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닐람
알닐람(오리온자리 엡실론, ε Ori) 또는 오리온자리 46은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000 광년 떨어져 있는 청색 초거성이다. 질량은 태양의 34 배 정도, 밝기는 태양의 27만 5천 배 ~ 53만 7천 배로 추정된다.
알닐람 Alnilam | ||
오리온자리를 나타낸 성도로, 알닐람은 엡실론(ε)으로 표시되어 있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오리온자리 엡실론, 오리온자리 ε, ε Ori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오리온자리 46, 오리온자리 112 G | |
밝은 별 목록 | HR 1903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37128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32346 | |
소천성표 | BD -01°969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26311 | |
다른 이름 | FK5 210, TD1 4963, 参宿二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
적경(α) | 05h 36m 12.8s[1] | |
적위(δ) | −01° 12′ 06.9″[1] | |
겉보기등급(m) | 1.69[2] (1.64 - 1.74[3]) | |
절대등급(M) | −9.2[4]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1.65 ± 0.45 밀리초각[1] | |
거리 | 약 2000광년 | |
성질 | ||
광도 | 832,000 L☉[5] | |
나이 | 570만 년[6] | |
분광형 | B0 Ia[7] | |
추가 사항 | ||
질량 | 40 M☉[5] | |
반지름 | 42.0 R☉[5] | |
표면온도 | 27,000 K[5][8] | |
표면 중력 (log g) | 3.0 cgs[5] | |
자전 속도 | 40-70 km/s[5] | |
항성 목록 |
설명
편집알닐람은 밤하늘에서 29번째로 밝으며(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 청백색 초거성이다. 민타카와 알니타크와 함께 세 별은 오리온의 허리띠를 이루며 여러 고대 문명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 왔다. 알닐람은 허리띠 세 별 중 가운데에 있다. 밝기는 1.64에서 1.74 등급 사이에서 진폭을 보인다. 1943년 이래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항성들의 분광형을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안정적인 기준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7] 알닐람은 천측항법에 사용되는 58개 별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밤하늘에서는 12월 15일 자정 경 가장 높은 고도에 뜬다. 알닐람의 스펙트럼은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성간매질을 연구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분자구름 NGC 1990에 둘러싸여 있으며 알닐람은 이 분자구름을 비추어 반사성운을 형성한다.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의 속도는 초당 2000 킬로미터에 이르는데 이로부터 계산한 알닐람의 질량손실속도는 태양의 2천만 배에 이른다.[8]
특징
편집알닐람의 속성값은 논문에 따라 다양하다. 크라우더 연구진은 2006년 항성풍 및 대기 모델링을 사용하여 이 별의 밝기는 태양의 27만 5천 배, 유효 온도는 2만 7천 켈빈, 반지름은 태양의 24 배라는 결론을 얻었다.[8] 반면 설 연구진은 2008년 CMFGEN 코드로 스펙트럼을 분석, 밝기는 태양의 53만 7천 배, 유효 온도는 27,500 ± 100 켈빈, 반지름은 태양의 32.4 ± 0.75 배로 추정했다.[4] 오리온자리 OB1 성협 구성원들의 스펙트럼과 나이를 분석한 결과 알닐람의 질량은 태양의 34.6 배(주계열성이었던 시절에는 태양의 40.8 배), 나이는 570만 년으로 예측하였다.[6]
이후 히파르코스 위성으로 알닐람의 연주시차 값이 기존보다 작게 나와 이 별이 우리가 알던 것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음을 알게 되었다.(지구로부터 약 606 파섹)[1] 원래 히파르코스가 측정한 거리는 약 412 파섹이었다.[9] 606 파섹 거리를 가정하면 알닐람의 밝기는 최대 태양의 86만 3천 배까지 올라간다.[5]
명명법과 역사
편집오리온자리 엡실론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오리온자리 46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고유명칭 알닐람은 아랍어 النيلم (알-닐람)에서 온 것으로 '사파이어' 뜻의 '닐람'과 관계가 있다. 다른 표기로는 알니한(Alnihan)과 알니탐(Alnitam)이 있는데 셋 다 음역(音譯) 과정상 실수 또는 사본을 만들 때의 오류로 보인다.[10][11]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별들의 고유명칭을 공식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심의위원회(WGSN)[12]를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7월[13] 인증된 항성명칭을 고시했으며 알닐람은 여기에 포함되었다. 현재 알닐람은 국제천문연맹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4]
