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 (코)호몰로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A
{\displaystyle A}
는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을 이루며, 그
K
{\displaystyle K}
-쌍대 가군
A
∨
=
hom
Vect
K
(
A
,
K
)
{\displaystyle A^{\vee }=\hom _{\operatorname {Vect} _{K}}(A,K)}
역시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을 이룬다.
그렇다면,
A
{\displaystyle A}
의 호흐실트 공사슬 복합체 (영어 : Hochschild cochain complex )는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공사슬 복합체 이다.
C
n
(
A
,
A
∨
)
=
hom
K
(
A
⊗
n
,
A
∨
)
{\displaystyle C^{n}(A,A^{\vee })=\hom _{K}(A^{\otimes n},A^{\vee })}
d
:
C
n
(
A
,
A
∨
)
→
C
n
(
A
,
A
∨
)
{\displaystyle \mathrm {d} \colon C^{n}(A,A^{\vee })\to C^{n}(A,A^{\vee })}
d
ϕ
(
a
0
,
…
,
a
n
+
1
)
=
(
−
)
n
+
1
ϕ
(
a
n
+
1
x
0
,
…
,
a
n
)
+
∑
i
=
0
n
(
−
)
i
ϕ
(
a
0
,
…
,
a
i
a
i
+
1
,
…
,
a
n
+
1
)
{\displaystyle \mathrm {d} \phi (a_{0},\dotsc ,a_{n+1})=(-)^{n+1}\phi (a_{n+1}x_{0},\dotsc ,a_{n})+\sum _{i=0}^{n}(-)^{i}\phi (a_{0},\dotsc ,a_{i}a_{i+1},\dotsc ,a_{n+1})}
그 코호몰로지 는
A
∨
{\displaystyle A^{\vee }}
계수의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HH
∙
(
A
;
A
∨
)
{\displaystyle \operatorname {HH} ^{\bullet }(A;A^{\vee })}
이다.
이제, 이 공사슬 복합체 위의, 정의역 의 원소의 순서쌍 성분들에 순환 순열 을 가하는 공사슬 복합체 자기 동형 사상
T
:
C
∙
(
A
;
A
∨
)
→
C
∙
(
A
;
A
∨
)
{\displaystyle T\colon C^{\bullet }(A;A^{\vee })\to C^{\bullet }(A;A^{\vee })}
T
ϕ
(
a
0
,
…
,
a
n
)
=
(
−
)
n
ϕ
(
a
n
,
a
0
,
…
,
a
n
−
1
)
{\displaystyle T\phi (a_{0},\dotsc ,a_{n})=(-)^{n}\phi (a_{n},a_{0},\dotsc ,a_{n-1})}
을 생각하자.[ 3] :286, Definition 2.1 이 자기 동형 의 고정점 으로 구성된 부분 벡터 공간
C
c
y
c
∙
(
A
)
=
{
ϕ
∈
C
∙
(
A
,
A
∨
)
:
T
ϕ
=
ϕ
}
{\displaystyle C_{\mathrm {cyc} }^{\bullet }(A)=\{\phi \in C^{\bullet }(A,A^{\vee })\colon T\phi =\phi \}}
들은 공경계 사상
d
{\displaystyle \mathrm {d} }
에 대하여 닫혀 있어, 부분 공사슬 복합체 를 이룬다.[ 3] :286, Lemma 2.1 그 코호몰로지
HC
∙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HC} ^{\bullet }(A)}
를
A
{\displaystyle A}
의 순환 코호몰로지 라고 한다.[ 3] :286, Definition 2.2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텐서곱
A
⊗
K
n
{\displaystyle A^{\otimes _{K}n}}
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을 이룬다.
