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상군
G
{\displaystyle G}
그렇다면, 올이
G
{\displaystyle G}
이고 밑이
X
{\displaystyle X}
인 주다발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올이
G
{\displaystyle G}
인 올다발
π
:
P
↠
X
{\displaystyle \pi \colon P\twoheadrightarrow X}
연속 오른쪽 작용
P
×
G
→
P
{\displaystyle P\times G\to P}
이 데이터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모든
g
∈
G
{\displaystyle g\in G}
,
p
∈
P
{\displaystyle p\in P}
에 대하여,
π
(
p
⋅
g
)
=
π
(
p
)
{\displaystyle \pi (p\cdot g)=\pi (p)}
. 즉, 각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G
{\displaystyle G}
는 올
P
x
{\displaystyle P_{x}}
위에 작용 한다.
임의의
p
,
p
′
∈
G
{\displaystyle p,p'\in G}
에 대하여, 만약
π
(
p
)
=
π
(
p
′
)
{\displaystyle \pi (p)=\pi (p')}
이라면,
p
⋅
g
=
p
′
{\displaystyle p\cdot g=p'}
인
g
∈
G
{\displaystyle g\in G}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즉, 임의의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오른쪽 작용
P
x
×
G
→
P
x
{\displaystyle P_{x}\times G\to P_{x}}
는 정추이적 작용 이다. 여기서
P
x
=
π
−
1
(
{
x
}
)
{\displaystyle P_{x}=\pi ^{-1}(\{x\})}
는
x
{\displaystyle x}
위의
P
{\displaystyle P}
의 올이다.
두 조건 가운데 첫째 조건은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으로 표현된다.
P
×
G
→
⋅
P
proj
1
↓
proj
1
π
↓
π
P
→
π
X
{\displaystyle {\begin{matrix}\!\!P\times G\!\!&{\overset {\cdot }{\to }}&P\\{\scriptstyle \!\!\!\!\!\!\!\!\operatorname {proj} _{1}}\downarrow {\scriptstyle \color {White}{\operatorname {proj} _{1}}\!\!\!\!\!\!\!\!}&&{\!\!\!\!\scriptstyle \color {White}\pi }\downarrow \scriptstyle \pi \!\!\!\!\\P&{\underset {\pi }{\to }}&X\end{matrix}}}
두 조건 가운데 둘째 조건은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으로 표현된다.
P
×
G
proj
1
↙
proj
1
∃
!
↑
∃
!
⋅
↘
⋅
P
←
p
∙
→
p
′
P
π
↘
π
π
↙
π
X
{\displaystyle {\begin{matrix}&&\!\!\!\!\!\!\!\!P\times G\!\!\!\!\!\!\!\!\\&{\!\!\!\!\!\!\!\!\!\!\!\!\!\!\!\!^{\operatorname {proj} _{1}}}\!\!\!\!\swarrow \!\!\!\!\!\!\!\!\!\!\!\!\!\!{\color {White}^{\operatorname {proj} _{1}}\!\!\!\!\!\!}&{\scriptstyle \!\!\!\!\color {White}\exists !}\uparrow \scriptstyle \exists !\!\!\!\!&{\!\!\!\!\color {White}^{\cdot }}\searrow ^{\cdot }\!\!\!\!\\P&{\xleftarrow {p}}&\bullet &{\xrightarrow {p'}}&P\\&{_{\pi }}\searrow {\color {White}_{\pi }}&&{\color {White}_{\pi }}\swarrow {_{\pi }}\\&&X\end{matrix}}}
만약
G
{\displaystyle G}
가 리 군 이며,
P
{\displaystyle P}
와
X
{\displaystyle X}
가 매끄러운 다양체 이며,
π
:
P
→
X
{\displaystyle \pi \colon P\to X}
가 매끄러운 함수 이며,
G
{\displaystyle G}
의 작용
P
×
G
→
P
{\displaystyle P\times G\to P}
역시 매끄러운 함수 라면
(
X
,
G
,
P
,
π
)
{\displaystyle (X,G,P,\pi )}
를 매끄러운 주다발 (-主-, 영어 : smooth principal bundle )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위상군
G
{\displaystyle G}
와
H
{\displaystyle H}
G
{\displaystyle G}
-주다발
π
P
:
P
↠
X
{\displaystyle \pi _{P}\colon P\twoheadrightarrow X}
,
π
Q
:
Q
↠
Y
{\displaystyle \pi _{Q}\colon Q\twoheadrightarrow Y}
이 두 주다발 사이의 주다발 사상 (영어 : principal bundle morphism )
(
f
,
ϕ
)
{\displaystyle (f,\phi )}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1] :§1
연속 함수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연속 함수
Φ
:
P
→
Q
{\displaystyle \Phi \colon P\to Q}
연속 군 준동형
ϕ
:
G
→
H
{\displaystyle \phi \colon G\to H}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Φ
(
p
⋅
g
)
=
Φ
(
p
)
⋅
ϕ
(
g
)
∀
(
p
,
g
)
∈
P
×
G
{\displaystyle \Phi (p\cdot g)=\Phi (p)\cdot \phi (g)\qquad \forall (p,g)\in P\times G}
f
∘
π
P
=
π
Q
∘
Φ
{\displaystyle f\circ \pi _{P}=\pi _{Q}\circ \Phi }
즉, 다음 가환 그림이 성립해야 한다.
