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 범주 (循環範疇, 영어 : cycle category )
Cyc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
는 다음과 같은 작은 범주 이다.[ 1] :202, Definition 6.1.1
Cyc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
의 대상은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이다.
Cyc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
의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사상들로 생성된다.
δ
n
i
:
n
−
1
→
n
(
0
≤
i
≤
n
)
{\displaystyle \delta _{n}^{i}\colon n-1\to n\qquad (0\leq i\leq n)}
(면 사상 )
σ
n
i
:
n
+
1
→
n
(
0
≤
i
≤
n
)
{\displaystyle \sigma _{n}^{i}\colon n+1\to n\qquad (0\leq i\leq n)}
(퇴화 사상 )
τ
n
:
n
→
n
{\displaystyle \tau _{n}\colon n\to n}
(순환 사상 )
이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이 가운데,
τ
{\displaystyle \tau }
를 포함하지 않는 것들은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의 정의에 등장하는 것과 같다.)
δ
n
−
1
j
∘
δ
n
i
=
δ
n
−
1
i
∘
δ
n
j
−
1
(
0
≤
i
<
j
)
{\displaystyle \delta _{n-1}^{j}\circ \delta _{n}^{i}=\delta _{n-1}^{i}\circ \delta _{n}^{j-1}\qquad (0\leq i<j)}
σ
n
+
1
j
∘
σ
n
i
=
σ
n
+
1
i
∘
σ
n
j
+
1
(
0
≤
i
≤
j
)
{\displaystyle \sigma _{n+1}^{j}\circ \sigma _{n}^{i}=\sigma _{n+1}^{i}\circ \sigma _{n}^{j+1}\qquad (0\leq i\leq j)}
σ
n
j
∘
δ
n
+
1
i
=
{
δ
n
i
∘
σ
n
−
1
j
−
1
i
<
j
id
n
i
∈
{
j
,
j
+
1
}
δ
n
i
−
1
∘
σ
n
−
1
j
i
>
j
+
1
{\displaystyle \sigma _{n}^{j}\circ \delta _{n+1}^{i}={\begin{cases}\delta _{n}^{i}\circ \sigma _{n-1}^{j-1}&i<j\\\operatorname {id} _{n}&i\in \{j,j+1\}\\\delta _{n}^{i-1}\circ \sigma _{n-1}^{j}&i>j+1\end{cases}}}
τ
n
∘
⋯
∘
τ
n
⏞
n
+
1
=
id
n
{\displaystyle \overbrace {\tau _{n}\circ \dotsb \circ \tau _{n}} ^{n+1}=\operatorname {id} _{n}}
τ
n
∘
δ
n
i
=
δ
n
i
−
1
∘
τ
n
−
1
(
1
≤
i
≤
n
)
{\displaystyle \tau _{n}\circ \delta _{n}^{i}=\delta _{n}^{i-1}\circ \tau _{n-1}\qquad (1\leq i\leq n)}
τ
n
∘
σ
n
i
=
σ
n
i
−
1
∘
τ
n
+
1
(
1
≤
i
≤
n
)
{\displaystyle \tau _{n}\circ \sigma _{n}^{i}=\sigma _{n}^{i-1}\circ \tau _{n+1}\qquad (1\leq i\leq n)}
이제, 임의의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의 순환 대상 은 순환 범주의 반대 범주 에서
C
{\displaystyle {\mathcal {C}}}
로 가는 함자
Cyc
op
→
C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to {\mathcal {C}}}
이다.
구체적으로,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순환 대상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단체 대상
(
X
∙
,
∂
∙
i
,
d
∙
i
)
{\displaystyle (X_{\bullet },\partial _{\bullet }^{i},d_{\bullet }^{i})}
. 여기서
∂
∙
i
:
X
∙
→
X
∙
−
1
{\displaystyle \partial _{\bullet }^{i}\colon X_{\bullet }\to X_{\bullet -1}}
는 면(面)이며,
s
∙
i
:
X
∙
→
X
∙
−
1
{\displaystyle s_{\bullet }^{i}\colon X_{\bullet }\to X_{\bullet -1}}
는 퇴화 단체이다.