또한, 다음과 같은 호흐실트 경계 연산자 (Hochschild境界演算子, 영어 : Hochschild boundary operator )를 정의할 수 있다.[ 1] :8–9, §1.1.1
∂
:
A
⊗
K
n
→
A
⊗
K
(
n
−
1
)
{\displaystyle \partial \colon A^{\otimes _{K}n}\to A^{\otimes _{K}(n-1)}}
∂
:
a
0
⊗
K
⋯
⊗
K
a
n
↦
a
0
a
1
⊗
K
a
2
⊗
K
⋯
⊗
K
a
n
+
∑
i
=
1
n
−
1
(
−
)
i
a
0
⊗
K
⋯
a
i
−
1
⊗
K
a
i
a
i
+
1
⊗
K
a
i
+
2
⊗
K
a
n
+
(
−
)
n
a
n
a
0
⊗
K
a
1
⊗
K
⋯
⊗
K
a
n
−
1
{\displaystyle {\begin{aligned}\partial \colon a_{0}\otimes _{K}\dotsb \otimes _{K}a_{n}\mapsto a_{0}a_{1}\otimes _{K}a_{2}\otimes _{K}\dotsb \otimes _{K}a_{n}+\sum _{i=1}^{n-1}(-)^{i}a_{0}\otimes _{K}\dotsb a_{i-1}\otimes _{K}a_{i}a_{i+1}\otimes _{K}a_{i+2}\otimes _{K}a_{n}\\\qquad +(-)^{n}a_{n}a_{0}\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1}\end{aligned}}}
그렇다면,
∂
2
=
0
{\displaystyle \partial ^{2}=0}
이므로[ 1] :9, Lemma 1.1.2
(
A
⊗
K
∙
,
∂
)
{\displaystyle (A^{\otimes _{K}\bullet },\partial )}
은
K
{\displaystyle K}
-사슬 복합체
⋯
→
∂
A
⊗
K
3
→
∂
A
⊗
K
2
→
∂
A
{\displaystyle \dotsb {\xrightarrow {\partial }}A^{\otimes _{K}3}{\xrightarrow {\partial }}A^{\otimes _{K}2}{\xrightarrow {\partial }}A}
를 이룬다. 이 사슬 복합체의
n
{\displaystyle n}
차 대상은
A
⊗
K
(
n
+
1
)
{\displaystyle A^{\otimes _{K}(n+1)}}
이다. 이를 호흐실트 사슬 복합체 (Hochschild사슬複合體, 영어 : Hochschild chain complex )라고 하며,[ 1] :9, §1.1.3 그 호몰로지 는
A
{\displaystyle A}
의
A
{\displaystyle A}
계수 호흐실트 호몰로지
HH
∙
(
A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HH} _{\bullet }(A;A)}
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콘 경계 연산자 (Connes境界演算子, 영어 : Connes boundary operator )
B
{\displaystyle B}
를 정의할 수 있다.[ 1] :57, (2.1.7.3)
B
:
A
⊗
K
(
n
+
1
)
→
A
⊗
K
(
n
+
2
)
{\displaystyle B\colon A^{\otimes _{K}(n+1)}\to A^{\otimes _{K}(n+2)}}
B
:
a
0
⊗
K
⋯
⊗
K
a
n
↦
∑
i
=
0
n
(
−
)
n
i
1
⊗
K
a
i
⊗
K
…
⊗
K
a
n
⊗
K
a
0
⊗
K
⋯
⊗
K
a
i
−
1
−
(
−
)
n
i
a
i
⊗
K
1
⊗
K
a
i
+
1
⊗
K
⊗
K
a
n
⊗
K
a
0
⊗
K
⋯
⊗
K
a
i
−
1
{\displaystyle {\begin{aligned}B\colon a_{0}\otimes _{K}\dotsb \otimes _{K}a_{n}\mapsto \sum _{i=0}^{n}(-)^{ni}1\otimes _{K}a_{i}\otimes _{K}\dotsc \otimes _{K}a_{n}\otimes _{K}a_{0}\otimes _{K}\dotsb \otimes _{K}a_{i-1}\\\qquad -(-)^{ni}a_{i}\otimes _{K}1\otimes _{K}a_{i+1}\otimes _{K}\otimes _{K}a_{n}\otimes _{K}a_{0}\otimes _{K}\dotsb \otimes _{K}a_{i-1}\end{aligned}}}
그렇다면,
B
∂
=
−
∂
B
{\displaystyle B\partial =-\partial B}
이므로[ 1] :57, (2.1.7.2) 이는 호흐실트 호몰로지 의 사상
B
∗
:
HH
∙
(
A
;
A
)
→
HH
∙
+
1
(
A
;
A
)
{\displaystyle B_{*}\colon \operatorname {HH} _{\bullet }(A;A)\to \operatorname {HH} _{\bullet +1}(A;A)}
을 정의한다.
