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

(무니에서 넘어옴)

요가(산스크리트어: योग yóga)는 고대 인도에서 제의적으로 연유한 명상의 방법으로 이러한 영향에서 힌두교의 종교적 · 영적 수행 방법의 하나로도 알려져있다. 산스크리트어 요가(Yóga)의 뜻은 다양한데 제어(Control)[1] · 합일(Union)[2] · 수단(Means) · 방편(Means)[2] 등의 의미가 있다. 힌두교에서는 "요가란 실천 생활 철학에 철저함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인 요가 학파의 주요 경전인 《요가 수트라》의 제일 첫머리(정확히는 두 번째 구절)에서는 요가를 "마음의 작용(心作用 · Citta-Vṛtti)의 지멸(止滅 · Nirodha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

요가 명상을 하고 있는 시바
인도 델리의 비르라 만디르(Birla Mandir) 사원에 있는 요기 조각상

요가는 또한 인도에서 발생한 여러 종교의 믿음과 수행과도 관련이 있다.[4] 인도 밖에서 요가는 흔히 하타 요가아사나 수행(자세 취하기)이나 운동의 한 형태로 알고 있다. 최근 뉴욕에서는 요가가 크게 유행했다.[5][6]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 《하타 요가 프라디피카》, 《시바 삼히타》 등의 힌두교 경전은 요가의 여러 측면을 기술하고 있다.

요가의 주요 분류로는 하타 요가 · 카르마 요가 · 즈나나 요가 · 박티 요가 · 라자 요가 등이 있다. 《바가바드 기타》에서 크리슈나아르주나에게 카르마 요가 · 즈나나 요가 · 박티 요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7] 박티 요가에 대한 최고의 힌두교 경전은 《바가바드 기타》와 《바가바타 푸라나》인데, 둘을 비교하면 《바가바드 기타》에서는 박티가 보다 이론적으로 다루어져 있는 반면,《바가바타 푸라나》에서는 박티가 보다 실천적으로 다루어져 있다.[8] 라자 요가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의해 확립되었다. 파탄잘리에 의해 성립된 요가 학파는 《요가 수트라》를 주요 경전으로 하고 라자 요가를 수행법으로 한다.

역사

편집

인더스 문명(기원전 약 3300-1700년)의 유적지에서 발굴된 여러 인장들 중에서 일부 인장들은 사람이 요가나 명상(meditaion) 자세를 취하고 있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고고학자 그레고리 포셀은 "요가의 시초가 되는 제의적인 운동의 형태"라고 보며, 이에 대한 증거가 모이고 있다.[9] 그는 후기 하라파의 유적지에서 발견된 16개의 요기(Yogi) 조각에 대해 "제의적인 수양과 집중"이라고 말한다.[10] 이 형상은 요가 자세로 "신들과 인간 모두가 행했던" 것이라고 본다.[9]

이중 가장 잘 알려진 형태는 파슈파티 봉인(Paśupati 封印)으로,[11] 발견자인 존 마샬은 이것이 시바의 원형이라고 주장한다.[12] 현대의 많은 고고학 권위자들은 이 파슈파티(Paśupati: 동물의 왕)[13]시바루드라를 나타낸다고 본다.[14][15] 갤빈 플러드는 이것이 피상적인 결론이라고 말하면서, 파슈파티 봉인이 요가 자세로 앉아 있는 시바루드라 또는 요기의 형상인지 그냥 사람의 형상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12][16]

요가 학파

편집

개요

편집

요가 학파(Yoga學派) 또는 요가파(Yoga派)는 요가 수행에 의해 모크샤(해탈)에 도달하는 것을 가르치는 학파로,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 하나이다. 요가 학파의 근본 경전은 《요가 수트라》로, 힌두교 전통에 따르면 파탄잘리가 그 편찬자이다.그러나 《요가 수트라》가 현재와 같은 형태로 편찬된 것은 기원후 400∼450년경인 것으로 여겨진다.[17]

