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 다발
미분기하학에서 밀도 다발(密度-, 영어: density bundle)은 적분을 정의할 수 있는 단면들을 갖는 선다발이다.
정의
편집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및 양의 실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실수 일반선형군 는 다음과 같은 자명한 1차원 표현을 갖는다.
여기서 우변은 양의 실수의 곱셈군 의 원소이다.
그렇다면 이 표현에 대한 연관 다발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밀도 다발(영어: -density bundle)이라고 하며, 이라고 쓴다. 만약 일 경우, 밀도 다발이라고 한다. -밀도 다발의 단면을 -밀도라고 한다.[1]:468–470, §XVI.4
텐서 다발과 밀도 다발의 텐서곱을 텐서 밀도 다발(영어: tensor density bundle)이라고 하고, 그 단면을 텐서 밀도(영어: tensor density)라고 한다.
미분 형식과의 관계
편집유향 다양체 의 경우, 밀도 다발은 최고차 미분 형식들의 다발 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이 동형은 다양체의 방향에 의존한다.) 즉, 이 경우 밀도는 최고차 미분 형식과 같은 개념이다. 그러나 가향 다양체가 아닌 경우 이러한 동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리만 다양체의 밀도 다발
편집리만 다양체 는 표준적인 밀도를 가지며, 이를 부피 밀도(영어: volume density)라고 한다. 국소적으로, 이는 부피 형식의 절댓값과 같다.
연산
편집-밀도와 -밀도는 곱할 수 있으며, -밀도를 얻는다. 어느 곳에서나 0이 아닌 -밀도는 역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밀도이다.
두 -밀도는 더할 수 있으며, -밀도를 얻는다.
적분
편집다양체 위의 1-밀도는 (적절한 수렴 조건이 충족된다면) 적분을 취할 수 있다. 매끄러운 다양체 의 국소 좌표계 에서, 밀도 의 적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유클리드 공간 위의 르베그 측도이다. 두 국소 좌표계의 교집합 에서, 밀도의 적분은 사용한 국소 좌표계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그렇다면 전체에서의 적분은 가법적(加法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응용
편집참고 문헌
편집- ↑ Lange, Serge (1999). 《Fundamentals of differential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91.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0541-8. ISBN 978-0-387-98593-0. ISSN 0072-5285.
같이 보기
편집- “Tensor density”.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Tensor density”.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Pseudotensor”.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Density”.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