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오대사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1년 10월) |
이름 | 저자 | 권수 |
---|---|---|
사기 | 전한·사마천 | 130 |
한서 | 후한·반고·배인 | 100 |
후한서 | 유송·범엽·배송지 | 120 |
삼국지 | 서진·진수·배잠 | 65 |
진서(晉書) | 당·방현령·배행검 등 | 130 |
송서 | 양·심약 | 100 |
남제서 | 양·소자현 | 59 |
양서 | 당·요사렴 | 56 |
진서(陳書) | 당·요사렴 | 36 |
위서 | 북제·위수 | 114 |
북제서 | 당·이백약 | 50 |
주서 | 당·영호덕분 등 | 50 |
수서 | 당·위징 등 | 85 |
남사 | 당·이연수 | 80 |
북사 | 당·이연수 | 100 |
구당서 | 후진·유후 등 | 200 |
신당서 | 송·구양수 등 | 225 |
구오대사 | 송·설거정 등 | 150 |
신오대사 | 송·구양수 | 74 |
송사 | 원·토크토 등 | 496 |
요사 | 원·토크토 등 | 116 |
금사 | 원·토크토 등 | 135 |
원사 | 명·송렴 등 | 210 |
명사 | 청·장정옥 등 | 332 |
신원사* | 중화민국·커샤오민 등 | 257 |
청사고* | 중화민국·자오얼쑨 등 | 536 |
신오대사(新五代史)는 북송의 구양수가 지은 중국의 오대 십국 시대를 다룬 역사서다. 사찬 정사로, 이십사사에 속한다.[1]
개요
편집신오대사의 원래 이름은 《오대사기》이지만 설거정의 《구오대사》와 구별하기 위해 《신오대사》로 칭한다. 당대이후 정사 중에 유일하게 개인이 편찬한 것이다. 모두 74권으로 송나라 구양수가 편찬해 황우 5년(1053년)에 완성했다. 구양수는 지방 근무 중에 신오대사(新五代史)를 편찬하고, 중앙에 복귀하여 송기 등과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하였다. 본기 12권, 열전 45권, 고 3건, 세가 10권, 연보 1권, 부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세가와 연보는 남쪽지역의 10국에 관한 것이다. 중국의 정사(正史)에서 〈세가〉가 쓰여진 예는 《사기》와 《신오대사(新五代史)》 등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자료는 <구오대사>와 기타 소설, 필기 등을 사용하여 <구오대사>의 빠진 부분 등을 보충했다. 이 책의 저술동기와 그 특징은 춘추의 필법을 모방하여 유교적인 가치관에 따라 존왕사상과 군신관계 부자관계 등의 봉건적인 질서를 강조하고 있는 점에서 강한 근엄한 스타일을 견지한 책으로 평가된다. 또한 작자 자신이 명문장가이므로 글이 간결하고 호방하다.
구성
편집본기(本紀)
편집### | 제목 | 군주 | 시기(음력) | 비고 | |
---|---|---|---|---|---|
후량(後梁) | |||||
권1 | 본기1 | 태조(太祖) 上 | 태조 주황(太祖 朱晃) | 883년 3월 ~ 906년 12월 (당 중화(中和) 3년 ~ 당 천우(天祐) 3년) |
|
권2 | 본기2 | 태조(太祖) 下 | 907년 1월 ~ 912년 6월 (당 천우(天祐) 4년 ~ 건화(乾化) 2년) |
||
권3 | 본기3 | 말제(末帝) | 영왕 주우규(郢王 朱友珪) 말제 주우정(末帝 朱友貞) |
