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멱영 리 군
N
{\displaystyle N}
속의 격자 (영어 : lattice )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부분군
Γ
≤
N
{\displaystyle \Gamma \leq N}
이다.
Γ
{\displaystyle \Gamma }
는 이산 공간 이다.
몫공간
N
/
Γ
{\displaystyle N/\Gamma }
는 콤팩트 공간 이다.
연결 멱영 리 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N
{\displaystyle N}
은 (하나 이상의) 격자를 갖는다.
(말체프 조건 영어 : Mal’cev condition ) 모든 구조 상수가 유리수 가 되는 리 대수
Lie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N)}
의 기저 가 존재한다.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 를 영다양체 라고 한다.
연결 멱영 리 군 에 대한 동차 공간 이다. 즉, 연결 멱영 리 군
N
{\displaystyle N}
의 추이적 작용
⋅
:
N
×
M
→
M
{\displaystyle \cdot \colon N\times M\to M}
이 존재하며, 모든
g
∈
N
{\displaystyle g\in N}
에 대하여
g
⋅
:
M
→
M
{\displaystyle g\cdot \colon M\to M}
이 미분 동형 을 이룬다.
M
≅
Γ
∖
N
{\displaystyle M\cong \Gamma \backslash N}
이 되는 연결 멱영 리 군
N
{\displaystyle N}
및 격자
Γ
≤
N
{\displaystyle \Gamma \leq N}
이 존재한다.
반복된 U(1) 주다발 과 유클리드 공간 의 곱공간 과 미분 동형 이다. 즉,
M
≅
R
k
×
P
n
{\displaystyle M\cong \mathbb {R} ^{k}\times P_{n}}
이며
M
0
=
{
∙
}
{\displaystyle M_{0}=\{\bullet \}}
(한원소 공간 )인 매끄러운 주다발 의 열
U
(
1
)
→
M
i
→
M
i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U} (1)\to M_{i}\to M_{i-1}}
(
i
∈
{
1
,
…
,
n
}
)
{\displaystyle (i\in \{1,\dotsc ,n\})}
이 존재한다.[ 1] :Theorem 1
즉, 멱영 리 군 에 대한 동차 공간 의 안정자군 은 격자를 이룬다.
모든 영다양체는 자명하게 해다양체 이며, 따라서 해다양체의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특히, 영다양체의 2차 이상 호모토피 군 은 모두 자명하며, 콤팩트 영다양체는 그 기본군 으로 완전히 분류된다.
모든 영다양체는 콤팩트 영다양체와 유클리드 공간 의 곱공간 이다. 따라서 영다양체의 분류는 콤팩트 영다양체의 분류로 귀결된다.
원환면 이 아닌 콤팩트 영다양체는 형식적 공간 이 아니며, 특히 켈러 구조 를 가질 수 없다. 정의에 따라, 모든 영다양체는 가향 다양체 이며, 추가로 평행화 가능 다양체 이다.[ 2] :163, Corollary 4.1.3
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G
≅
π
1
(
M
)
{\displaystyle G\cong \pi _{1}(M)}
이 되는 영다양체
M
{\displaystyle M}
이 존재한다.
G
{\displaystyle G}
는 꼬임 부분군 이 자명한 유한 생성 멱영군 이다.
모든 연결 아벨 리 군 은 영다양체이다. 특히, 원환면
T
n
≅
R
n
/
Z
n
{\displaystyle \mathbb {T} ^{n}\cong \mathbb {R} ^{n}/\mathbb {Z} ^{n}}
은 콤팩트 영다양체이다.
하이젠베르크 군
H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n;\mathbb {R} )}
는
n
(
n
−
1
)
/
2
{\displaystyle n(n-1)/2}
차원 멱영 리 군 을 이룬다. 정수 계수 하이젠베르크 군
H
(
n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n;\mathbb {Z} )}
은 그 속의 격자를 이루며,
H
(
n
;
R
)
/
H
(
n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n;\mathbb {R} )/\operatorname {H} (n;\mathbb {Z} )}
은 영다양체를 이룬다.
2차원 이하의 연결 영다양체는 원환면 과 유클리드 공간 의 곱공간 밖에 없다. 콤팩트 영다양체를 구성하려면, 1차원에서는 한원소 공간 위에 하나의 U(1) 주다발이 존재하며, 2차원에서는 원 위의 U(1) 주다발은 역시 하나 밖에 없다. (원 위에는 두 개의 원다발 이 존재하며, 이는 각각 원환면 과 클라인 병 에 해당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U(1) 주다발을 이루지 못한다.)
