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분쟁
미얀마는 당시 버마로 알려졌던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해인 1948년부터 반란이 계속되고 있다. 분쟁은 주로 민족에 기반을 둔 것으로, 여러 민족 무장 단체들이 미얀마의 군사인 따머도와 자결을 위해 싸우고 있다. 2008년 수많은 휴전과 자치 행정 구역의 신설에도 불구하고, 많은 단체들은 독립, 자치권 확대 또는 국가의 연방주의를 계속 요구하고 있다. 이 분쟁은 70년 이상 지속된 세계에서 가장 긴 내전이기도 하다.[1][2][3]
미얀마 분쟁 | |||||
---|---|---|---|---|---|
2024년 미얀마의 군사적 상황 | |||||
| |||||
교전국 | |||||
국민통합정부 (2021~) |
연대표
편집8888 항쟁
편집1988년 3월 12일, 학생들은 랑군(현재의 양곤)에서 네 윈 장군과 버마 사회계회당(BSPP)의 전체주의 통치에 반대하는 시위를 시작했다.[4] 시위는 순식간에 전국으로 번졌고, BSPP 정부는 결국 다당제를 채택하도록 압력을 받았다.[5] 그러나 BSPP 정부는 1988년 9월 18일 군사 쿠데타로 전복되었다. 이후 군 당국은 국가평화발전평의회(SLORC)를 설치하고 시위대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여 1988년 9월 21일까지 모든 시위를 종식시켰다.[6]
미얀마 당국은 약 350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고[7][8], 반대 단체들은 군부의 손에 의해 시위로 수천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9][10][11]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3,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 시위로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12] 8888 항쟁을 폭력적으로 진압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군사 정권은 시위가 중단된 후 일부 반란 단체와 협정을 파기하기로 합의했다.
2021년 쿠데타와 그 이후의 폭력
편집2021년 2월 1일 새벽, NLD가 이끄는 민간 정부가 군사 쿠데타로 전복되었고, 따머도의 총사령관 민 아웅 흘라잉이 국가 원수가 되었다. 아웅산수찌 여사와 그녀의 정부의 몇몇 다른 고위 구성원들은 쿠데타 동안 군에 의해 체포되었다.[13] 시위대가 민 아웅 흘라잉과 새로 창설된 국가행정평의회(SAC)의 사퇴, 쿠데타에 체포된 자들의 석방, 민정복구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다.[14]
대외지원
편집중화인민공화국
편집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미얀마 국경을 따라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미얀마 정부와 반군 단체와의 긴밀한 관계를 감안할 때, 분쟁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난을 오랫동안 받아왔다.[15]
인도
편집인도와 미얀마는 북동인도 반란이 겹치면서 전략적 군사관계를 맺고 있다. 인도는 미얀마 군부에 훈련, 무기, 전술 장비를 제공했다.[16] 양국 군은 1990년대부터 국경에서 저항세력에 대한 연합작전을 벌여왔다.[17] 미얀마는 또한 인도 북동부로부터 도망친 저항세력을 찾아내 체포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2020년 5월 미얀마는 몇몇 최고 지휘관들을 포함한 22명의 저항세력을 인도 당국에 넘겼다.[18] 마찬가지로 인도는 세계적인 항의에도 불구하고 로힝야족 난민을 미얀마로 강제 송환한 유일한 국가였다.[19]
파키스탄
편집1948년부터 1950년까지 파키스탄은 아라칸 북부(현재의 라카인주)의 무자헤딘에게 원조를 보냈다. 1950년 파키스탄 정부는 버마인들에게 무슬림에 대한 처우에 대해 경고했다. 이에 대응하여, 우 누 버마 총리는 즉시 이슬람 외교관 페 킨을 파견하여 양해각서를 협상하였다. 파키스탄은 무자헤딘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그 단체의 회원들을 체포하기로 동의했다. 1954년 무자헤딘 지도자 미르 카셈이 파키스탄 당국에 체포되었고, 그의 추종자 중 많은 수가 버마 정부에 항복했다.[20]
국제위기감시기구는 2016년 12월 14일,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ARSA)과의 인터뷰에서, 그들의 지도자들이 사우디아라비아와 파키스탄의 개인 기부자들과의 연계를 주장했다고 보고했다. ICG는 또 로힝야족 주민들이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전투기들에 의해 비밀리에 훈련받았다는 미확인 보도도 발표했다.[21][22] 2017년 9월, 방글라데시 소식통들은 파키스탄의 파키스탄 정보부(ISI)와 ARSA 간의 협력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23]
태국
편집태국은 미얀마 내 여러 반군 단체들의 목소리를 높여 당시 집권당이었던 군부 정타들의 행동을 규탄하고 느슨한 단속을 통해 무기와 탄약이 국경을 통해 밀반입되는 것을 허용했다.[24] 그러나 1995년 태국 정부는 미얀마와 주요 경제협정을 체결하면서 미얀마와의 국경을 확보하고 태국을 통과하는 모든 물류 지원을 중단했다.
