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
서울특별시의 특수재난대응기관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서울特別市119特殊救助團, Seoul 119 Special Rescue Service)는 특수재난현장의 구조·구난 활동을 분장하는 서울특별시청의 직속기관이다. 단장은 소방정으로 보한다.[1]
![]() 특수구조대 구청사 | |
기본정보 | |
---|---|
설치년도 | 2012년 |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110-26 |
지휘체계 | |
국가 | ![]() |
상급기관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관할구역 | 서울특별시 |
함께 읽기 | |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 - 공식 웹사이트 |
지도 | |
![]() |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1/18/Kowaterres32.jpg/200px-Kowaterres32.jpg)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편집설치 근거
편집-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제47조제1항[2]
소관 사무
편집- 화학사고 등 특수재난 및 대형 재난사고의 구조·구난 활동
- 헬기를 이용한 화재진압, 인명구조 및 응급환자 이송
- 수난 인명구조 등 수난사고 대응
- 산악사고에 대한 인명구조 활동
연혁
편집조직
편집단장
편집구조대의 명칭·위치 및 관할구역
편집명칭 | 사진 | 주소 | 관할구역 |
---|---|---|---|
특수구조대 | 도봉구 도봉로 666 | 서울특별시 전역 | |
소방항공대 | 강서구 하늘길 84 | 서울특별시 전역 | |
뚝섬수난구조대 | 광진구 강변북로 26 | 한남대교 중심선 ~ 강동구 강일동 | |
반포수난구조대 | 동작구 동작대로 335-1 | 한강철교 중심선 ~ 한남대교 중심선 | |
여의도수난구조대 | 영등포구 여의서로 82 | 강서구 개화동 ~ 한강철교 중심선 | |
도봉산산악구조대 | 도봉구 도봉산길 86-2 | 도봉산 및 주변 산 일대 | |
북한산산악구조대 | 은평구 진관길 46 | 북한산 및 주변 산 일대 | |
관악산산악구조대 | 관악구 신림로 15-252 | 관악산 및 주변 산 일대 |
항공장비
편집자체 식별번호는 SU(Seoul)를 사용한다.[10]
운용중
편집퇴역
편집사건사고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제56조의2
- ↑ 「지방자치법」 제113조에 따라 특수재난현장의 구조·구난 활동을 위하여 서울특별시장 소속하에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을 설치한다.
- ↑ 김여란 (2013년 11월 15일). “네이버캐스트: [직업의 세계] 하늘을 누비는 소방관, 소방항공대”. 2014년 5월 1일에 확인함.
- ↑ “서울「119특수구조대」7월 창설”. 《매일경제》. 1996년 3월 8일. 2017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조례 제3512호
- ↑ 조례 제4593호
- ↑ 규칙 제3873호
- ↑ 조례 제5767호
- ↑ 가 나 다 라 마 지방소방령으로 보한다.
-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2016년 6월 28일). “소방항공기 기관기호”. 2016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 “공공기관 항공기 등록”. 2014년 4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오긍환 (2004년 2월). 《소방헬기 사고방지를 위한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경남·대구소방헬기 사고사례 분석》 (학위논문). 호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최영수 (2005년 8월 3일). “25년 임무수행 후 퇴역하는 소방헬기”. 연합뉴스.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중랑천변 소방헬기 추락, 조종사 중상(종합)”. 연합뉴스. 1996년 8월 31일.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 ↑ 조현일 (2010년 12월 3일). “한강서 수난구조대 보트 전복… 2명 사망”. 세계일보. 2014년 2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119특수구조단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