912년 6월 ~ 923년 10월 (건화(乾化) 2년 ~ 용덕(龍德) 3년) |
|
후당(後唐) | |||||
권4 | 본기4 | 장종(莊宗) 上 | 장종 이존욱(莊宗 李存勖) | 869년 ~ 908년 1월 (당 함통(咸通) 10년 ~ 당 천우(天祐) 5년) |
|
권5 | 본기5 | 장종(莊宗) 下 | 908년 1월 ~ 926년 4월 (당 천우(天祐) 5년 ~ 동광(同光) 4년) |
||
권6 | 본기6 | 명종(明宗) | 명종 이사원(明宗 李嗣源) | 923년 ~ 933년 11월 (동광(同光) 원년 ~ 장흥(長興) 4년) |
|
권7 | 본기7 | 민제(閔帝) 폐제(廢帝) |
민제 이종후(閔帝 李從厚) 말제 이종가(末帝 李從珂) |
933년 11월 ~ 936년 윤 11월 (장흥(長興) 4년 ~ 청태(淸泰) 3년) |
|
후진(後晉) | |||||
권8 | 본기8 | 고조(高祖) | 고조 석경당(高祖 石敬瑭) | 927년 10월 ~ 942년 6월 (후당 천성(天成) 2년 ~ 천복(天福) 7년) |
|
권9 | 본기9 | 출제(出帝) | 소제 석중귀(少帝 石重貴) | 942년 6월 ~ 946년 12월 (천복(天福) 7년 ~ 개운(開運) 3년) |
|
후한(後漢) | |||||
권10 | 본기10 | 고조(高祖) 은제(隱帝) |
고조 유지원(高祖 劉知遠) 은제 유승우(隱帝 劉承祐) |
937년 ~ 950년 11월 (후진 천복(天福) 2년 ~ 건우(乾祐) 3년) |
|
후주(後周) | |||||
권11 | 본기11 | 태조(太祖) | 태조 곽위(太祖 郭威) | 948년 1월 ~ 954년 1월 (후한 건우(乾祐) 원년 ~ 현덕(顯德) 원년) |
|
권12 | 본기12 | 세종(世宗) 공제(恭帝) |
세종 시영(世宗 柴榮) 공제 시종훈(恭帝 柴宗訓) |
954년 1월 ~ 960년 1월 (현덕(顯德) 원년 ~ 현덕(顯德) 7년) |
열전(列傳)
편집### | 부제 | 인물 | 비고 | |
---|---|---|---|---|
권13 | 열전1 | 양가인(梁家人) | <후비(后妃)> 태조문혜왕후 왕씨(太祖文惠皇后 王氏), 원정황후 장씨(元貞皇后 張氏), 소의 진씨(昭儀 陳氏), 소용 이씨(昭容 李氏), 말제덕비 장씨(末帝德妃 張氏), 차비 곽씨(次妃 郭氏) |
|
<종실 제자(宗室 諸子)> 광왕 전욱(廣王 全昱), 낭왕 존(朗王 存), 침왕 우유(郴王 友裕), 박왕 우문(博王 友文), 강왕 우자(康王 友孜) | ||||
권14 | 열전2 | 당태조가인 (唐太祖家人) |
<후비(后妃)> 정실 유씨(正室 劉氏), 정간황후 조씨(貞簡皇后 曹氏), 신민경황후 유씨(神閔敬皇后 劉氏) |
|
<헌조 제자(獻祖 諸子)> 이극양(李克讓), 이극수(李克脩), 이극공(李克恭), 이극녕(李克寧) | ||||
<태조 제자(太祖 諸子)> 옹왕 존미(邕王 存美), 영왕 존패(永王 存霸), 설왕 존례(薛王 存禮), 신왕 존악(申王 存渥), 목왕 존예(睦王 存乂), 통왕 존확(通王 存確), 아왕 존기(雅王 存紀) | ||||
<장종 제자(莊宗 諸子)> 위왕 계급(魏王 繼岌), 수왕 계동(守王 繼潼), 광왕 계숭(光王 繼嵩), 계첨(眞王 繼嶦), 천왕 계요(川王 繼嶢) | ||||
권15 | 열전3 | 당명종가인 (唐明宗家人) |
<후비(后妃)> 화무현황후 조씨(和武憲皇后 曹氏), 소의황후 하씨(昭懿皇后 夏氏), 선헌황후 위씨(宣憲皇后 魏氏), 숙비 왕씨(淑妃 王氏), 애황후 공씨(哀皇后 孔氏) |
|
