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량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4/4a/Disambig_grey.svg/23px-Disambig_grey.svg.png)
마량(馬良, 187년 ~ 222년)은 중국 후한, 삼국시대 촉한의 정치인으로 자는 계상(季常)이며 형주 양양군(襄陽郡) 의성현(宜城縣) 사람이다.[1] 흰 눈썹이 있어서 별명이 백미(白眉)였고 5명의 형제 중 가장 출중했다. 그래서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혹은 물건을 백미라 부르게 됐다.
마량 | |
---|---|
![]() | |
본명 | 馬良 |
출생 | 187년 양양군 의성 |
사망 | 222년 (36세) |
성별 | 남성 ![]() |
국적 | 후한 → 촉나라 |
직업 | 정치인 |
경력 | 종사 → 좌장군연 → 시중 |
생애
편집209년(건안 14년) 유비가 형주목으로 추대될 무렵 종사(從事)로 등용되었다. 서촉 공방전에 참여한 제갈량과 편지 교류를 할 정도로 친분이 있었다. 익주가 평정된 후 마량도 성도(成都)로 불려가 좌장군연(左將軍掾)이 되었고 손권과의 친선을 위한 사신 임무를 맡기도 하였다. 221년 유비가 황제에 즉위하자 시중(侍中)에 임명되었다. 7월(음력) 유비가 오나라로 출병할 때 종군하였다. 222년(장무 2년) 무릉군 5계[2]의 이민족을 회유하여 우군으로 삼았으나 이릉 대전에서 대패하면서 전사하였다. 나이 36세였다. 유비가 그 아들 마병(馬秉)에게 기도위를 주었다.
평가
편집진수는 마량을 지조 있고 성실하며 훌륭한 선비라고 평하였다.[3] 양희 역시 비슷하게 썼다.[4] 고향에서는 마량 5형제가 모두 재주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마량이 특출하다고 하였다. 여기서 백미라는 고사가 유래하였다.[5]
배잠(裴潛)은 마량은 형주 지방 최고의 명사였으며 유비군에 합류하여 내정과 외교에서 뛰어난 재주를 발휘하면서 이후 유비가 형주와 익주, 한중까지 얻을 수 있었다라 평했다.
삼국지연의
편집사서가 아닌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이적의 천거를 받아 출사하여 형주 남부의 4군(무릉, 장사, 영릉, 계양) 정벌을 제안한다. 익주로 가지 않고 형주에서 관우를 계속 보좌한다. 관우가 화타에게 수술받을 때 바둑을 두는 상대로 설정했다. 관우가 여몽에게 습격당하자 이적과 함께 성도에 원군을 요청한다. 이릉 전투에서는 유비의 진지 구축에 의문을 품고 조언을 구하러 제갈량에게 달려간다. 제갈량의 남정 무렵 병사한다.
가계
편집- 동생 : 마속
관련 작품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참고 문헌
편집- 《삼국지》39권 촉서 제9 마량 제속
- 《삼국지》32권 촉서 제2 선주 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