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

기름에 고기, 채소, 춘장을 볶아 국수에 얹어 먹는 음식
(사천짜장에서 넘어옴)

짜장면(-醬麵) 또는 자장면(-醬麵)은 양파, 양배추채소돼지고기에 기름으로 튀긴 춘장을 넣어 굵은 국수에 비벼서 먹는 한국식 중국 요리로, 짬뽕, 우동과 더불어 대표적인 한국식 중국 요리로 꼽힌다.

짜장면
다른 이름자장면
종류국수
코스메인
원산지한국
관련 나라별 요리한국식 중국 요리
주 재료돼지고기, 양파, 양배추, 밀가루
보통 사용되는 재료감자, 호박, 해산물
음식 에너지
(650g 음식 당)
(간짜장 기준) 825[1] kcal

짜장면은 중국자장몐한국식으로 변형된 것이다. 산동 요리를 기반으로 하는 대부분 한국식 중국 요리처럼 그 대표격인 짜장면은 인천이 시작점이다.[2]

특징

편집

재료

편집

굵은 국수에 검은색에 가까운 양념을 얹어 비벼 먹는다.

영양

편집

짜장면 1인분의 열량은 대략 700kcal 정도로, 이는 한국 성인 기준 남성 1일 섭취량의 28%, 여성의 35%이다.[3]

종류

편집

종류는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 간짜장 : (←乾-)하고 녹말가루를 사용하는 대신 춘장기름에 볶아서 만든다.[4] 일반 짜장하고 달리 국수하고 짜장소스가 따로 나오며, 기호에 따라 계란 프라이를 곁들이는 경우도 있다.
  • 삼선짜장 : (三鮮-)새우, 오징어, 해삼, 미더덕, 전복, 주꾸미 같은 해산물을 넣어 만든다(생선 제외).
  • 유니짜장 : (←肉泥-)채소고기를 잘게 갈아 넣은 부드러운 짜장이다. ‘유니’는 다진 고기를 뜻하는 중국어 肉泥의 산둥 지방의 발음에서 온 말이다.[4]
  • 유슬짜장 : (←肉絲-)재료를 실처럼 가늘고 길쭉하게 채썰어서 국수와 같이 볶아 납작한 접시에 올려진 짜장이다. '유슬'은 길게 채썬 고기란 뜻의 중국어 肉絲의 산둥 지방의 발음에서 온 말이다.[4]
  • 옛날짜장 : 소스가 묽은 편이고 감자가 들어가 있어 춘장의 맛이 부드럽다.
  • 사천짜장 : (四川-)춘장 대신 두반장을 사용해서 만들며, 짜장겨자 또는 고추를 넣은 것이 특징이다(춘장하고 두반장을 섞어서 하는 경우도 있음). 순 100% 두반장만 사용할 경우 짜장면 특유의 검은색이 아닌 붉은색이 되며, 쓰촨 요리처럼, 매운 것이 특징이다.
  • 쟁반짜장 : 큰 쟁반에 볶은 짜장을 올려 여럿이 같이 먹는 짜장으로, 대표적으로 해물 쟁반짜장이 있다.
  • 짜장밥 : 국수 대신 짜장을 비벼먹는 음식이다.

짜장면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인스턴트 식품으로 가공되어 짜장라면 (짜파게티, 짜짜로니, 짜왕, 짜슐랭 등)이 판매되고 있다.

그 밖에도 일반 짜장면에 다양한 토핑을 얹어서 먹는 종류의 짜장면도 있다.

유래와 역사

편집
 
짜장면박물관 (구 공화춘 건물)

짜장면은 중국의 산둥반도 지역의 가정식이었던 자장몐(炸醬麵)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하여 만들어진 음식이다.