오리온의 허리띠
편집오리온의 허리띠를 구성하는 세 별은 여러 문화권에서 셋을 하나로 묶은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다. 아랍어로 세 별은 '알 니자드'(허리띠), '알 나사크'(줄), '알 알카트'(황금색 낱알 또는 황금색 땅콩) 등으로, 근대 아랍어로는 '알 미잔 알 하아크'(정확한 저울대)로 표기되었다. 중국 신화 역시 이 세 별을 저울대로 인식하였다.[10]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28수 중 삼수(중국어 간체자: 参宿, 정체자: 參宿, 병음: Shēn Xiù)에 포함된다. 삼수는 백호에 속해 있기도 하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 ↑ Ruban, E. V.; Alekseeva, G. A.; Arkharov, A. A.; Hagen-Thorn, E. I.; Galkin, V. D.; Nikanorova, I. N.; Novikov, V. V.; Pakhomov, V. P.; Puzakova, T. Yu. (September 2006). “Spectrophotometric observations of variable stars”. 《Astronomy Letters》 32 (9): 604–607. Bibcode:2006AstL...32..604R. doi:10.1134/S1063773706090052.
- ↑ 가 나 Searle, S. C.; Prinja, R. K.; Massa, D.; Ryans, R. (2008). “Quantitative studies of the optical and UV spectra of Galactic early B supergiants. I. Fundamental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1 (3): 777–97. arXiv:0801.4289. Bibcode:2008A&A...481..777S. doi:10.1051/0004-6361:20077125.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Raul E. Puebla; D. John Hillier; Janos Zsargó; David H. Cohen; Maurice A. Leutenegger (2015). “X-ray, UV and optical analysis of supergiants: ε Ori”.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56 (3): 2907. arXiv:1511.09365. Bibcode:2016MNRAS.456.2907P. doi:10.1093/mnras/stv2783.
- ↑ 가 나 Voss, R.; Diehl, R.; Vink, J. S.; Hartmann, D. H. (2010). “Probing the evolving massive star population in Orion with kinematic and radioactive trac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0: 10. arXiv:1005.3827. Bibcode:2010A&A...520A..51V. doi:10.1051/0004-6361/201014408. A51.
- ↑ 가 나 Morgan, W. W.; Keenan, Philip C.; Kellman, Edith (1943). “AN ATLAS OF STELLAR SPECTRA”. 《Astrophysics Monographs》.
- ↑ 가 나 다 Crowther, P. A.; Lennon, D. J.; Walborn, N. R. (January 2006). “Physical parameters and wind properties of galactic early B supergiants”. 《Astronomy & Astrophysics》 446 (1): 279–293. arXiv:astro-ph/0509436. Bibcode:2006A&A...446..279C. doi:10.1051/0004-6361:20053685.
- ↑ 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Hoeg, E.; Bastian, U.; Bernacca, P. L.; Crézé, M.; Donati, F.; Grenon, M.; Grewing, M.; Van Leeuwen, F.; Van Der Marel, H.; Mignard, F.; Murray, C. A.; Le Poole, R. S.; Schrijver, H.; Turon, C.; Arenou, F.; Froeschlé, M.; Petersen, C. S.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 Bibcode:1997A&A...323L..49P.
- ↑ 가 나 Allen, Richard Hinckley (1936).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314–315쪽.
- ↑ Knobel, E. B. (September 1909). “The name of epsilon Orionis”. 《The Observatory》 32: 357. Bibcode:1909Obs....32..357K.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