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도모나스 푸티다

슈도모나스속에 속하는 세균

슈도모나스 푸티다(학명Pseudomonas putida 또는 P. putida)는 그람 음성 간균 중 하나로, 부생성 세균이다.

슈도모나스 푸티다

생물 분류ℹ️
역: 세균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 슈도모나스목
과: 슈도모나스과
속: 슈도모나스
종: 슈도모나스 푸티다
학명
Pseudomonas putida
Trevisan, 1889

계통유전체학에 따라 분석한 결과[1][2] P. putida계통수에서 단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으며, P. alkylphenolia, P. alloputida, P. monteilii, P. cremoricolorata, P. fulva, P. parafulva, P. entomophila, P. mosselii, P. plecoglossicida 및 다른 종들을 포함하는 넓은 진화군을 형성한다.[3]

P. putida의 변종인 multiplasmid hydrocarbon-degrading Pseudomonas은 세계 최초로 특허를 받은 유기체이다. 그 특허는 미국 연방 대법원 Diamond v. Chakrabarty에서 다루어졌으며, 인도계 미국인 생물학자인 차크라바르티가 승소했다. 이 세균은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를 분해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다양한 대사 기능을 지닌다.[4] 이 능력은 생물학적 치료, 또는 환경 오염 물질을 분해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 P. putida는 인간 병원체인 P. aeruginosa와 달리 안전한 박테리아 종이기 때문에 다른 슈도모나스 종들보다 더 활발히 연구된다.

게놈

편집

P. putida에 속하는 63개의 게놈에 의한 단백질 수는 3748-6780개(평균 5197개), GC 함량은 58.7-64.4%(평균 62.3%)이다.[2] 분석된 63개의 게놈에서 핵심 단백체는 1724개의 단백질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1개의 단백질만이 다른 슈도모나스류에 존재하지 않는 특이성을 가졌다.[2]

활용

편집

환경 정화

편집

야생형 균주는 대사 활동을 통해 환경 오염을 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나프탈렌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토양 접종제로 활용 가능하다.[5]

푸티다는 스타이렌생분해성 플라스틱 PHA로 전환할 수 있다.[6][7] 이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생물학적 방제

편집

Pythium phanidermatum[8]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9]와 같은 식물 병원체의 효과적인 대항제로서 Pseudomonas putida는 잠재적인 생물학적 방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각주

편집
  1. Keshavarz-Tohid, Vahid; Vacheron, Jordan; Dubost, Audrey; Prigent-Combaret, Claire; Taheri, Parissa; Tarighi, Saeed; Taghavi, Seyed Mohsen; Moënne-Loccoz, Yvan; Muller, Daniel (2019년 7월 1일). “Genomic, phylogenetic and catabolic re-assessment of the Pseudomonas putida clade supports the delineation of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and Pseudomonas shirazica sp. nov”. 《Systematic and Applied Microbiology》 (영어) 42 (4): 468–480. doi:10.1016/j.syapm.2019.04.004. ISSN 0723-2020. 
  2. Nikolaidis, Marios; Mossialos, Dimitris; Oliver, Stephen G.; Amoutzias, Grigorios D. (2020년 7월 24일).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e Proteomes among the Pseudomonas Major Evolutionary Groups Reveals Species-Specific Adaptations for Pseudomonas aeruginosa and Pseudomonas chlororaphis”. 《Diversity》 (영어) 12 (8): 289. doi:10.3390/d12080289. ISSN 1424-2818. 
  3. "Keshavarz-Tohid"; Vacheron, J; Dubost, A; Prigent-Combaret, C; Taheri, P; Tarighi, S; Taghavi, SM; Moënne-Loccoz, Y; Muller, D; 외. (May 2019). “Genomic, phylogenetic and catabolic re-assessment of the Pseudomonas putida clade supports the delineation of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and Pseudomonas shirazica sp. nov.”. 《Syst Appl Microbiol》 42 (Pt 1): 468–480. doi:10.1016/j.syapm.2019.04.00. PMID 31122691. 
  4. Marqués, Silvia; Ramos, Juan L. (1993). “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Pseudomonas putida TOL plasmid catabolic pathways”. 《Molecular Microbiology》 9 (5): 923–9. doi:10.1111/j.1365-2958.1993.tb01222.x. PMID 7934920. 
  5. Gomes, NC; Kosheleva, IA; Abraham, WR; Smalla, K (2005). “Effects of the inoculant strain Pseudomonas putida KT2442 (pNF142) and of naphthalene contamination o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FEMS Microbiology Ecology》 54 (1): 21–33. doi:10.1016/j.femsec.2005.02.005. PMID 16329969. 
  6. Britt, Robert Roy (2006년 3월 7일). “Immortal Polystyrene Foam Meets its Enemy”. 《livescience.com》. 
  7. Ward, PG; Goff, M; Donner, M; Kaminsky, W; O'Connor, KE (2006). “A two step chemo-biotechnological conversion of polystyrene to a biodegradable thermoplastic”.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0 (7): 2433–7. Bibcode:2006EnST...40.2433W. doi:10.1021/es0517668. PMID 16649270. 
  8. Amer, GA; Utkhede, RS (2000). “Development of formulations of biological agents for management of root rot of lettuce and cucumber”. 《Canadian Journal of Microbiology》 46 (9): 809–16. doi:10.1139/w00-063. PMID 11006841. 
  9. Validov, S; Kamilova, F; Qi, S; Stephan, D; Wang, JJ; Makarova, N; Lugtenberg, B (2007). “Selection of bacteria able to control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in stonewool substrate”.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02 (2): 461–71. doi:10.1111/j.1365-2672.2006.03083.x. PMID 17241352. S2CID 309800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