호흐실트 경계 연산자
∂
{\displaystyle \partial }
와 콘 경계 연산자
B
{\displaystyle B}
는 다음과 같은 이중 복합체를 정의한다.
⋮
⋮
⋮
∂
↓
∂
∂
↓
∂
∂
↓
∂
A
⊗
K
3
←
B
A
⊗
K
2
←
B
A
∂
↓
∂
∂
↓
∂
A
⊗
K
2
←
B
A
∂
↓
∂
A
{\displaystyl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scriptstyle \partial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partial }&&{\scriptstyle \partial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partial }&&{\scriptstyle \partial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partial }\\A^{\otimes _{K}3}&{\overset {B}{\leftarrow }}&A^{\otimes _{K}2}&{\overset {B}{\leftarrow }}&A\\{\scriptstyle \partial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partial }&&{\scriptstyle \partial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partial }\\A^{\otimes _{K}2}&{\overset {B}{\leftarrow }}&A\\{\scriptstyle \partial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partial }\\A\end{matrix}}}
이 이중 복합체를
B
(
A
)
{\displaystyle {\mathcal {B}}(A)}
라고 하면, 각 차수에서의 성분은
B
(
A
)
m
,
n
=
{
A
⊗
K
(
n
−
m
+
1
)
m
≤
n
0
m
>
n
{\displaystyle {\mathcal {B}}(A)_{m,n}={\begin{cases}A^{\otimes _{K}(n-m+1)}&m\leq n\\0&m>n\end{cases}}}
이다. 이 이중 복합체의 전체 복합체
Tot
p
(
B
(
A
)
)
=
⨁
m
+
n
=
p
B
(
A
)
m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Tot} _{p}({\mathcal {B}}(A))=\bigoplus _{m+n=p}{\mathcal {B}}(A)_{m,n}}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그 호몰로지를
A
{\displaystyle A}
의 순환 호몰로지 라고 한다.[ 1] :58, Theorem 2.1.8
H
∙
(
Tot
(
B
(
A
)
)
)
=
HC
∙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bullet }(\operatorname {Tot} ({\mathcal {B}}(A)))=\operatorname {HC} _{\bullet }(A)}
순환 호몰로지의 순환 이중 복합체를 통한 정의
편집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텐서곱
A
⊗
K
n
{\displaystyle A^{\otimes _{K}n}}
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을 이룬다.
이제, 다음과 같은 연산자들을 정의하자.
