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증왕

신라의 제22대 국왕 (437–514)
(신라 지증마립간에서 넘어옴)

지증왕(智證王, 437년 ~ 514년, 재위: 500년 음력 11월 ~ 514년)은 신라의 제22대 왕이다. 지대로(智大路, 삼국사기), 지도로(智度盧,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至都盧, 포항 냉수리 신라비), 지철로(智哲老, 삼국사기)라고도 하였다. 내물 마립간의 증손이며 복호 갈문왕의 손자이자 습보 갈문왕(習寶)의 아들이다. 전임 소지 마립간과는 6촌 형제간이었다. 법흥왕의 아버지로 지증 마립간(智證麻立干)이라고도 한다. 502년 순장법을 금하고 농사를 장려하였으며, 를 길러 땅을 갈게 하였다. 이듬해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마립간 대신 중국식 군주의 칭호인 의 칭호를 사용하였다.[1]

신라 지증왕
新羅 智證王
천마총
천마총
제22대 신라 마립간
재위 500년 11월 ~ 503년 10월 (음력)
전임 소지 마립간
후임 마립간 칭호에서 국왕으로 변경
제22대 신라 국왕
재위 503년 10월 ~ 514년 (음력)
전임 소지 마립간
후임 법흥왕(法興王)
이름
김지대로(金智大路)
묘호 없음
시호 지증(智證)
신상정보
출생일 437년
출생지 신라 서라벌 사탁부
사망일 514년 (77세)
사망지 신라 서라벌
국적 신라
부친 습보 갈문왕(習寶 葛文王)
모친 조생부인(鳥生夫人)
형제자매 김아진종, 누이
배우자 연제부인(延帝夫人)
자녀 법흥왕, 입종 갈문왕, 어사추 여랑왕, 김진종(?)
능묘 천마총(天馬塚) (추정)

즉위 전 갈문왕에 책봉되어 지도로 갈문왕(至都盧 葛文王)이 되고, 소지 마립간으로부터 후계자로 지명되어 즉위하였다. 그는 제도와 체제를 개편, 정비하여 504년 상복법을 제정하였으며, 505년 주, 군, 현을 정하고 각 주에 군주를 두었다. 509년 서울에 동시(東市)를 두었고, 512년 우산국(울릉도)을 정복하였다. 또한 한국고대 사회에서부터 전해지던 순장 풍습을 최초로 폐지한 군주이기도 하다. 시호는 지증인데, 신라 최초의 시호이기도 하다.[2] 6촌 형제간인 소지 마립간과 사돈이었고 즉위 전 갈문왕에 봉해진 것이 영일냉수리신라비를 통해 확인되었다.

생애

편집

젊은 시절

편집

마립간의 칭호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임금이다. 성은 김씨이며, 이름은 지철로라고 한다. 내물 마립간의 증손자이며 할아버지는 갈문왕 김복호이고, 아버지는 습보 갈문왕(習寶)이며 어머니는 조생부인 김씨(鳥生夫人 金氏)이다. 복호의 형은 눌지 마립간으로, 그는 소지 마립간의 재종 아우이다.

부인은 연제부인(延帝夫人) 박씨이며, 소지 마립간이 아들이 없이 죽어 64세에 왕위를 이었다.[3] 514년 죽은 뒤 시호를 지증이라 하였는데, 이때 이후로 신라의 시호법이 시작되었다.[4]

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에 의하면 503년에 사탁부(沙啄部) 소속에 지도로 갈문왕(至都盧葛文王)으로 기록되었다. 왕으로 즉위하기 전에 갈문왕에 제수된 것이다. 서자 산종만이 있었던 소지 마립간은 사위인 원종을 염두에 두고 자신의 사촌들을 제치고, 6촌이자 사돈인 그를 차기 왕위 계승자로 내정했던 것이다.