일련의 동형 사상 들
t
n
:
X
n
→
X
n
{\displaystyle t_{n}\colon X_{n}\to X_{n}}
,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이들은 다음 호환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순환의 순환성)
t
n
∘
⋯
∘
t
n
⏞
n
+
1
=
id
X
n
{\displaystyle \overbrace {t_{n}\circ \dotsb \circ t_{n}} ^{n+1}=\operatorname {id} _{X_{n}}}
. 특히,
t
0
=
id
X
0
{\displaystyle t_{0}=\operatorname {id} _{X_{0}}}
이다.
(순환과 면의 호환)
∂
n
i
∘
t
n
=
t
n
−
1
∘
∂
n
i
−
1
(
1
≤
i
≤
n
)
{\displaystyle \partial _{n}^{i}\circ t_{n}=t_{n-1}\circ \partial _{n}^{i-1}\qquad (1\leq i\leq n)}
(순환과 퇴화 단체의 호환)
s
n
i
∘
t
n
=
t
n
+
1
∘
s
n
i
−
1
(
1
≤
i
≤
n
)
{\displaystyle s_{n}^{i}\circ t_{n}=t_{n+1}\circ s_{n}^{i-1}\qquad (1\leq i\leq n)}
순환 대상의 개념은 순환군 말고도 정이면체군 이나 대칭군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교차단체군 (交叉單體群, 영어 : crossed simplicial group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단체 집합
G
∙
:
△
op
→
Set
{\displaystyle G_{\bullet }\colon \triangle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G
n
{\displaystyle G_{n}}
위의 군 구조
임의의
m
,
n
∈
N
{\displaystyle m,n\in \mathbb {N} }
에 대하여,
hom
△
(
m
,
n
)
{\displaystyle \hom _{\triangle }(m,n)}
위의,
G
n
{\displaystyle G_{n}}
의 오른쪽 군 작용
hom
△
(
m
,
n
)
×
G
n
→
hom
△
(
m
,
n
)
{\displaystyle \hom _{\triangle }(m,n)\times G_{n}\to \hom _{\triangle }(m,n)}
이들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 :205, Proposition 6.1.6
임의의
ϕ
∈
hom
△
(
m
,
n
)
{\displaystyle \phi \in \hom _{\triangle }(m,n)}
및
χ
∈
hom
△
(
n
,
p
)
{\displaystyle \chi \in \hom _{\triangle }(n,p)}
및
g
∈
G
p
{\displaystyle g\in G_{p}}
에 대하여,
(
χ
∘
ϕ
)
⋅
g
=
(
χ
⋅
g
)
∘
(
ϕ
⋅
G
(
χ
op
)
(
g
)
)
∈
hom
△
(
m
,
p
)
{\displaystyle (\chi \circ \phi )\cdot g=(\chi \cdot g)\circ \left(\phi \cdot G(\chi ^{\operatorname {op} })(g)\right)\in \hom _{\triangle }(m,p)}
임의의
g
,
h
∈
G
n
{\displaystyle g,h\in G_{n}}
및
ϕ
∈
hom
△
(
m
,
n
)
{\displaystyle \phi \in \hom _{\triangle }(m,n)}
에 대하여,
G
(
ϕ
op
)
(
g
h
)
=
G
(
ϕ
⋅
h
)
op
(
g
)
G
(
ϕ
op
)
(
h
)
∈
G
m
{\displaystyle G(\phi ^{\operatorname {op} })(gh)=G(\phi \cdot h)^{\operatorname {op} }(g)G(\phi ^{\operatorname {op} })(h)\in G_{m}}
교차단체군의 예는 다음이 있다.
모든 단체군 은 교차단체군이다. (그러나 단체군이 아닌 교차단체군이 존재한다.)