∂
i
:
A
⊗
K
(
n
+
1
)
→
A
⊗
K
n
{\displaystyle \partial ^{i}\colon A^{\otimes _{K}(n+1)}\to A^{\otimes _{K}n}}
∂
0
:
a
0
⊗
K
⋯
⊗
a
n
↦
a
0
a
1
⊗
K
a
2
⊗
K
⋯
⊗
K
a
n
{\displaystyle \partial ^{0}\colon a_{0}\otimes _{K}\dotsb \otimes a_{n}\mapsto a_{0}a_{1}\otimes _{K}a_{2}\otimes _{K}\dotsb \otimes _{K}a_{n}}
∂
i
:
a
0
⊗
K
⋯
⊗
a
n
↦
(
a
0
⊗
K
⋯
⊗
K
a
i
−
1
⊗
K
a
i
a
i
+
1
⊗
K
a
i
+
2
⊗
K
⋯
⊗
K
a
n
(
1
≤
i
<
n
)
{\displaystyle \partial ^{i}\colon a_{0}\otimes _{K}\dotsb \otimes a_{n}\mapsto (a_{0}\otimes _{K}\dotsb \otimes _{K}a_{i-1}\otimes _{K}a_{i}a_{i+1}\otimes _{K}a_{i+2}\otimes _{K}\dotsb \otimes _{K}a_{n}\qquad (1\leq i<n)}
∂
n
:
a
0
⊗
K
⋯
⊗
a
n
↦
a
n
a
0
⊗
K
a
1
⊗
K
⋯
⊗
K
a
n
−
1
{\displaystyle \partial ^{n}\colon a_{0}\otimes _{K}\dotsb \otimes a_{n}\mapsto a_{n}a_{0}\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1}}
그렇다면 호흐실트 경계 연산자는
∂
=
∑
i
=
0
n
(
−
)
i
∂
i
{\displaystyle \partial =\sum _{i=0}^{n}(-)^{i}\partial ^{i}}
이다. 마찬가지로,
∂
′
=
∑
i
=
0
n
−
1
(
−
)
i
∂
i
{\displaystyle \partial '=\sum _{i=0}^{n-1}(-)^{i}\partial ^{i}}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
A
⊗
K
(
∙
+
2
)
,
∂
′
)
{\displaystyle (A^{\otimes _{K}(\bullet +2)},\partial ')}
역시 사슬 복합체
⋯
←
∂
′
A
⊗
K
4
←
∂
′
A
⊗
K
3
←
∂
′
A
⊗
K
2
{\displaystyle \dotsb {\xleftarrow {\partial '}}A^{\otimes _{K}4}{\xleftarrow {\partial '}}A^{\otimes _{K}3}{\xleftarrow {\partial '}}A^{\otimes _{K}2}}
를 이룬다.
또한,
A
⊗
K
n
{\displaystyle A^{\otimes _{K}n}}
위에는 다음과 같은, 순환군
Cyc
(
n
)
=
⟨
t
|
t
n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n)=\langle t|t^{n}=1\rangle }
의
K
{\displaystyle K}
-선형 표현 이 존재한다.
t
⋅
(
a
0
⊗
K
a
1
⊗
K
⋯
⊗
K
a
n
−
1
)
=
(
−
)
n
−
1
a
n
−
1
⊗
K
a
0
⊗
K
a
1
⊗
K
⋯
⊗
K
a
n
−
2
{\displaystyle t\cdot \left(a_{0}\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1}\right)=(-)^{n-1}a_{n-1}\otimes _{K}a_{0}\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2}}
또한, 다음과 같은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N
:
A
⊗
K
n
→
A
⊗
K
n
{\displaystyle N\colon A^{\otimes _{K}n}\to A^{\otimes _{K}n}}
N
=
1
+
t
+
⋯
+
t
n
−
1
{\displaystyle N=1+t+\dotsb +t^{n-1}}
이들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1] :53, Lemma 2.1.1
(
1
−
t
)
∘
∂
′
=
∂
∘
(
1
−
t
)
{\displaystyle (1-t)\circ \partial '=\partial \circ (1-t)}
∂
′
∘
N
=
N
∘
∂
{\displaystyle \partial '\circ N=N\circ \partial }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환 이중 복합체 (영어 : cyclic bicomplex )를 정의할 수 있다.