P
×
G
→
(
Φ
,
ϕ
)
Q
×
H
⋅
↓
⋅
⋅
↓
⋅
P
→
Φ
Q
π
P
↓
π
P
π
Q
↓
π
Q
X
→
f
Y
{\displaystyle {\begin{matrix}P\times G&{\xrightarrow {(\Phi ,\phi )}}&Q\times H\\{\scriptstyle \cdot }\downarrow {\scriptstyle \color {White}\cdot }&&{\scriptstyle \color {White}\cdot }\downarrow \scriptstyle \cdot \\P&{\xrightarrow {\Phi }}&Q\\{\scriptstyle \pi _{P}}\downarrow {\scriptstyle \color {White}{\pi _{P}}}&&{\scriptstyle \color {White}{\pi _{Q}}}\downarrow {\scriptstyle \pi _{Q}}\\X&{\xrightarrow[{f}]{}}&Y\end{matrix}}}
주다발 사상
(
f
,
Φ
,
ϕ
)
{\displaystyle (f,\Phi ,\phi )}
에서, 만약
X
=
Y
{\displaystyle X=Y}
이며,
f
=
id
X
{\displaystyle f=\operatorname {id} _{X}}
가 항등 함수 이며,
ϕ
{\displaystyle \phi }
가 단사 함수 라면 (즉, 부분군 의 포함 사상이라면)
(
Φ
,
ϕ
)
{\displaystyle (\Phi ,\phi )}
를 구조군 축소 (構造群縮小, 영어 : reduction of structure group )라고 한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n
{\displaystyle n}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리 군
G
{\displaystyle G}
X
{\displaystyle X}
위의 매끄러운
G
{\displaystyle G}
-주다발
π
:
P
↠
X
{\displaystyle \pi \colon P\twoheadrightarrow X}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
0
≤
q
≤
p
{\displaystyle 0\leq q\leq p}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M
{\displaystyle M}
위의 올다발을 정의할 수 있다.
W
p
,
q
P
=
F
p
M
×
M
J
q
P
{\displaystyle \mathrm {W} ^{p,q}P=\mathrm {F} ^{p}M\times _{M}\mathrm {J} ^{q}P}
여기서
F
p
M
{\displaystyle \mathrm {F} ^{p}M}
은
M
{\displaystyle M}
위의
p
{\displaystyle p}
차 틀다발 이다. 이는
M
{\displaystyle M}
위의 주다발 이며, 그 올군은
p
{\displaystyle p}
차
n
{\displaystyle n}
차원 제트 군
Jet
(
p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Jet} (p,n)}
이다.
J
q
P
{\displaystyle \mathrm {J} ^{q}P}
는
P
{\displaystyle P}
위의
q
{\displaystyle q}
차 제트 다발 이다. 이는
P
{\displaystyle P}
위의 벡터 다발 이다.
×
M
{\displaystyle \times _{M}}
은
M
{\displaystyle M}
위의 두 올다발의 곱이다.