요가 학파의 철학에는 불교의 영향이 있다는 것도 인정되지만, 요가 학파의 철학은 삼키아 학파의 철학과 거의 동일하다.[18] 철학면에서 삼키아 학파와의 상이점으로는, 요가 학파에서는 절대자로서의 최고신을 인정한다는 것만이 거의 유일한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요가 학파에서는 일상생활의 상대적인 동요를 초월한 곳에 절대 고요(絶對靜)의 신비적인 경지인 사마디(삼매)의 상태가 있으며, 이 사마디의 경지에 도달할 때 요가, 즉 절대자와의 합일이 실현된다고 생각하였다. 요가 학파에서는 이와 같은 수행을 요가라고 부르고, 그 수행을 행하는 사람을 요기(Yogi) 또는 요가행자(Yoga行者)라고 이르며 그 완성자를 무니(牟尼 · 聖者)라고 일컫는다. 이와 같은 사마디라는 신비적 경지는 다른 여러 힌두 학파해탈의 경지와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힌두 학파들이 모두 요가의 수행을 실천법으로써 사용하고 있다.[17]

라자 요가

편집

요가 학파에 따르면 "요가"라는 낱말의 의미는 "마음의 통일을 이루는 것"으로 요가는 "마음의 작용(心作用 · 심작용)의 지멸(止滅)"이라고 규정짓고 있다.[19][3] 따라서 외부적인 속박을 떠남과 동시에 내부적인 마음의 동요를 가라앉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19]

삼키아 학파와 요가 학파의 철학에 따르면, 마음의 작용(心作用 · 심작용)이란 푸루샤(神我 · Cosmic Spirit)가 프라크리티(自性 · Cosmic Substance)를 자기 자신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키아 학파에 따르면 이러한 동일시가 있으면 우주와 현상이 전개되고("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있는 상태") 이러한 동일시가 사라지면 우주와 현상이 해체되어 사라진다("주관과 객관의 구별이 없는 상태"). 이러한 우주적 전개와 해체의 과정을 설명하는 삼키아 학파의 철학을 개별적인 영혼에 적용한 것이 요가 학파의 철학이다.[18]

요가 학파에서는 요가 수행의 전제로 계율들, 즉 행하지 않아야 될 것들(① 야마)과 적극적으로 행하여야 할 것들(② 니야마)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이 두 범주의 계율을 바탕으로 하는 상태에서 다음의 실천적인 수행을 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를 선택하여 좌정하되, 좌법(③ 아사나)에 쫓아 다리를 여미고 호흡(④ 프라나야마)을 가라앉게 하여 마음의 산란을 막아서, 5관(五官)을 제어(⑤ 프라챠하라)하여 5감(五感)의 유혹을 피하고, 다시 나아가 마음을 집중(⑥ 다라나와 ⑦ 디야나)시킨다. 그리하여 마침내 ⑧ 사마디(삼매 · 三昧 · 等持)에 도달한다.[19]

요가 학파에 따르면 사마디에도 천심(淺深)의 구별이 있어서 사비칼파 사마디(Savikalpa samādhi · 유상삼매 · 有想三昧)와 니르비칼파 사마디(Nirvikalpa samādhi · 무상삼매 · 無想三昧)로 나뉜다. 전자는 대상의 의식을 수반하는 사마디이며, 또한 아직은 대상에 속박되어 대상에 의해 제어되고 있고 또 심작용(心作用)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비자 사마디(Savija samādhi · 유종자삼매 · 有種子三昧)라고도 일컫는다. 그러나 니르비칼파 사마디에 들어가면 이미 대상의식(對象意識)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에 속박되지 않으며, 그 경지에 있어서는 심작용(心作用)의 여력마저도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니르비자 사마디(Nirbija samādhi · 무종자삼매 · 無種子三昧)라고도 한다. 니르비칼파 사마디 또는 니르비자 사마디의 경지가 참된 요가이며 이 경지에서 푸루샤는 관조자로서 그 자체 속에 안주한다.[19]

후대에는 이와 같이 ① 야마 ·니야마 ·아사나 ·프라나야마  ·프라챠하라  ·다라나 ·디야나 ·사마디의 여덟 단계로 구성된 라자 요가(Raja Yoga: 왕의 요가 또는 요가의 왕도) 대신에, 곡예와 같은 무리한 육체적 수행을 행하는 하타 요가의 실천도 성행하였다.[19]

다른 종교와의 관계

편집

요가와 불교

편집

요가는 다른 인도의 종교들의 종교적 믿음과 수행에 영향을 주었다.[4] 요가의 영향은 불교에서도 발견된다.[21][22]

석가모니가 한 명상법은 불교가 생기기 전의 명상법인데, 인도에 그런 명상법은 요가밖에 없었다. 석가모니는 요가의 숨을 멈추는 쿰바카를 반대하고, 짧게 들이쉬고 길게 내쉬는 호흡법인 안반념법을 주장했다. 불경에는 석가모니를 "최고의 요가 수행자여" 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의 불교 신자들이 반야심경과 함께 기본적으로 암송하는 천수경신묘장구대다라니에도 요가와 관련된 다라니 구절이 나온다.

