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장
삼장(三藏, Tripitaka)은 불교의 경전을 경, 율, 논의 3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합쳐서 부르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경은 깨달은 자로서의 고타마 붓다의 말씀 또는 가르침, 논은 고타마 붓다 이후의 제자들이 경과 율에 대한 주석 등을, 율은 특히 계율에 대한 내용이다. 하지만 흔히 이 세가지를 모두 합쳐 경이라고 하기도 한다.
산스크리트어의 pitaka(한문 번역: 藏)는 '둥우리, 모음집'을 뜻하며,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이 고타마 붓다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 가르침을 모아서 그 성격에 따라 세가지 모음집으로 편성하여 'Tripitaka'(삼장(三藏))라 불렀다. 세친의 《섭대승론석》에 따르면 장(藏)은 '능히 포섭한다[能攝]'는 뜻으로, '마땅히 알아야 할 모든 의미[義]를 포섭한다'는 뜻이라고 말하고 있다.[1][2]
고타마 붓다의 말씀을 아함(阿含, Āgama)이라 일컬으며, 이를 직접 받아 적은 글들을 경(經, Sūtra)이라 부르고 있다. 이 경전을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이 후에 해설한 글들을 논(論, Sāstra)이라는 이름 하에 모아 편성하였다. 그리고 불교의 여러 가지 규칙과 의식 등에 관해 설명한 글 들은 율(律, Vinaya)이라고 부르고 있다. 흔히 대장경, 일체경이라는 낱말은 위의 세가지 불교의 경전을 총칭하는데 쓰이고 있다.
구성
편집경장
편집경장(經藏)은 Suttapitaka의 한문 역어이다.
- 장 (長, Dīghanikaya): 34 경
- 중 (中, Majjhimanikāya): 152 경
- 상응 (相應, Samyuttanikāya): 2872 경
- 증지 (增支, Anguttaranikāya): 2198 경
- 소부 (小部, Khuddakanikāya): 15 경
율장
편집율장(律藏)은 Vinayapitaka의 한문 역어이다.
- 경분별 (經分別): 율을 나누어 설명한 것.
- 대분별 (大分別): 남자 수행승이 지켜야 할 것
- 비구니분별 (比丘尼分別): 여자 수행승이 지켜야 할 것.
- 건도부 (揵度部): 종단의 제도와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규칙.
- 대품 (大品): 10 편
- 소품 (小品): 12 편
- 부록 19 장
논장
편집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594, T.1597). 《섭대승론석》.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94(17-76), T.1597(31-32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97).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97,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각주
편집-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97, 제1권. p. T31n1597_p0321c14 - T31n1597_p0321c17. 장(藏)
"此中三藏者。一素怛纜藏。二毘奈耶藏。三阿毘達磨藏。如是三藏下乘上乘有差別故則成二藏。一聲聞藏。二菩薩藏。此三及二何緣名藏。由能攝故。謂攝一切所應知義。"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594, T.1597, 제1권. p. 6 / 297. 장(藏)
"여기서 3장(藏)은 첫째는 경장[素怛纜藏]이고, 둘째는 율장[毘奈耶藏]26)이며, 셋째는 논장[阿毘達磨藏]27)이다. 이와 같은 3장은 뛰어난 교법과 열등한 교법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2장(藏)을 이룬다. 첫째는 성문장이고, 둘째는 보살장이다. 이 세 종류와 두 종류는 무슨 인연으로 장(藏)이라고 부르는가? 능히 포섭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마땅히 알아야 할 모든 의미를 포섭한다.
26) 비나야(毘那耶)는 범어 vinaya의 음역으로서, 비나야(毘奈耶)ㆍ비니(毘尼)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계율을 말하며, 율(律)ㆍ멸(滅)ㆍ조복(調伏)이라 의역한다.
27) 범어 abhidharma의 음역으로서, 아비담(阿毘曇)ㆍ비담(毘曇)이라고도 한다. ‘교법에 대한 연구’의 의미로서 대법(對法)ㆍ무비법(無比法)ㆍ승법(勝法)ㆍ논(論)으로 번역한다."
이 글은 불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