순환군
G
n
=
Cyc
(
n
+
1
)
{\displaystyle G_{n}=\operatorname {Cyc} (n+1)}
정이면체군
G
n
=
Dih
(
n
+
1
)
{\displaystyle G_{n}=\operatorname {Dih} (n+1)}
쌍순환군
G
n
=
Dic
(
n
+
1
)
{\displaystyle G_{n}=\operatorname {Dic} (n+1)}
대칭군
G
n
=
Sym
(
n
+
1
)
{\displaystyle G_{n}=\operatorname {Sym} (n+1)}
교차단체군
G
∙
{\displaystyle G_{\bullet }}
이 주어졌을 때, 임의의
ϕ
∈
hom
△
(
m
,
n
)
{\displaystyle \phi \in \hom _{\triangle }(m,n)}
및
g
∈
G
n
{\displaystyle g\in G_{n}}
에 대하여 편의상
g
⋅
ϕ
=
G
(
ϕ
op
)
(
g
)
∈
G
m
{\displaystyle g\cdot \phi =G(\phi ^{\operatorname {op} })(g)\in G_{m}}
로 표기하자. 이는
g
⋅
(
ϕ
∘
χ
)
=
(
g
⋅
ϕ
)
⋅
χ
{\displaystyle g\cdot (\phi \circ \chi )=(g\cdot \phi )\cdot \chi }
를 만족시킨다.
교차단체군
G
∙
{\displaystyle G_{\bullet }}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작은 범주
△
G
∙
{\displaystyle \triangle _{G_{\bullet }}}
를 정의할 수 있다.
△
G
∙
{\displaystyle \triangle _{G_{\bullet }}}
의 대상은 자연수 이다. 즉,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의 대상과 같다.
△
G
∙
{\displaystyle \triangle _{G_{\bullet }}}
의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꼴의 순서쌍 이다.
hom
△
G
∙
(
m
,
n
)
=
hom
△
(
m
,
n
)
×
G
{\displaystyle \hom _{\triangle _{G_{\bullet }}}(m,n)=\hom _{\triangle }(m,n)\times G}
사상의 합성은 다음과 같다.[ 1] :207, Corollary 6.1.7 여기서,
g
∈
G
n
{\displaystyle g\in G_{n}}
에 대하여
τ
g
:
hom
△
G
∙
(
n
,
n
)
{\displaystyle \tau _{g}\colon \hom _{\triangle _{G_{\bullet }}}(n,n)}
은
(
id
n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n},g)}
에 대응하는 사상이며,
ϕ
∈
hom
△
(
m
,
n
)
{\displaystyle \phi \in \hom _{\triangle }(m,n)}
이다.
ϕ
∘
τ
g
=
(
ϕ
,
g
)
(
ϕ
∈
hom
△
(
m
,
n
)
,
g
∈
G
m
)
)
{\displaystyle \phi \circ \tau _{g}=(\phi ,g)\qquad (\phi \in \hom _{\triangle }(m,n),\;g\in G_{m}))}
τ
g
∘
ϕ
=
(
ϕ
⋅
g
)
∘
τ
g
⋅
ϕ
(
ϕ
∈
hom
△
(
m
,
n
)
,
g
∈
G
n
)
)
{\displaystyle \tau _{g}\circ \phi =(\phi \cdot g)\circ \tau _{g\cdot \phi }\qquad (\phi \in \hom _{\triangle }(m,n),\;g\in G_{n}))}
그렇다면,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G
∙
{\displaystyle G_{\bullet }}
-대상 은 함자
△
G
∙
op
→
C
{\displaystyle \triangle _{G_{\bullet }}^{\operatorname {op} }\to {\mathcal {C}}}
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하자.
G
n
=
Cyc
(
n
+
1
)
=
⟨
t
n
|
t
n
n
+
1
=
1
⟩
{\displaystyle G_{n}=\operatorname {Cyc} (n+1)=\langle t_{n}|t_{n}^{n+1}=1\rangle }
δ
i
⋅
g
=
{
δ
i
−
1
1
≤
i
≤
n
δ
n
i
=
0
{\displaystyle \delta ^{i}\cdot g={\begin{cases}\delta ^{i-1}&1\leq i\leq n\\\delta ^{n}&i=0\end{cases}}}
σ
i
⋅
g
=
{
σ
i
−
1
1
≤
i
≤
n
σ
n
i
=
0
{\displaystyle \sigma ^{i}\cdot g={\begin{cases}\sigma ^{i-1}&1\leq i\leq n\\\sigma ^{n}&i=0\end{cases}}}
t
n
⋅
δ
n
i
=
{
t
n
−
1
i
≥
1
1
i
=
0
{\displaystyle t_{n}\cdot \delta _{n}^{i}={\begin{cases}t_{n-1}&i\geq 1\\1&i=0\end{cases}}}
t
n
⋅
σ
n
i
=
{
t
n
+
1
i
≥
1
t
n
+
1
2
i
=
0
{\displaystyle t_{n}\cdot \sigma _{n}^{i}={\begin{cases}t_{n+1}&i\geq 1\\t_{n+1}^{2}&i=0\end{cases}}}
그렇다면 이는 교차단체군을 정의하며, 이에 대한
G
∙
{\displaystyle G_{\bullet }}
-대상은 순환 대상 이라고 한다.