미국
편집1951년부터 미 중앙정보국(CIA)은 중국 공산군의 윈난성 진격에 따라 미얀마로 도주한 국민당 군인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1953년까지 태국을 경유해 비살상적인 원조를 제공했던 작전서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 때 7000명의 병사를 대만으로 공수하여 작전을종료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Miliband, David (2016년 12월 12일). “How to Bring Peace to the World's Longest Civil War”. 《TIME》 (영어). 2019년 3월 11일에 확인함.
- ↑ Slow, Oliver (2018년 4월 26일). “Fighting in Kachin Highlights Myanmar Civil War Worries”. 《VOA》 (영어). 2019년 3월 11일에 확인함.
- ↑ Kaicome, Jittrapon (2019년 2월 8일). “Marking 70 Years of War in Myanmar”. 《The Diplomat》. 2019년 3월 11일에 확인함.
- ↑ Maureen Aung-Thwin (1989). “Burmese Days”. 《Foreign Affairs》.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c. 2013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Burma Press Summary, From Working People's Daily” (PDF). 《Online Burma Library》. 1988년 7월 23일. 3–7쪽. 2017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The Burma Socialist Programme Party (BSPP)” (영어). 2018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Ottawa Citizen. 24 September 1988. pg. A.16
- ↑ Associated Press. Chicago Tribune. 26 September 1988
- ↑ Ferrara (2003), pp. 313
- ↑ Philippa Fogarty (2008년 8월 6일). “Was Burma's 1988 uprising worth it?”. 《BBC News》. 2013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Wintle (2007)
- ↑ “The saffron revolution”. The Economist. 2011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Chappell, Bill; Diaz, Jaclyn (2021년 2월 1일). “Myanmar Coup: With Aung San Suu Kyi Detained, Military Takes Over Government”. 《NPR》. 2021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8일에 확인함.
- ↑ Strangio, Sebastian (2021년 2월 8일). “Protests, Anger Spreading Rapidly in the Wake of Myanmar Coup”. 《The Diplomat》. 2021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8일에 확인함.
- ↑ “China's Role in Myanmar's Internal Conflicts” (영어).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18년 9월 14일. 2020년 5월 8일에 확인함.
- ↑ Thiha, Amara (2017년 8월 25일). “The Bumpy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Myanmar”. 《The Diplomat》. 2020년 8월 6일에 확인함.
- ↑ Kanwal, Gurmeet (2015년 6월 8일). “Manipur ambush: Why Army? saw the worst attack in 20 years”. 《DailyO》. 2020년 8월 6일에 확인함.
- ↑ “Myanmar Army hands over 22 'Most Wanted Militants' from Northeast India, including top UNLF and NDFB commanders”. 《Northeast Now News》. 2020년 5월 15일. 2020년 8월 6일에 확인함.
- ↑ Kinseth, Ashley Starr (2019년 1월 28일). “India's Rohingya shame”. 《Al Jazeera》. 2020년 8월 6일에 확인함.
- ↑ U Nu, U Nu: Saturday's Son,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75, p. 272.
- ↑ J, Jacob (2016년 12월 15일). “Rohingya militants in Rakhine have Saudi, Pakistan links, think tank says”. 2017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Rohingya insurgency a 'game-changer' for Myanmar”. 《Bangkok Post》. 2016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Sudhi Ranjan Sen. “As Rohingya deepens, Bangladesh fears Pakistan's ISI will foment trouble”. 《India Today》.
- ↑ Alfred W. McCoy, with Cathleen B. Read and Leonard P. Adams II (2003). 《"The Shan Rebellion: The Road to Chaos", from The Politics of Heroin in Southeast Asia: CIA Complicity in the Global Drug Trade》 2003판. Lawrence Hill Books. ISBN 1-55652-483-8. 2011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뉴스
- Democratic Voice of Burma – Norwegian-based radio station that provides news to the people of Burma
- Mizzima News – Mizzima News, a multimedia news organisation based in India, run by exiled journalists.
- MyanmaThadin – Myanmar (Burma) News & Community Hub
- BBC News: The fighting spirit of Burma's Karen (2007)
조직
- Help without frontiers Archived 2013년 6월 7일 - 웨이백 머신 – German relief organisation working with Shan and Karen refugees living in refugee camps on and around the Myanmar–Thailand border
- International Center for Transitional Justice (Myanmar) – Non-profit organisation specialising in transitional justice
- Myanmar Peace Monitor –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based in Thailand that monitors Myanmar's ongoing peace process
- Pyidaungsu Institute Archived 2019년 10월 7일 - 웨이백 머신 – Political institute based in Chaing Mai, Thailand focused on achieving political stability and peace in Myan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