3차원 콤팩트 영다양체는 자연수 에 의하여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2차원 원환면
T
2
{\displaystyle \mathbb {T} ^{2}}
위의 U(1) 주다발
P
{\displaystyle P}
는 그 연관 복소수 선다발 의 천 특성류 의 적분인 2차 코호몰로지
c
1
(
P
)
∈
H
2
(
T
2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1}(P)\in \operatorname {H} ^{2}(\mathbb {T} ^{2})\cong \mathbb {Z} }
로 분류된다. 그런데 이 경우
P
{\displaystyle P}
와 반대 방항 을 갖는 주다발
P
¯
{\displaystyle {\bar {P}}}
은 서로 미분 동형 인 다양체를 정의한다. 즉, 3차원 연결 콤팩트 영다양체의 미분 동형 동치류는 자연수
p
∈
N
{\displaystyle p\in \mathbb {N} }
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3차원 원환면 은
p
=
0
{\displaystyle p=0}
에 해당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하이젠베르크 군 의 몫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161, Example 4.1.1 하이젠베르크 군
Heis
(
1
;
R
)
=
{
(
1
x
z
0
1
y
0
0
1
)
:
x
,
y
,
z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Heis} (1;\mathbb {R} )=\left\{{\begin{pmatrix}1&x&z\\0&1&y\\0&0&1\end{pmatrix}}\colon x,y,z\in \mathbb {R} \right\}}
속에서, 리 군 곱셈 규칙이
(
x
,
y
,
z
)
⋅
(
x
′
,
y
′
,
z
′
)
=
(
x
+
x
′
,
y
+
y
′
,
x
y
′
+
z
+
z
′
)
{\displaystyle (x,y,z)\cdot (x',y',z')=(x+x',y+y',xy'+z+z')}
이므로, 격자
Γ
m
,
n
,
p
=
{
(
1
x
z
0
1
y
0
0
1
)
:
x
∈
m
−
1
Z
,
y
∈
n
−
1
Z
,
z
∈
m
−
1
n
−
1
p
−
1
Z
}
(
m
,
n
,
p
∈
Z
+
)
{\displaystyle \Gamma _{m,n,p}=\left\{{\begin{pmatrix}1&x&z\\0&1&y\\0&0&1\end{pmatrix}}\colon x\in m^{-1}\mathbb {Z} ,\;y\in n^{-1}\mathbb {Z} ,\;z\in m^{-1}n^{-1}p^{-1}\mathbb {Z} \right\}\qquad (m,n,p\in \mathbb {Z} ^{+})}
를 고를 수 있으며,
Γ
m
,
n
,
p
∖
Heis
(
1
;
R
)
{\displaystyle \Gamma _{m,n,p}\backslash \operatorname {Heis} (1;\mathbb {R} )}
는 콤팩트 영다양체를 이룬다. 사영 사상
Γ
m
,
n
,
p
∖
Heis
(
1
;
R
)
↠
(
R
/
m
−
1
Z
)
×
(
R
/
n
−
1
Z
)
=
T
2
{\displaystyle \Gamma _{m,n,p}\backslash \operatorname {Heis} (1;\mathbb {R} )\twoheadrightarrow (\mathbb {R} /m^{-1}\mathbb {Z} )\times (\mathbb {R} /n^{-1}\mathbb {Z} )=\mathbb {T} ^{2}}
(
x
,
y
,
z
)
↦
(
x
,
y
)
{\displaystyle (x,y,z)\mapsto (x,y)}
아래, 이는 2차원 원환면 위의 원다발 을 이룬다. 이 경우,
Γ
m
,
n
,
p
∖
Heis
(
1
;
R
)
{\displaystyle \Gamma _{m,n,p}\backslash \operatorname {Heis} (1;\mathbb {R} )}
는
Γ
1
,
1
,
p
∖
Heis
(
1
;
R
)
{\displaystyle \Gamma _{1,1,p}\backslash \operatorname {Heis} (1;\mathbb {R} )}
와 미분 동형 이다.[ 2] :163, §4.1.3 다시 말해, 모든 3차원 콤팩트 연결 영다양체는
T
3
{\displaystyle \mathbb {T} ^{3}}
또는
Γ
1
,
1
,
p
∖
Heis
(
1
;
R
)
{\displaystyle \Gamma _{1,1,p}\backslash \operatorname {Heis} (1;\mathbb {R} )}
(
p
∈
Z
+
{\displaystyle p\in \mathbb {Z} ^{+}}
)와 미분 동형 이다.[ 2] :162–163, Corollary 4.1.2
아나톨리 말체프 가 1949년에 도입하였고, ‘영다양체’(러시아어 : нильмногообразие 닐므노고오브라지예[* ] )라는 용어를 정의하였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