치세 기간

편집

500년 음력 11월에 왕이 즉위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유사는 남제 영원 3년(501년)에 왕이 즉위했다는 기록을 함께 전하고 있다.[5] 502년 순장을 금하고, 신궁에서 직접 제사를 지냈다. 음력 3월에 주주(州主)와 군주(郡主)에게 각각 명하여 농사를 권장케 하였고, 처음으로 를 부려 논밭갈이를 하였다.[6] 503년에 국호를 신로(新盧)·사라(斯羅)·서나(徐那)·서야(徐耶)·서라(徐羅)·서벌(徐伐) 등에서 “신라”(新羅)로 통일하였다.[7]

즉위 초부터 그는 각종 제도와 국가 내부 체제 개편을 추진하였다. 504년 음력 4월 상복법을 제정하고, 음력 9월에 파리, 미실, 진덕, 골화 등 12성을 쌓는 등 고대 국가로서의 기반을 다졌다.[8]

509년에는 시사(市肆, 혹은 시전)를 관리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東市典)을 설치하였다.[9] 이리하여 무역과 상인들의 거래를 단속, 통제하였다.

또한 처음으로 지방에 군주(軍主)를 두었다.[10] 512년 실직주(悉直州)의 군주이자 이찬 이사부로 하여금 우산국을 복속시켜 해마다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게 하였다.[11]

한편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기골이 장대하고 체구가 커서 배우자가 없었던 지증왕에게는 알맞은 배우자가 없었는데 신하를 보내 신라 국내를 수소문하던 중 연제부인(延帝夫人)을 발견하여 배우자로 삼았다는 전설이 전한다.

가계

편집

설화

편집

지증왕설화는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과 《삼국사기》 김유신조에 수록되어 있다.

기타

편집

신하들이 왕비가 될 여성을 찾으러 다니던 중 경주 남산의 연못에 큰 똥덩이가 있는 것을 보고, 그 큰 똥의 주인이 여성이라면 왕을 감당할 것이라 보고 수소문한 끝에 이찬 박등혼의 딸이라 하였다. 이에 신하들이 등혼의 딸을 간택하여 왕비로 들이니 그가 왕비인 연제부인이라는 것이다.

이 설화는 다만 《삼국사기》에는 소개되어 있지 않으며, "몸이 크고 담력이 뛰어났다"고만 밝히고 있다. 박노자 교수는 정통성이 약했던 지증왕이, 고대인의 성기 숭상 문화와 연관지어 위상을 높였다는 해석을 제기하고 있다.[12]

