{\displaystyle K}
는 가우스 곡률 이며, 스칼라 곡률 의 ½배이다.
3차원 리만 다양체 의 경우, 리만 곡률 텐서는 6개의 독립된 성분을 가지며, 이는 리치 곡률 텐서 의 성분의 수와 같다. 이 경우 리만 곡률 텐서는 리치 곡률 텐서
Ric
{\displaystyle \operatorname {Ric} }
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Riem
a
b
c
d
=
F
a
c
g
b
d
−
F
a
d
g
b
c
+
F
b
d
g
a
c
−
F
b
c
g
a
d
{\displaystyle \operatorname {Riem} _{abcd}=F_{ac}g_{bd}-F_{ad}g_{bc}+F_{bd}g_{ac}-F_{bc}g_{ad}}
F
a
b
=
Ric
a
b
−
1
4
(
tr
Ric
)
g
a
b
{\displaystyle F_{ab}=\operatorname {Ric} _{ab}-{\frac {1}{4}}(\operatorname {tr} \operatorname {Ric} )g_{ab}}
여기서 텐서장
F
{\displaystyle F}
는 리치 곡률 텐서 와 아인슈타인 텐서 의 평균이며, 스하우턴 텐서 (영어 : Schouten tensor )라고 한다.
베른하르트 리만 의 이름을 땄으며, 리만의 1861년 논문[ 2] 에 원시적인 형태로 등장한다.[ 3] :228, 239 리만은 리만 곡률 텐서를
(
ι
ι
′
,
ι
″
ι
‴
)
{\displaystyle (\iota \iota ',\iota ''\iota ''')}
로 표기하였다.[ 3] :228
이후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 이 1869년에 같은 개념을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 3] :228, 239 이 때문에 리만-크리스토펠 텐서 라고 불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