순환 범주
Cyc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
는 스스로의 반대 범주 와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함자 에 의하여 주어진다.[ 1] :208, Proposition 6.1.11
Cyc
op
→
Cyc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Cyc} }
n
op
↦
n
{\displaystyle n^{\operatorname {op} }\mapsto n}
(
δ
n
i
)
op
↦
{
σ
n
−
1
i
i
<
n
σ
n
−
1
0
∘
τ
n
−
1
i
=
n
{\displaystyle (\delta _{n}^{i})^{\operatorname {op} }\mapsto {\begin{cases}\sigma _{n-1}^{i}&i<n\\\sigma _{n-1}^{0}\circ \tau _{n}^{-1}&i=n\end{cases}}}
(
σ
n
i
)
op
↦
δ
n
+
1
i
+
1
{\displaystyle (\sigma _{n}^{i})^{\operatorname {op} }\mapsto \delta _{n+1}^{i+1}}
순환 범주
△
Cyc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Cyc} }}
에서, 모든 사상
f
:
m
→
n
{\displaystyle f\colon m\to n}
는 다음과 같은 꼴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1] :203, Theorem 6.1.3(2)
f
′
∘
t
m
∘
⋯
∘
t
m
⏞
k
(
f
′
∈
hom
△
(
m
,
n
)
,
k
∈
{
0
,
1
,
…
,
n
}
)
{\displaystyle f'\circ \overbrace {t_{m}\circ \dotsb \circ t_{m}} ^{k}\qquad (f'\in \hom _{\triangle }(m,n),\;k\in \{0,1,\dotsc ,n\})}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교차단체군
G
∙
{\displaystyle G_{\bullet }}
에 대하여, 범주
△
G
∙
{\displaystyle \triangle _{G_{\bullet }}}
에서, 모든 사상은 다음과 같은 꼴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ϕ
∘
τ
g
:
ϕ
∈
hom
△
(
m
,
n
)
,
g
∈
G
m
{\displaystyle \phi \circ \tau _{g}\colon \phi \in \hom _{\triangle }(m,n),\;g\in G_{m}}
순환 범주
△
Cyc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Cyc} }}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1] :202, Definition 6.1.1
τ
n
∘
δ
n
0
=
δ
n
n
{\displaystyle \tau _{n}\circ \delta _{n}^{0}=\delta _{n}^{n}}
증명:
τ
n
∘
δ
n
0
=
τ
n
∘
δ
n
0
∘
τ
n
−
1
∘
⋯
∘
τ
n
−
1
⏞
n
=
τ
n
∘
τ
n
∘
δ
n
1
∘
τ
n
−
1
∘
⋯
∘
τ
n
−
1
⏞
n
−
1
=
τ
n
∘
τ
n
∘
τ
n
∘
δ
n
2
∘
τ
n
−
1
∘
⋯
∘
τ
n
−
1
⏞
n
−
2
⋮
=
τ
n
∘
⋯
∘
τ
n
⏞
n
+
1
∘
δ
n
n
=
δ
n
{\displaystyle {\begin{aligned}\tau _{n}\circ \delta _{n}^{0}&=\tau _{n}\circ \delta _{n}^{0}\circ \overbrace {\tau _{n-1}\circ \dotsb \circ \tau _{n-1}} ^{n}\\&=\tau _{n}\circ \tau _{n}\circ \delta _{n}^{1}\circ \overbrace {\tau _{n-1}\circ \dotsb \circ \tau _{n-1}} ^{n-1}\\&=\tau _{n}\circ \tau _{n}\circ \tau _{n}\circ \delta _{n}^{2}\circ \overbrace {\tau _{n-1}\circ \dotsb \circ \tau _{n-1}} ^{n-2}\\&\qquad \vdots \\&=\overbrace {\tau _{n}\circ \dotsb \circ \tau _{n}} ^{n+1}\circ \delta _{n}^{n}\\&=\delta _{n}\end{aligned}}}