<명종 제자(明宗 諸子)> 이종경(李從璟), 진왕 종영(秦王 從榮), 허왕 종익(許王 從益) | ||||
<명종 종자(明宗 從子)> 이종찬(李從璨), 양왕 종장(洋王 從璋), 연왕 종온(兗王 從溫), 경왕 종민(涇王 從敏) | ||||
권16 | 열전4 | 당폐제가인 (唐廢帝家人) |
황후 유씨(皇后 劉氏), 이중길(李重吉), 옹왕 종미(雍王 重美) | |
권17 | 열전5 | 진가인(晉家人) | <후비(后妃)> 고조황후 이씨(高祖皇后 李氏), 안태비(安太妃), 출제황후 풍씨(出帝皇后 馮氏) |
|
<종실 제자(宗室 諸子)> 광왕 경위(廣王 敬威), 석경윤(石敬贇), 한왕 경휘(韓王 敬暉), 초왕 중신(楚王 重信), 수왕 중예(壽王 重乂), 석중예(石重睿), 진왕 중고(陳王 重杲), 석연후(石延煦), 석연보(石延寶) | ||||
권18 | 열전6 | 한가인(漢家人) | 고조황후 이씨(高祖皇后 李氏), 위왕 승훈(魏王 承訓), 진왕 승훈(陳王 承勳), 채왕 신(蔡王 信) | |
권19 | 열전7 | 주태조가인 (周太祖家人) |
<후비(后妃)> 성목황후 시씨(聖穆皇后 柴氏), 숙비 양씨(淑妃 楊氏), 귀비 장씨(貴妃 張氏) |
|
<태조 제자(太祖 諸子)/태조 종자(太祖 從子)> 담왕 (郯王 侗), 사왕 신(𣏌王 信), 시수원(柴守愿), 시봉초(柴奉超), 시손(柴遜) | ||||
권20 | 열전8 | 주세종가인 (周世宗家人) |
<생부(生父)/후비(后妃)> 시수례(柴守禮), 정혜왕후 유씨(貞惠皇后 劉氏), 선의황후 부씨(宣懿皇后 符氏) |
|
<세종 제자(世宗 諸子)> 월왕 의가(越王 宜哥), 오왕 성(吳王 誠), 한왕 함(韓王 諴), 조왕 희양(曹王 熙讓), 기왕 희근(紀王 熙謹), 기왕 희회(蘄王 熙誨) | ||||
권21 | 열전9 | 양신(梁臣) 1 | 경상(敬翔), 주진(朱珍), 방사고(龐師古), 곽존(霍存), 장존경(張存敬), 부도소(符道昭), 유한(劉捍), 구언경(寇彦卿) | |
권22 | 열전10 | 양신(梁臣) 2 | 강회영(康懷英), 유심(劉鄩), 우존절(牛存節), 장귀패(張歸霸), 왕중사(王重師), 서회옥(徐懷玉) | |
권23 | 열전11 | 양신(梁臣) 3 | 양사후(楊師厚), 왕경인(王景仁), 하괴(賀瑰), 왕단(王檀), 마사훈(馬嗣勳), 왕건유(王虔裕), 사언장(謝彦章) | |
권24 | 열전12 | 당신(唐臣) 1 | 곽숭도(郭崇韜), 안중회(安重誨) | |
권25 | 열전13 | 당신(唐臣) 2 | 주덕위(周德威), 부존심(符存審), 사건당(史建瑭), 왕건급(王建及), 원행흠(元行欽), 이금전(安金全), 원건풍(袁建豊), 서방업(西方鄴) | |
권26 | 열전14 | 당신(唐臣) 3 | 부습(符習), 조진(烏震), 공염(孔謙), 장연랑(張延朗), 이엄(李嚴), 이인구(李仁矩), 모장(毛璋) | |
권27 | 열전15 | 당신(唐臣) 4 | 석홍조(朱弘昭), 유연랑(劉延朗), 강사위(康思立), 강의성(康義誠), 약언조(藥彦稠) | |
권28 | 열전16 | 당신(唐臣) 5 | 두로혁(豆盧革), 노정(盧程), 임원(任圜), 조봉(趙鳳), 이습길(李襲吉), 장헌(張憲), 소희보(蕭希甫), 유찬(劉贊), 하찬(何瓚) | |
권29 | 열전17 | 진신(晉臣) | 상유한(桑維翰), 경연광(景延廣), 오만(吳巒) | |
권30 | 열전18 | 한신(漢臣) | 소봉길(蘇逢吉), 사홍조(史弘肇), 양분(楊邠), 왕장(王章), 유수(劉銖), 이업(李業), 섭문진(聶文進), 후찬(後贊), 곽윤명(郭允明) | |