즉, 국소적으로
W
p
,
q
P
{\displaystyle \mathrm {W} ^{p,q}P}
의 점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
j
0
p
f
,
j
x
h
g
)
{\displaystyle (\mathrm {j} _{0}^{p}f,\mathrm {j} _{x}^{h}g)}
여기서
f
:
U
→
V
{\displaystyle f\colon U\to V}
은 단사 매끄러운 함수 이며,
0
∈
U
⊆
R
n
{\displaystyle 0\in U\subseteq \mathbb {R} ^{n}}
은 열린집합 이며,
x
∈
V
⊆
M
{\displaystyle x\in V\subseteq M}
역시 열린집합 이다.
j
0
p
f
{\displaystyle \mathrm {j} _{0}^{p}f}
는
f
{\displaystyle f}
의,
0
∈
U
{\displaystyle 0\in U}
에서의
p
{\displaystyle p}
차 제트 이다.
s
:
V
→
P
{\displaystyle s\colon V\to P}
는
P
↾
V
{\displaystyle P\upharpoonright V}
의 단면 이다.
이는
P
{\displaystyle P}
위의 주다발을 이룬다. 그 올군은
Jet
(
n
,
p
)
⋊
T
q
G
{\displaystyle \operatorname {Jet} (n,p)\rtimes \mathrm {T} ^{q}G}
이다. 여기서
T
q
G
=
{
j
0
q
g
:
g
:
R
n
→
G
}
{\displaystyle \mathrm {T} ^{q}G=\{\mathrm {j} _{0}^{q}g\colon g\colon \mathbb {R} ^{n}\to G\}}
이며, 그 군 연산은 다음과 같다.
(
j
0
p
f
,
j
0
q
g
)
(
j
0
p
f
′
,
j
0
q
g
′
)
=
(
j
0
p
(
f
∘
f
′
)
,
j
0
q
(
(
g
∘
f
′
)
g
′
)
)
{\displaystyle (\mathrm {j} _{0}^{p}f,\mathrm {j} _{0}^{q}g)(\mathrm {j} _{0}^{p}f',\mathrm {j} _{0}^{q}g')=\left(\mathrm {j} _{0}^{p}(f\circ f'),\mathrm {j} _{0}^{q}\left(\left(\mathrm {g} \circ f'\right)g'\right)\right)}
이 군은
W
p
,
q
P
{\displaystyle \mathrm {W} ^{p,q}P}
위에 다음과 같이 오른쪽에서 작용 한다.
(
j
0
p
f
,
j
x
q
s
)
(
j
0
p
f
′
,
j
x
q
g
)
=
(
j
0
p
(
f
∘
f
′
)
,
j
0
q
(
σ
⋅
(
g
⋅
f
′
−
1
⋅
f
−
1
)
)
)
{\displaystyle (\mathrm {j} _{0}^{p}f,\mathrm {j} _{x}^{q}s)(\mathrm {j} _{0}^{p}f',\mathrm {j} _{x}^{q}g)=\left(\mathrm {j} _{0}^{p}(f\circ f'),\mathrm {j} _{0}^{q}\left(\sigma \cdot (g\cdot f'^{-1}\cdot f^{-1})\right)\right)}
이를
P
{\displaystyle P}
의
(
p
,
q
)
{\displaystyle (p,q)}
차 주연장 (主延長, 영어 : principal prolongation )이라고 한다.[ 2] :150–151, §15.3 [ 3] :Definition 3.4
임의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와 위상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X
×
G
{\displaystyle X\times G}
는 군 작용
(
x
,
h
)
⋅
g
=
(
x
,
h
⋅
g
)
{\displaystyle (x,h)\cdot g=(x,h\cdot g)}
과 사영 사상
(
x
,
h
)
↦
x
{\displaystyle (x,h)\mapsto x}
을 주면 주다발을 이룬다. 이를 자명 주다발 (自明主-, 영어 : trivial principal bundle )이라고 한다.
이 부분의 본문은
틀다발 입니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k
{\displaystyle k}
차원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가 주어졌을 때, 어떤 표준적인
GL
(
k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k;\mathbb {R} )}
-주다발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틀다발 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