지금도 베이징에서는 라오베이징자장몐다왕(老北京炸醬麵大王)등 전문점이 산동식 자장몐을 판다.[5] 1890년대 중국 산둥(山東) 지방에서 건너 온 부두 근로자인 쿠리(苦力·하역 인부)들이 인천항 부둣가에서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춘장국수를 비벼 먹던 음식이 짜장면의 시작이었다.[6]

이후 청조계지를 중심으로 짜장면을 만들어 파는 중식음식점이 많이 생겼는데, 흔히 '원조 짜장면 집'으로 알려진 공화춘은 1905년에 문을 열었다.[7][8]

1948년 영화장유가 창업하여 짜장면용 면장을 만들어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중반, 영화장유의 사장 왕송산은 춘장캐러멜을 넣어 단맛이 나도록 하고 사자표 춘장이라는 상품명으로 출시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짜장면은 여러모로 중국의 자장몐과는 다른 음식이 되었다.[9]

1960년대에 짜장면의 원가를 낮추기 위해 감자양파를 넣게 되었다.[10] 1960년대~1970년대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펼친 분식장려운동과 조리 시간이 비교적 짧은 점이 산업화 시대와 맞아 떨어지면서 짜장면은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11]

대중 문화 속의 짜장면

편집

짜장면은 저렴한 가격에 어디서나 시켜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한국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북극해 횡단을 3개월 만에 마친 등산가 허영호 씨는 인터뷰에서 가장 먹고 싶은 음식으로 짜장면을 꼽기도 해 화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한국에서 외식산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전인 1980년대 이전에는 서민들이 외식할 때 가장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각광 받았으며, 특히 입학·졸업[12]·생일을 축하할 때, 이사를 가는 날 등에 가족들이 같이 즐겨 먹었다.

god의 1집에 수록된 《어머님께》에서도 짜장면을 통해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기억을 더듬는 내용이 나오기도 한다. 노래뿐만 아니라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 《살인의 추억》과 드라마 《환상의 커플》 등 많은 작품에서 짜장면에 대한 내용이 나왔다. 허영만 화백의 만화식객》에서는 중화요리의 대를 이어온 화교 삼부자 이야기에 등장했다.

표준어 문제

편집

문교부(현.교육부)가 1986년 고시한 외래어 표기법표준국어대사전에는 '자장면'만이 표준어이고 맞춤법에 맞는 표기로 실려 있었다.[13]

국립국어원 박용찬의 설명에 따르면, 자장면은 짬뽕과는 달리, 중국 된장을 가리키는 '자장'과 한자어인 '면'(麵)이 결합한 형태로 보기 때문이라고 한다.[13]

그러나, 2002년에 발행된 표준 발음 실태 조사(최혜원,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서울·경기 지방 사람 210명 중, 151명이 '자장면'이 아닌 '짜장면'으로 발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4]

한편, 시인 안도현은 그의 작품 《짜장면》의 제목과 관련해 "짜장면을 먹자고 해야지, 자장면을 먹자고 하면 영 입맛이 당기지 않을 게 뻔하다."라고 썼다.[15] 그 밖에도 "짜장면은 자장면으로 쓰면서 짬뽕은 왜 잠봉이 아닌지[16] 의문이 들게 만든다"라면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을 비판하는 견해가 있다.[17]

한편, 2009년 5월 17일, SBS TV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SBS 스페셜의 164회 "자장면의 진실"에서 "짜장면"이란 표기의 정당성을 내세웠다. 이와 더불어 해당 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자장면"과 "짜장면"의 표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당시 응답자 중 91.8%가 "짜장면"으로 부르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했다.[18]

2011년 8월 31일, 국립국어원은 아나운서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쓰지 않는 "자장면"에 비해 "짜장면"이 실생활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현실을 수용해 "짜장면"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19]

가격

편집
 
짜장면의 물가 지수 변화

1963년 무렵 짜장면 한 그릇의 가격은 20 ~ 30 원 정도였다.[20] 2010년 가격을 100으로 하였을 때 짜장면의 물가 지수 변화는 아래의 표와 같다.[21]