위대한 요가의 힘을 성취한 님을 위해서 쓰와하
신비로운 힘의 방편을 지닌 요가수행자의 님을 위해서 쓰와하

티베트라마교는 수행법으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하나는 경전에 따른 수행으로 '람림(Lamrim)'이고 다른 하나는 힌두요가를 결합한 밀교 수행이다.[23]

중기 대승불교를 요가불교라고 부른다. 유가사지론이 유명하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Flood 1996, 94쪽
  2. Apte 1965, 788쪽
  3. 요가 학파에서 요가란 "마음의 작용(心作用)의 지멸(止滅)"이라고 한 것은 요가 학파의 경전인 《요가 수트라》의 제일 첫머리에 나오는 말이다. 요가에 대한 이 정의는 《중용》의 중화(中和)에 대한 설명인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희노애락이 나오지 않은 상태를 중(中)이라 하고 희노애락이 나오되 질서가 있는 것을 화(和)라 한다)"에서 나타나는 중(中)의 개념과 유사성이 있다. 서로 대비시켜 보면 마음의 작용(心作用)은 희노애락(喜怒哀樂)에, 지멸(止滅)의 상태는 미발(未發)의 상태에 대응한다. 힌두 철학에서 마음의 작용이 지멸된다는 것은 비즈냐나(식)가 지멸되는 것을 의미하며 즈냐나(지혜)가 지멸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비즈냐나(식)의 지멸이 즈냐나(지혜)가 나타나게 하는 직접적인 방법 또는 원인이라고 본다. 이것은 불교에서 선정에 의해 지혜(반야)가 드러나게 된다고 말하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다. 불교의 무심(無心) 또는 무념(無念)은 지혜(반야)가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작용아뢰야식이 완전히 소멸되는 것이다.[20] 사실상 마찬가지로, 《중용》에서 희노애락이 나오지 않은 상태인 중(中)은 희노애락을 느끼지 못하는 목석의 상태가 아니라 희노애락에 휘둘리지 않는 중용의 덕 또는 힘이 발휘되는 상태이다. 중용의 덕 또는 힘이 점점 더 발휘되면 될수록 희노애락이 질서 있게 나타나는 상태인 화(和)가 점점 더 완성되게 된다.
  4. The Yoga Tradition: its history, literature, philosophy and practice By Georg Feuerstein. ISBN 81-208-1923-3. pg 111
  5. <뉴욕스케치>도심 공원에서 요가 강습 Archived 2004년 10월 15일 - 웨이백 머신 뉴시스 2007-08-09
  6. 커버스토리 2002·가을·맨해튼 '패션피플'의 라이프 스타일 Archived 2004년 10월 15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2002-09-26
  7. Flood 1996, 96쪽
  8. Kumar Das 2006, 172–173쪽
  9. Possehl 2003, 144쪽
  10. Possehl 2003, 145쪽
  11. Marshall, Sir John, 《Mohenjo Daro and the Indus Civilization》, London 1931
  12. Flood 1996, 28–29쪽
  13. 파슈파티(Paśupati)를 동물의 왕(Lord of Animals)으로 번역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시오: Michaels 2004, 312쪽
  14. Keay 2000, 14쪽
  15. Flood 2003, 143쪽
  16. Flood 2003, 204–205쪽
  17.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요가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8. Bernard 1947, 89쪽
  19.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요가파 > 요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 유가사지론》 13권
  21. "Yoga,"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007 © 1997-2007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rchived 2005년 5월 21일 - 웨이백 머신 인용문 : "The strong influence of Yoga can also be seen in Buddhism, which is notable for its austerities, spiritual exercises, and trance states."
  22. Zen Buddhism: A History (India and China) By Heinrich Dumoulin, James W. Heisig, Paul F. Knitter (page 22)
  23. 여적 삼보일배 경향신문 2003-05-21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