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간
세간(世間)의 산스크리트어로는 '로카(loka)'와 '라우키카(laukika)'가 있다.[1]
로카(loka)는 세상 또는 세계를 뜻하며 영어로는 'world (세상)'를 뜻한다.[2] 이 때의 세계는 불생불멸의 무위의 세계가 아니라 생멸하고 천류하고 파괴되는 유위의 세계를 의미한다.[1]
라우키카(laukika)는 세속(世俗)의 의미이다. 영어로는 'relating or belonging to or occurring in every-day life (매일의 일상의 삶에 관계된, 매일의 일상의 삶에 속한, 매일의 일상의 삶에서 일어나는)'를 뜻한다.[1][3]
따라서, 세간(世間)은 세속의 유위의 세계를 의미한다. 세간에 대해 비세속의 무위의 세계 또는 무위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세간을 벗어난 것' 또는 '세간 너머의 것'이라는 뜻에서 출세간(出世間)이라 한다.[4][5][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星雲, "世間".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 ↑ Macdonell 1929, "loka". p. 263.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 ↑ Macdonell 1929, "laukika". p. 266.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 ↑ 운허, "出世間(출세간)".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 ↑ 星雲, "出世間".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 ↑ DDB, "世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世間:
Pronunciations: [py] shìjiān [wg] shih-chien [hg] 세간 [mc] segan [mr] segan [kk] セケン [hb] seken [qn] thế gian
Basic Meaning: world
Senses:
# Conventional, mundane, worldly. The secular world. The logograph 世 means 'transient,' while the logograph 間 means 'within.' The transient world of phenomenal appearances. Used with similar connotations in early classical Chinese texts such as the Shiji 史記.(Skt. loka, laukika; loka-dhātu, sarva-loka, sarga, jagat; Tib. 'gro ba, 'jig rten pa) [Charles Muller, Stephen Hodge; source(s): Nakamura, Yokoi, Iwanami]
# The people of the world; this world; sentient beings 人間. The customs of the secular world; conventions 俗. [Charles Muller, Stephen Hodge; source(s): Nakamura]
# In texts that discuss doctrines of levels of practitioners, this term is equivalent in meaning to 'unenlightened sentient being' 凡夫. In bodhisattva path theory, it usually refers to persons who are at the stage of the ten faiths 十信, ten understandings 十解, or ten practices 十行, thus being contrasted with the term 'transmundane' 出世間, which refers to the world perceived by enlightened practitioners, such as bodhisattvas in the ten grounds 十地, and buddhas. [Charles Muller]
# The 'container world' (器世間); the unconditioned realm (Skt. bhājana-loka). [Charles Muller]
# (Skt. alokôttaratva, iha, *iha-loka, kusaṃskṛta, kṣetra, jaga, jana, jīva-loka, nara-loka, prajā, bhūta, bhūtala-maṇḍala, manu-jāḥ, mahā-jana-kāya, medini, loka-yātrā, lokika, lokya, laukikī, laukikya, vīthī, saṃsāra) [Charles Muller; source(s): Hirakawa]
# Also in: CJKV-E
# Cf. Karashima (Lokakṣema Glossary): view / hide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618
Bulgyo sajeon 471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657b
Iwanami bukkyō jiten 487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602
Zengo jiten (Iriya and Koga) 5-P6
Bukkyōgo daijiten (Nakamura) 816b
Fo Guang Dictionary 1524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069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2919b,1596a
Bukkyō daijiten (Oda) 1026-1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165
Lokakṣema's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Karashima) 434"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5일에 확인함.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 (영어) Macdonell, Arthur Anthony (1929). 《A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with transliteration, accentuation, and etymological analysis throughou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2015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5일에 확인함.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