연도 물가지수 가격
2013년 110.15 5,000 원[22]
2012년 108.26 4,500 원[23]
2011년 107.0
2010년 100.0 3,900 원[23]
2009년 98.768
2008년 97.067
2007년 85.839
2006년 82.749
2005년 81.674
2004년 81.331
2003년 79.463
2002년 71.938
2001년 67.929
2000년 67.091
1999년 66.150
1998년 68.575
1997년 60.125
1996년 56.790
1995년 52.241 1,900 원[23]
1994년 49.011
1993년 44.440
1992년 41.096
1991년 36.795
1990년 30.391
1989년 25.119 1,200 원[24]
1988년 21.236
1987년 18.889
1986년 18.032
1985년 17.265
1984년 15.925
1983년 14.732
1982년 14.780
1981년 9.756
1980년 7.788 500 원
1979년 5.720
1978년 5.455
1977년 5.455
1976년 4.271
1975년 3.870 210 원[22]

대중 매체

편집
  • 〈짜장면의 진실〉. 《SBS 스페셜》 (텔레비전). 제 164회. 2009년 5월 17일. SBS 시사교양본부 기획·제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정종훈 (2015년 7월 4일). “돼지고기 수육, 칼로리 1위 … 나트륨 제일 많은 건 짬뽕”. 중앙일보. 2015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8일에 확인함. 
  2. 정광호 <음식천국, 중국을 맛보다> 매일경제신문사 2008년 p27
  3. 구민정 (2008년 4월 10일). “[라이벌열전] 자장면 1인분, 열량은 얼마나 될까?”. 일간스포츠. 2020년 8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신정선, 지위도 체통도 白旗투항… 온국민 홀린 '검은 마력', 조선일보
  5. 양세욱,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년, ISBN 978-89-01-09300-0, 116-121쪽
  6. 짜장면-쫄면의 원조도시에 '누들타운' 만든다 동아일보, 2014.3.18.
  7. 오형규, 《자장면 경제학》, 좋은책만들기, 2010년, ISBN 89-92-53836-7, 19쪽
  8. 자장면 발상지 '문화재 됐다' Archived 2014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한겨레신문, 2006.4.14.
  9. 양세욱,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년, ISBN ISBN 978-89-01-09300-0, 145-149쪽
  10. 주영하; 김혜숙; 양미경 (2017).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 현대 식생활사》 1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149쪽. ISBN 979-11-5866-259-2. 
  11. 김남인 (2009년 3월 7일). "한국인, 하루에만 자장면 600만 그릇 먹죠". 조선일보. 2009년 3월 22일에 확인함. 
  12. 천상옥 (2006년 2월 16일). “졸업식날 자장면 '옛말'. 메디뉴스. 연합뉴스. 2007년 11월 4일에 확인함. 
  13. 박용찬. “‘짜짱면’, ‘짬뽕’”. 국립국어연구원. 2021년 5월 23일에 확인함. 
  14. 최혜원 (2002). 《표준 발음 실태 조사》 (PDF). 국립국어원. 19쪽. 
  15. 안도현 (2005년 10월 5일). “그래도 짜장면 이다”. 한겨레. 2021년 5월 23일에 확인함. 
  16. 짬뽕의 어원은 일본어잔폰(일본어: ちゃんぽん)이다.
  17. 김하수,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배달말 25쪽, 배달말학회.
  18. “[SBS스페셜]⑤발음공방 '짜장면 대 자장면'. SBS. 2009년 5월 19일. 2021년 5월 23일에 확인함. 
  19. 김태식 (2011년 8월 31일). '짜장면', 표준어 됐다”. 연합뉴스. 2021년 5월 23일에 확인함. 
  20. 서민 굶주림 해결한 ‘라면의 代父’ 동아일보, 2014.7.12.
  21. 대한민국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품목별 소비자 물가지수
  22. 글로벌 경제 '디스인플레' 조짐…돈 풀어도 물가는 주춤 한국경제신문, 2013.8.23.
  23. 자장면 값 두 배 올라도 쌀 값은 그대로 경남매일, 2012.11.25.
  24. 여수시내 음식값 등 크게 올라 연합뉴스, 1990.3.7.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낱말사전에 자장면 관련 글이 있습니다.
  •   위키책에 자장면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   위키미디어 공용에 짜장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