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전파자
슈퍼전파자( - 傳播者) 또는 슈퍼스프레더(영어: super-spreader)는 동일한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다른 개인보다 특별히 많은 2차접촉자를 감염시키는 숙주를 말한다. 일부 슈퍼전파는 약 20%의 감염된 개인들이 80%의 전파의 원인이 되는 80-20의 법칙을 따르지만,[1] 그보다 높거나 낮은 비율을 전파하는 경우에도 슈퍼전파라 할 수 있다.[2] 슈퍼감염이 있는 유행병에서 대부분의 개인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2차접촉자를 감염시킨다.
슈퍼전파는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데, 여기에는 집단면역의 감소, 병원내감염, 발병력, 바이러스량(viral load), 오진, 에어로졸 전파, 면역억제, 다른 병원체와의 공동감염 등이 포함된다.[3]
슈퍼전파자의 정의
편집슈퍼전파는 대략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나, 보다 명백하게 슈퍼전파(SSE, super-spreading event)임을 만족하는 조건에 대한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 로이드 스미스(Lloyd-Smith) 등은 2005년 다음과 같은 슈퍼전파 확인의 원안을 정의하였다.[2]
- 문제가 되는 질병과 사람 수에 대한 유효증식수를 'R'이라 한다.
- 개체 변이 없는 확률성에 의한 예상 범위 'Z'를 표시하는 평균 'R'의 푸아송 분포를 구성한다.
- 다른 'Z(n)'명보다 많이 감염시키는 감염자를 슈퍼전파자로 정의한다. 여기에서 'Z(n)'는 푸아송('R') 분포의 n번째 백분위수를 의미한다.
이 안에 따르면 동족으로 구성된 인구의 99%의 전염의 내력에서 예상되는 것보다 더 많은 감염자를 발생했을 때 99번째 백분위수의 슈퍼전파로 정의한다.[2]
중국 베이징에서 2003년 사스가 발생했을 때, 역학자들은 최소 8명에 사스를 전염시킨 개인을 슈퍼전파자로 정의하였다.[4]
슈퍼전파의 요소
편집슈퍼전파자는 감염 기간 동안 병원체를 통상의 수보다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그들과의 접촉에서 슈퍼전파자가 아닌 환자들과의 동일 지속 기간의 접촉에서 보이는 것보다 높은 바이러스량에 노출되게 한다.[7]
기초감염재생산수
편집기초감염재생산수 R0는 완전히 병에 걸리기 쉬운 집단에서의 전형적인 감염자에 의한 2차 감염의 평균을 말한다.[8] 기본감염재생성수는 평균 접촉 횟수와 병에 걸리기 쉬운 개인이 감염될 확률의 평균을 곱하여 얻는다. 여기에서 '병에 걸리기 쉬운 개인이 감염될 확률'을 'shedding potential(발산 잠재력)'이라 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Alison P. Galvani, Robert M. May. "Epidemiology: Dimensions of superspreading." 《Nature》, 438, 293~295 (2005년 11월 17일). PMID 16292292.
- ↑ 가 나 다 JO Lloyd-Smith, SJ Schreiber, PE Kopp, WM Getz (2005). “Superspreading and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tion on disease emergence”. 《네이쳐》 438: 355~359. doi:10.1038/nature04153.
- ↑ Richard A. Stein. Superspreaders in Infectious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5권. 8호. 510~513쪽. 2011년 8월. PMID 21737332.
- ↑ Z. Shen, F. Ning, W. Zhou, L.He, C. Lin, D. Chin, Z. Zhus, A. Schuchat. Superspreading events, Beijing, 2003.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 10, No. 2. Feb. 2004.
- ↑ Richard A. Stein (2011년 8월). “Super-spreaders in infectious dise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5 (8): e510~e513. doi:10.1016/j.ijid.2010.06.020. PMID 21737332.
- ↑ David C. Wiley, Amy C. Cory (2013). 《Encyclopedia of School Health》. 로스 엔젤레스: SAGE. ISBN 9781412996006.
- ↑ Kenneth J. Rothman, Sander Greenland, and Timothy L. Lash. 《Modern Epidemiology》, 3판. 2008. 561쪽.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필라델피아.
- ↑ Alison P. Galvani 외 (2005년 11월 17일). “Epidemiology: Dimensions of super-spreading”. 《Nature》 438 (7066): 239~295. doi:10.1038/438293a. 2015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Lloyd-Smith JO, Schreiber SJ, Kopp PE, Getz WM (2005) Superspreading and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tion on disease emergence. 《Nature》 438: p.355~359. doi: 10.1038/nature04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