권31 | 열전19 | 주신(周臣) | 왕박(王朴), 정인회(鄭仁誨), 호재(扈載) | |
권32 | 열전20 | 사절(死節) | 왕언장(王彦章) | |
권33 | 열전21 | 사사(死事) | 장원덕(張源德), 하노기(夏魯奇), 요홍(姚洪), 왕사동(王思同), 장경달(張敬達), 적진종(翟進宗), 심빈(沈斌), 왕청(王淸), 사언초(史彦超), 손성(孫晟) | |
권34 | 열전22 | 일행(一行) | 정오(鄭遨), 석앙(石昻), 정복윤(程福贇), 이자륜(李自倫) | |
권35 | 열전23 | 당육신(唐六臣) | 장문위(張文蔚), 양섭(楊涉),장책(張策), 조광봉(趙光逢), 설이구(薛貽矩), 소순(蘇循) | |
권36 | 열전24 | 의아(義兒) | 이사소(李嗣昭), 이사본(李嗣本), 이사은(李嗣恩), 이존신(李存信), 이존효(李存孝), 이존진(李存進), 이존장(李存璋), 이존현(李存賢) | |
권37 | 열전25 | 영관(伶官) | 주잡(周匝), 경신마(敬新磨), 경진(景進), 사언경(史彦瓊), 곽종겸(郭從謙) | |
권38 | 열전26 | 환자(宦者) | 장승업(張承業), 장거한(張居翰) | |
권39 | 열전27 | 왕용(王鎔), 나소위(羅紹威), 왕처진(王處直), 유수광(劉守光) | ||
권40 | 열전28 | 이무정(李茂貞), 한건(韓建), 이인복(李仁福), 한손(韓遜), 양숭본(楊崇本), 고만흥(高萬興), 온도(溫韜) | ||
권41 | 열전29 | 노광조(盧光稠), 담전파(譚全播), 뇌만(雷滿), 종전(鍾傳), 조광응(趙匡凝) | ||
권42 | 열전30 | 주선(朱宣), 왕사범(王師範), 이한지(李罕之), 맹방위(孟方立), 왕가(王珂), 조주(趙犨), 풍행습(馮行襲) | ||
권43 | 열전31 | 씨숙종(氏叔琮), 이언위(李彦威), 이진(李振), 배적(裴迪), 위진(韋震), 공순(孔循), 공덕소(孫德昭), 왕경요(王敬蕘), 장은(蔣殷) | ||
권44 | 열전32 | 유지준(劉知俊), 정회(丁會), 하덕륜(賀德倫), 염보(閻寶), 강연효(康延孝) | ||
권45 | 열전33 | 장전의(張全義), 주우겸(朱友謙), 원상선(袁象先), 주한빈(朱漢賓), 단응(段凝), 유기(劉玘), 주지유(周知裕), 육사탁(陸思鐸) | ||
권46 | 열전34 | 조재례(趙在禮), 곽언위(霍彦威), 방지온(房知溫), 왕안구(王晏球), 안중패(安重霸), 왕건위(王建立), 강복(康福), 곽연로(郭延魯) | ||
권47 | 열전35 | 화온기(華溫琪), 장종간(萇從簡), 장균(張筠), 양언순(楊彦詢), 이주(李周), 유처양(劉處讓), 이승약(李承約), 장희숭(張希崇), 상리금(相里金), 장정온(張廷蘊), 마전절(馬全節), 황보우(皇甫遇), 안언위(安彦威), 이경(李瓊), 유경암(劉景巖) | ||
권48 | 열전36 | 노문진(盧文進), 이금전(李金全), 양사권(楊思權), 윤휘(尹暉), 왕홍지(王弘贄), 유심교(劉審交), 왕주(王周), 고행주(高行周), 백재영(白再榮), 안숙천(安叔千) | ||
권49 | 열전37 | 적광업(翟光鄴), 풍휘(馮暉), 황보휘(皇甫暉), 당경사(唐景思), 왕진(王進), 상사(常思), 손방간(孫方諫) | ||
권50 | 열전38 | 왕준(王峻), 왕은(王殷), 유사(劉詞), 왕환(王環), 절종완(折從阮) | ||
권51 | 열전39 | 주수은(朱守殷), 동장(董璋), 범연광(范延光), 누계영(婁繼英), 안중영(安重榮), 안종진(安從進), 양광원(楊光遠) | ||
권52 | 열전40 | 두중위(杜重威), 이수정(李守貞), 장언택(張彦澤) | ||
