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소 집합
집합론에서 서로소 집합(-素集合, 영어: disjoint sets)는 공통 원소가 없는 두 집합이다.[1] 예를 들어서 1, 2, 3}과 4, 5, 6}은 서로소이며 1, 2, 3}과 3, 4, 5}는 아니다.
정의
편집두 집합 가 을 만족시키면, 서로소 집합이라고 한다.
집합족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서로소 집합족(영어: disjoint family of sets)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거나, 이다.[1]
기수 에 대하여, 두 집합 가 를 만족시키면, -거의 서로소 집합(영어: -almost disjoint sets)이라고 한다. 비슷하게 -거의 서로소 집합족(영어: -almost disjoint family of sets)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을 취하면 서로소 집합 및 서로소 집합족의 개념을 얻는다.
예
편집-
드럼과 기타의 집합, 카드와 책의 집합은 서로소이다.
-
서로소 집합족
-
서로소가 아닌 집합족
성질
편집관련 개념
편집위상수학에는 서로 분리된 집합의 여러 종류의 개념이 있는데 이들은 서로소보다 더 엄격한 조건을 가진다. 예를 들어, 서로소인 폐포를 가지거나 서로소인 근방을 가진 두 집합을 서로 분리된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거리공간에서 양수로 분리된 집합은 0이 아닌 거리로 분리된 두 집합을 뜻한다.[5]
집합 의 분할은 합집합이 이고 서로소인 집합들로 이루어진 집합족이다.[6] 모든 분할은 하나의 동치 관계와 대응한다.[6] 서로소 집합 데이터 구조[7]와 분할 세분화[8]는 컴퓨터 과학에서 각각 합집합, 세분화 연산의 대상이 되는 집합의 분할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기술이다.
분리합집합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서로소 집합들의 경우 그들의 합집합이 바로 그들의 분리합집합이고,[9] 서로소가 아닌 경우 서로소가 되게끔 변형한 뒤 합집합을 취한다.[10] 임의의 원소를 자신과 속하는 집합의 지표의 순서쌍으로 대체하는 것은 변형의 한 방법이다.[11][12]
헬리 족은 교집합이 공집합인 최소 부분집합족은 모두 서로소인 집합족이다. 여기서 '최소'는 그 부분집합족이 교집합이 공집합인 부분집합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든 폐구간의 집합은 헬리 족의 한 예이다.[1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Halmos, P. R. (1960), 《Naive Set Theory》, Under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 15쪽, ISBN 9780387900926
- ↑ 가 나 Oberste-Vorth, Ralph W.; Mouzakitis, Aristides; Lawrence, Bonita A. (2012), 《Bridge to Abstract Mathematics》, MAA textbooks (영어),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59쪽, ISBN 9780883857793
- ↑ See answers to the question ″Is the empty family of sets pairwise disjoint?″[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Smith, Douglas; Eggen, Maurice; St. Andre, Richard (2010), 《A Transition to Advanced Mathematics》 (영어), Cengage Learning, 95쪽, ISBN 9780495562023
- ↑ Copson, Edward Thomas (1988), 《Metric Spaces》, Cambridge Tracts in Mathematics (영어) 57,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쪽, ISBN 9780521357326
- ↑ 가 나 Halmos (1960, 28쪽)
- ↑ Cormen, Thomas H.; Leiserson, Charles E.; Rivest, Ronald L.; Stein, Clifford (2001), 〈Chapter 21: Data structures for Disjoint Sets〉, 《Introduction to Algorithms》 (영어) Seco판, MIT Press, 498–524쪽, ISBN 0-262-03293-7
- ↑ Paige, Robert; Tarjan, Robert E. (1987), “Three partition refinement algorithms”, 《SIAM Journal on Computing》 (영어) 16 (6): 973–989, doi:10.1137/0216062, MR 917035
- ↑ Ferland, Kevin (2008), 《Discrete Mathematics: An Introduction to Proofs and Combinatorics》 (영어), Cengage Learning, 45쪽, ISBN 9780618415380
- ↑ Arbib, Michael A.; Kfoury, A. J.; Moll, Robert N. (1981), 《A Basis for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The AKM serie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Texts and monographs in computer science (영어), Springer-Verlag, 9쪽, ISBN 9783540905738
- ↑ Monin, Jean François; Hinchey, Michael Gerard (2003), 《Understanding Formal Methods》 (영어), Springer, 21쪽, ISBN 9781852332471
- ↑ Lee, John M. (2010), 《Introduction to Topological Manifold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02 2판, Springer, 64쪽, ISBN 9781441979407
- ↑ Bollobás, Béla (1986), 《Combinatorics: Set Systems, Hypergraphs, Families of Vectors, and Combinatorial Probabilit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쪽, ISBN 9780521337038
외부 링크
편집- Weisstein, Eric Wolfgang. “Disjoint sets”.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Disjoint subsets”. 《nLab》 (영어).
- “disjoint”. 《PlanetMath》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