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환 기하학

수학에서 비가환 기하학(非可換幾何學, 영어: noncommutative geometry, NCG)는 비가환 C* 대수를 마치 어떤 기하학적 구조 위에 존재하는 함수대수처럼 간주하여 기하학적으로 다루는 분야다.

개론

편집

겔판트 표현 정리(영어: Gelfand representation theorem)에 따라, 모든 가환 C* 대수는 어떤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에 존재하는 함수대수와 동형이다. 즉,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위상 공간을 연구하는 것은 그 위에 존재하는 함수대수를 연구하는 것과 같으며, 위상 공간의 여러 성질들을 그 함수대수의 성질로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함수대수들은 모두 가환대수다.

이 위상 공간/C* 대수 이중성을 비가환 C* 대수에 대하여 확장하려 한다고 하자. 즉, 비가환 C* 대수를 어떤 (실재하지 않는 가상의) "위상 공간" 위에 존재하는 함수대수로 간주하여, 기하학적인 기법으로 연구할 수 있다. 즉, 비가환 C* 대수는 "비가환 위상 공간" 위의 함수대수다. 예를 들어, 비가환 원환면이라고 불리는 비가환 C* 대수는 마치 원환면 위의 함수대수와 여러 가지 유사한 성질을 지녀, "비가환" 원환면 위의 함수대수로 생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퍼지 구는 일반 를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리만 다양체의 구조는 함수 대수에 스피너에 대한 미분 연산자 (디랙 연산자)를 추가한, 소위 스펙트럼 삼조로 나타내어진다. 이는 알랭 콘이 증명하였다. 따라서, 비가환 스펙트럼 삼중은 비가환 리만 다양체 위의 함수대수로 간주할 수 있다.

개념 및 도구

편집

비가환 공간 위에는 가환공간과 유사하게 호흐실트 호몰로지(Hochschild homology)나 순환 호몰로지(cyclic homology)와 같은 호몰로지 및 연산자 K이론을 통한 K이론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비가환 대수기하학도 존재한다.[1][2][3][4]

물리학에서의 비가환성

편집

비가환 기하학은 양자장론끈 이론에서 널리 쓰인다.[5][6][7][8][9]

비가환 기하학과 쌍극자

편집

공간 좌표의 비가환성은 대략 균일한 자기장 속에 존재하는 전기 쌍극자처럼 생각할 수 있다.[10][11]

  평면에서, 균일한 자기장  를 생각하자. 이 속에, 전하가  이고 질량이  인 두 입자가 존재하고, 이들 사이에 조화 진동자 퍼텐셜

 

이 존재하여 이 두 입자가 전기 쌍극자로 묶여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라그랑지언  은 다음과 같다.

 

이제, 쌍극자 질량 중심의 위치

 

와 쌍극자의 크기

 

를 정의하자. 이 변수로 쓰면, 라그랑지언은 다음과 같다.

 

라그랑지언으로부터, 쌍극자 질량 중심  에 대응하는 일반화 운동량  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이 양자화하려면 다음과 같은 정준 교환 관계

 

를 가한다.

이제, 입자들의 질량  이 매우 작아 무시할 수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즉, 쌍극자의 크기는 그 운동량과 비례한다. 따라서

 

이다. 다시 원래 변수  ,  로 바꾸면

 

기 된다. 따라서, 자기 쌍극자의 양끝의 좌표가 가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비가환 평면에 존재하는, 운동량  를 가진 평면파  는 크기가 그 운동량에 비례하는 쌍극자로 간주할 수 있다.[5]:§II.B.2

각주

편집
  1. Ginzburg, Victor (2005). “Lectures on Noncommutative Geometry” (영어). arXiv:math/0506603. Bibcode:2005math......6603G. 
  2. Stafford, J. T.; M. Van den Bergh (1999). “Noncommutative curves and noncommutative surfaces” (영어). arXiv:math/9910082. Bibcode:1999math.....10082S. 
  3. Marcolli, Matilde (2004). “Lectures on Arithmetic Noncommutative Geometry” (영어). arXiv:math/0409520. Bibcode:2004math......9520M. 
  4. Mahanta, Snigdhayan (2005). “On some approaches towards non-commutative algebraic geometry” (영어). arXiv:math/0501166. Bibcode:2005math......1166M. 
  5. Douglas, Michael R.; Nikita A. Nekrasov (2001년 11월 29일). “Noncommutative Field Theory”. 《Reviews of Modern Physics》 (영어) 73 (4): 977–1029. arXiv:hep-th/0106048. Bibcode:2001RvMP...73..977D. doi:10.1103/RevModPhys.73.977. ISSN 0034-6861. 
  6. (영어). arXiv:0909.1000. Bibcode:2009FoPh...39.1297B. doi:10.1007/s10701-009-9349-y.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7. (영어). arXiv:hep-th/0006012. Bibcode:2000CQGra..17.3403B. doi:10.1088/0264-9381/17/17/30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 (영어). arXiv:1101.4579. Bibcode:2011JPhCS.287a2012R. doi:10.1088/1742-6596/287/1/01201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9. Douglas, Michael R. (1999). “Two Lectures on D-Geometry and Noncommutative Geometry” (영어). arXiv:hep-th/9901146. Bibcode:1999hep.th....1146D. 
  10. Bigatti, Daniela; Leonard Susskind. arXiv:hep-th/9908056.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 . arXiv:hep-th/990108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