τ
n
∘
σ
n
0
=
σ
n
n
∘
τ
n
+
1
∘
τ
n
+
1
{\displaystyle \tau _{n}\circ \sigma _{n}^{0}=\sigma _{n}^{n}\circ \tau _{n+1}\circ \tau _{n+1}}
증명:
τ
n
∘
σ
n
0
=
τ
n
∘
σ
n
0
∘
τ
n
+
1
∘
⋯
∘
τ
n
+
1
⏞
n
+
2
=
τ
n
∘
τ
n
∘
σ
n
1
∘
τ
n
+
1
∘
⋯
∘
τ
n
+
1
⏞
n
+
1
=
τ
n
∘
τ
n
∘
τ
n
∘
σ
n
1
∘
τ
n
+
1
∘
⋯
∘
τ
n
+
1
⏞
n
⋮
=
τ
n
∘
⋯
∘
τ
n
⏞
n
+
1
∘
σ
n
1
∘
τ
n
+
1
∘
τ
n
+
1
=
σ
n
1
∘
τ
n
+
1
∘
τ
n
+
1
{\displaystyle {\begin{aligned}\tau _{n}\circ \sigma _{n}^{0}&=\tau _{n}\circ \sigma _{n}^{0}\circ \overbrace {\tau _{n+1}\circ \dotsb \circ \tau _{n+1}} ^{n+2}\\&=\tau _{n}\circ \tau _{n}\circ \sigma _{n}^{1}\circ \overbrace {\tau _{n+1}\circ \dotsb \circ \tau _{n+1}} ^{n+1}\\&=\tau _{n}\circ \tau _{n}\circ \tau _{n}\circ \sigma _{n}^{1}\circ \overbrace {\tau _{n+1}\circ \dotsb \circ \tau _{n+1}} ^{n}\\&\qquad \vdots \\&=\overbrace {\tau _{n}\circ \dotsb \circ \tau _{n}} ^{n+1}\circ \sigma _{n}^{1}\circ \tau _{n+1}\circ \tau _{n+1}\\&=\sigma _{n}^{1}\circ \tau _{n+1}\circ \tau _{n+1}\end{aligned}}}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에서 순환 범주로 가는 포함 함자
△
↪
△
Cyc
{\displaystyle \triangle \hookrightarrow \triangle _{\operatorname {Cyc} }}
가 존재한다. 이는 충실한 함자 이며, 대상 집합에 제한하면 전단사 함수 이지만, 충만한 함자 가 아니다 (즉,
△
Cyc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Cyc} }}
에는
t
n
{\displaystyle t_{n}}
으로 정의되는 추가 사상들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에 대하여,
C
{\displaystyle {\mathcal {C}}}
-순환 대상의 범주에서
C
{\displaystyle {\mathcal {C}}}
-단체 대상 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hom
(
Cyc
op
,
C
)
→
hom
(
△
op
,
C
)
{\displaystyle \hom(\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mathcal {C}})\to \hom(\triangle ^{\operatorname {op} },{\mathcal {C}})}
가 존재하며, 이는 충실한 함자 이지만 일반적으로 충만한 함자 가 아닐 수 있다.
알랭 콘 이 1983년에 도입하였다.[ 2] :§2 이 논문에서 콘은 순환 범주를 “
Λ
{\displaystyle \Lambda }
”라고 표기하였다.[ 2] :§2 [ 1] :201, Chapter 6
교차순환군의 개념은 즈비크니에프 피에도로비치(폴란드어 : Zbigniew Fiedorowicz )와 장루이 로데 가 1991년에 도입하였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