A
⊗
K
1
←
∂
A
⊗
K
2
←
∂
A
⊗
K
3
←
∂
A
⊗
K
4
←
∂
⋯
1
−
t
↑
1
−
t
1
−
t
↑
1
−
t
1
−
t
↑
1
−
t
1
−
t
↑
1
−
t
A
⊗
K
1
←
−
∂
′
A
⊗
K
2
←
−
∂
′
A
⊗
K
3
←
−
∂
′
A
⊗
K
4
←
−
∂
′
⋯
N
↑
N
N
↑
N
N
↑
N
N
↑
N
A
⊗
K
1
←
∂
A
⊗
K
2
←
∂
A
⊗
K
3
←
∂
A
⊗
K
4
←
∂
⋯
1
−
t
↑
1
−
t
1
−
t
↑
1
−
t
1
−
t
↑
1
−
t
1
−
t
↑
1
−
t
A
⊗
K
1
←
−
∂
′
A
⊗
K
2
←
−
∂
′
A
⊗
K
3
←
−
∂
′
A
⊗
K
4
←
−
∂
′
⋯
N
↑
N
N
↑
N
N
↑
N
N
↑
N
⋮
⋮
⋮
⋮
{\displaystyle {\begin{matrix}A^{\otimes _{K}1}&{\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2}&{\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3}&{\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4}&{\overset {\partial }{\leftarrow }}&\dotsm \\{\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A^{\otimes _{K}1}&{\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2}&{\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3}&{\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4}&{\overset {-\partial '}{\leftarrow }}&\dotsm \\{\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A^{\otimes _{K}1}&{\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2}&{\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3}&{\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4}&{\overset {\partial }{\leftarrow }}&\dotsm \\{\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scriptstyle 1-t}\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1-t}\\A^{\otimes _{K}1}&{\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2}&{\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3}&{\overset {-\partial '}{\leftarrow }}&A^{\otimes _{K}4}&{\overset {-\partial '}{\leftarrow }}&\dotsm \\{\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scriptstyle N}\uparrow {\scriptstyle \color {White}N}\\\vdots &&\vdots &&\vdots &&\vdots \end{matrix}}}
이를
CC
∙
,
∙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CC} _{\bullet ,\bullet }(A)}
라고 하자. 즉,
CC
m
,
n
(
A
)
=
A
⊗
K
(
n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C} _{m,n}(A)=A^{\otimes _{K}(n+1)}}
이다.
그렇다면, 순환 호몰로지 는 순환 이중 복합체의 전체 복합체의 호몰로지 이다.
HC
∙
(
A
)
=
H
∙
(
Tot
(
CC
(
A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HC} _{\bullet }(A)=\operatorname {H} _{\bullet }(\operatorname {Tot} (\operatorname {CC} (A)))}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가환환
K
{\displaystyle K}
Mod
K
{\displaystyle \operatorname {Mod} _{K}}
속의 순환 대상
M
{\displaystyle M}
그렇다면,
Mod
K
{\displaystyle \operatorname {Mod} _{K}}
-순환 대상 들의 범주
hom
(
△
Cyc
op
,
Mod
K
)
{\displaystyle \hom(\triangle _{\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operatorname {Mod} _{K})}
역시 아벨 범주 를 이루므로 Ext 함자 를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순환 가군의 텐서곱 함자를 정의할 수 있으므로 그 유도 함자 로서 Tor 함자 를 정의할 수 있다.
M
{\displaystyle M}
의 순환 호몰로지 는 Tor 함자
HC
n
(
M
)
=
Tor
n
hom
(
△
Cyc
op
,
Mod
K
)
(
K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HC} _{n}(M)=\operatorname {Tor} _{n}^{\hom(\triangle _{\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operatorname {Mod} _{K})}(K,M)}
이다.[ 1] :213, Theorem 6.2.8 마찬가지로
M
{\displaystyle M}
의 순환 코호몰로지 는 Ext 함자
HC
n
(
M
)
=
Ext
hom
(
△
Cyc
op
,
Mod
K
)
n
(
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HC} ^{n}(M)=\operatorname {Ext} _{\hom(\triangle _{\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operatorname {Mod} _{K})}^{n}(M,K)}
이다.[ 1] :214, Theorem 6.2.9 (만약 순환 범주
△
Cyc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Cyc} }}
대신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를 사용하면, 대신 호흐실트 호몰로지 [ 1] :212, Theorem 6.2.2 와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 1] :213, §6.2.6 를 얻는다.