왕릉은 문헌상 비정되는 곳은 없으나, 현대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천마총이 지증왕의 능으로 보고 있다.[13] 피장자의 키가 160cm 내외로 추정된다.[1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그러나 마립간 또는 매금이라는 칭호는 지증왕의 장남 법흥왕의 때까지도 비공식적으로나마 잔존하여 사용되었다. 이는 울진 봉평신라비와 울산천전리각석에 기록되어 있다.
  2.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智證麻立干立 姓金氏 諱智大路 或云智度路 又云智哲老 (지증 마립간(智證麻立干)이 왕위에 올랐다. 성(姓)은 김씨이고 이름은 지대로(智大路)이다. <지도로(智度路) 혹은 지철로(智哲老)라고도 하였다.) 
  3.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智證麻立干立 姓金氏 諱智大路 或云智度路 又云智哲老 奈勿王之曾孫 習寶葛文王之子 炤知王之再從弟也 母金氏鳥生夫人 訥祇王之女 妃朴氏延帝夫人 登欣伊湌女 王體鴻大 膽力過人 前王薨 無子 故繼位 時年六十四歲 (지증 마립간(智證麻立干)이 왕위에 올랐다. 성(姓)은 김씨이고 이름은 지대로(智大路)이다. <지도로(智度路) 혹은 지철로(智哲老)라고도 하였다. 나물왕의 증손으로 습보갈문왕(習寶葛文王)의 아들이고 소지왕(炤知王)의 재종 동생이다. 어머니는 김씨 조생부인(鳥生夫人)으로 눌지왕의 딸이다. 왕비는 박씨 연제부인(延帝夫人)으로 이찬 등흔(登欣)의 딸이다. 왕은 체격이 매우 컸고 담력이 남보다 뛰어났다. 전왕(前王)이 아들없이 죽었으므로 왕위를 이어 받았다. 당시 나이는 64세였다. ) 
  4.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十五年 ... 王薨 諡曰智證 新羅諡法 始於此 (15년(514) ...왕이 죽었다. 시호(諡號)를 지증(智證)이라 하였는데, 신라에서 시호를 쓰는 법은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 
  5. “지철로왕”. 2024년 6월 27일에 확인함. 
  6.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三年 春二月 下令禁殉葬 前國王薨 則殉以男女各五人 至是禁焉 親祀神宮 三月 分命州郡主勸農 始用牛耕(3년(502) 봄 2월에 영(令)을 내려 순장(殉葬)을 금하였다. 전에는 국왕이 죽으면 남녀 각 다섯 명씩을 순장했는데, 이때 이르러 금한 것이다. 왕이 몸소 신궁(神宮)에 제사지냈다. 3월에 주주(州主)와 군주(郡主)에게 각각 명하여 농사를 권장케 하였고, 처음으로 소를 부려 논밭갈이를 하였다. ) 
  7.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四年 冬十月 羣臣上言 “始祖創業已來 國名未定 或稱斯羅 或稱斯盧 或言新羅 臣等以爲 新者德業日新 羅者網羅四方之義 則其爲國號宜矣 又觀自古有國家者 皆稱帝稱王 自我始祖立國 至今二十二世 但稱方言 未正尊號 今羣臣一意 謹上號新羅國王” 王從之(년(503) 겨울 10월에 여러 신하들이 아뢰었다. 시조께서 나라를 세우신 이래 나라 이름을 정하지 않아 사라(斯羅)라고도 하고 혹은 사로(斯盧) 또는 신라(新羅)라고도 칭하였습니다. 신 등의 생각으로는, 신(新)은 ‘덕업이 날로 새로워진다.’는 뜻이고 나(羅)는 ‘사방을 망라한다.’는 뜻이므로 이를 나라 이름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다고 여겨진다. 또 살펴 보건대 예부터 국가를 가진 이는 모두 제(帝)나 왕(王)을 칭하였는데, 우리 시조께서 나라를 세운 지 지금 22대에 이르기까지 단지 방언만을 칭하고 높이는 호칭을 정하지 못하였으니, 이제 뭇 신하가 한 마음으로 삼가 신라국왕(新羅國王)이라는 칭호를 올립니다. 왕이 이에 따랐다. ) 
  8.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五年 夏四月 制喪服法頒行 秋九月 徵役夫築波里 彌實 珍德 骨火等十二城(5년(504) 여름 4월에 상복(喪服)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반포하고 시행하였다. 가을 9월에 인부를 징발하여 파리성(波里城), 미실성(彌實城), 진덕성(珍德城), 골화성(骨火城) 등 12성을 쌓았다.) 
  9.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十年 春正月 置京都東市(10년(509) 봄 정월에 서울에 동시(東市)를 설치하였다. ) 
  10.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六年 春二月 王親定國內州郡縣 置悉直州 以異斯夫爲軍主 軍主之名 始於此 (6년(505) 봄 2월에 왕이 몸소 나라 안의 주(州)·군(郡)·현(縣)을 정하였다. 실직주(悉直州)를 설치하고 이사부(異斯夫)를 군주(軍主)로 삼았는데, 군주(軍主)의 명칭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 
  11. 김부식 (1145). 〈본기 권4 지증 마립간〉. 《삼국사기》. 十三年 夏六月 于山國歸服(13년(512) 여름 6월에 우산국이 항복하여 해마다 토산물을 바쳤다. ) 
  12. 박노자 (2008년 12월 18일). “고대는 남근석의 나라”. 《박노자의 거꾸로 본 고대사》 (한겨레21). 2023년 11월 5일에 확인함. 
  13. "백55호 고분은 지증왕릉". 1973년 9월 19일.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14.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4년 4월 15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 대
소지 마립간
제22대 신라 국왕
500년 - 514년
후 대
법흥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