권53 | 열전41 | 왕경숭(王景崇), 조사관(趙思綰), 모용언초(慕容彦超) | ||
권54 | 열전42 | 서언(序言), 풍도(馮道), 이기(李琪), 정각(鄭珏), 이우(李愚), 노도(盧導), 사공정(司空頲) | ||
권55 | 열전43 | 유구(劉昫), 노문기(盧文紀), 마윤손(馬胤孫), 요의(姚顗), 유악(劉岳), 마호(馬縞), 최거검(崔居儉), 최탈(崔梲), 이역(李懌) | ||
권56 | 열전44 | 화응(和凝), 조형(趙瑩), 마옥(馮玉), 노질(盧質), 여기(呂琦), 설융(薛融), 하택(何澤), 왕권(王權), 사규(史圭), 용민(龍敏) | ||
권57 | 열전45 | 이숭(李崧), 이린(李鏻), 가위(賈緯), 단희요(段希堯), 장윤(張允), 왕송(王松), 배호(裴皞), 왕인유(王仁裕), 배우(裴羽), 왕연(王延), 마중적(馬重績), 조연의(趙延義) |
고(考)
편집### | 부제 | 비고 | |
---|---|---|---|
권58 | 고1 | 사천(司天) 1 | |
권59 | 고2 | 사천(司天) 2 | |
권60 | 고3 | 직방(職方) |
세가(世家)
편집### | 부제 | 목록 | 비고 | |
---|---|---|---|---|
권61 | 세가1 | 오(吳) | 양행밀(楊行密), 양악(楊渥), 양융연(楊隆演), 양부(楊溥), 서온(徐溫) | |
권62 | 세가2 | 남당(南唐) | 이변(李昪), 이경(李景), 이욱(李煜) | |
권63 | 세가3 | 전촉(前蜀) | 왕건(王建), 왕연(王衍) | |
권64 | 세가4 | 후촉(後蜀) | 맹지상(孟知祥), 맹창(孟昶) | |
권65 | 세가5 | 남한(南漢) | 유은(劉隱), 유엄(劉龑), 유분(劉玢), 유성(劉晟), 유창(劉鋹) | |
권66 | 세가6 | 초(楚) | 마은(馬殷), 마희성(馬希聲), 마희범(馬希範), 마희광(馬希廣), 유언(劉言), 주행봉(周行逢), 주보권(周保權) | |
권67 | 세가7 | 오월(吳越) | 전류(錢鏐), 전원관(錢元瓘), 전홍좌(錢弘佐), 전홍숙(錢弘俶) | |
권68 | 세가8 | 민(閩) | 왕심지(王審知), 왕연한(王延翰), 왕린(王鏻), 왕계붕(王繼鵬), 왕연희(王延羲), 왕연정(王延政) | |
권69 | 세가9 | 남평(南平) | 고계흥(高季興), 고종회(高從誨), 고보융(高保融), 고보욱(高保勗), 고계충(高繼沖) | |
권70 | 세가10 | 동한(東漢) | 유민(劉旻), 유균(劉鈞), 유계은(劉繼恩), 유계원(劉繼元) | |
권71 | 세가11 | 십국세가연보 (十國世家年譜) |
부록(附錄)
편집### | 부제 | 목록 | 비고 | |
---|---|---|---|---|
권72 | 부록1 | 사이(四夷) 1 | 거란(契丹) | |
권73 | 부록2 | 사이(四夷) 2 | 거란(契丹) | |
권74 | 부록3 | 사이(四夷) 3 | 해(奚), 토욕혼(吐谷渾), 타타르(達靼), 탕구트(党項), 돌궐(突厥), 토번(吐蕃), 위구르(回鶻), 우전(于闐), 고려(高麗), 발해(渤海), 신라(新羅), 흑수말갈(黑水靺鞨), 남조만(南詔蠻), 장가(牂牁), 곤명(昆明), 점성(占城) |
- 《오대사기》서(《五代史記》序)
각주
편집- ↑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World Digital Library》. 1280-1368. 2013년 9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