K
{\displaystyle K}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의 경우, 어떤 특별한 순환 가군
C
(
A
)
:
△
Cyc
op
→
Mod
K
{\displaystyle C(A)\colon \triangle _{\operatorname {Cyc}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Mod} _{K}}
를 대응시킬 수 있으며, 결합 대수 의 순환 (코)호몰로지 는
C
(
A
)
{\displaystyle C(A)}
의 순환 (코)호몰로지를 말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C
(
A
)
{\displaystyle C(A)}
의 구성 :
순환 코호몰로지와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사이를 잇는, 일종의 긴 완전열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표수 0 의 체
K
{\displaystyle K}
위의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위와 같이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를 정의하는 공사슬 복합체
C
∙
(
A
)
{\displaystyle C^{\bullet }(A)}
및 순환 코호몰로지를 정의하는 부분 공사슬 복합체
ι
:
C
c
y
c
∙
(
A
)
→
C
∙
(
A
)
{\displaystyle \iota \colon C_{\mathrm {cyc} }^{\bullet }(A)\to C^{\bullet }(A)}
가 존재한다. 즉, 이는 공사슬 복합체 의 짧은 완전열
0
→
C
c
y
c
∙
(
A
)
→
ι
C
∙
(
A
)
→
C
∙
(
A
)
C
c
y
c
∙
(
A
)
→
0
{\displaystyle 0\to C_{\mathrm {cyc} }^{\bullet }(A){\xrightarrow {\iota }}C^{\bullet }(A)\to {\frac {C^{\bullet }(A)}{C_{\mathrm {cyc} }^{\bullet }(A)}}\to 0}
을 정의하며, 이에 따라 긴 완전열
⋯
→
HC
n
(
A
)
→
HH
n
(
A
)
→
H
n
(
C
∙
(
A
)
C
c
y
c
∙
(
A
)
)
→
HC
n
+
1
(
A
)
→
⋯
{\displaystyle \dotsb \to \operatorname {HC} ^{n}(A)\to \operatorname {HH} ^{n}(A)\to \operatorname {H} ^{n}\left({\frac {C^{\bullet }(A)}{C_{\mathrm {cyc} }^{\bullet }(A)}}\right)\to \operatorname {HC} ^{n+1}(A)\to \dotsb }
을 얻는다. 그런데
H
n
(
C
∙
(
A
)
C
c
y
c
∙
(
A
)
)
≅
HC
n
−
1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n}\left({\frac {C^{\bullet }(A)}{C_{\mathrm {cyc} }^{\bullet }(A)}}\right)\cong \operatorname {HC} ^{n-1}(A)}
임을 보일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긴 완전열 이 존재한다.
⋯
→
HC
n
(
A
)
→
HH
n
(
A
)
→
HC
n
−
1
(
A
)
→
HC
n
+
1
(
A
)
→
HH
n
+
1
(
A
)
→
HC
n
(
A
)
→
HC
n
+
2
(
A
)
→
⋯
{\displaystyle \dotsb \to \operatorname {HC} ^{n}(A)\to \operatorname {HH} ^{n}(A)\to \operatorname {HC} ^{n-1}(A)\to \operatorname {HC} ^{n+1}(A)\to \operatorname {HH} ^{n+1}(A)\to \operatorname {HC} ^{n}(A)\to \operatorname {HC} ^{n+2}(A)\to \dotsb }
이를 콘 완전열 (Connes完全列, 영어 : Connes exact sequence )이라고 하며,[ 3] :287, §2 특히 연결 사상
HC
n
−
1
(
A
)
→
HC
n
+
1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HC} ^{n-1}(A)\to \operatorname {HC} ^{n+1}(A)}
을 콘 주기 연산자 (Connes週期演算子, 영어 : Connes periodicity operator )라고 한다.[ 3] :287, §2 [ 1] :61, Theorem 2.2.1
콘 주기성을 사용하여, 순환 코호몰로지 군들의 귀납적 극한
HP
i
(
A
)
=
lim
→
HC
i
+
2
∙
(
A
)
(
i
∈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i}(A)=\varinjlim \operatorname {HC} ^{i+2\bullet }(A)\qquad (i\in \{0,1\})}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주기 순환 코호몰로지 (週期循環cohomology, 영어 : periodic cyclic cohomology )라고 하며,[ 3] :287, §2 복소수 계수 위상 K군 과 마찬가지로 두 개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