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방색
오방색(五方色)은 오행의 방위에 따른 색이다. 한자 문화권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주례》,[1] 《서경》,[2] 《예기》에서[3] 처음 확인된다.
오방정색(五方正色)
편집오방간색(五方間色)
편집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따라 10가지가 있다. 《성호사설》, 《규합총서》, 《이수신편》이 상생간색과 상극간색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상극간색은 세 문헌의 색명이 대부분 일치하는 반면 상생간색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5]
상생간색(相生間色)
편집- 정(靘) : 나무를 나타내는 청색과 불을 나타내는 적색의 간색이다.
- 훈(纁) : 불을 나타내는 적색과 흙을 나타내는 황색의 간색이다.
- 규(硅) : 흙을 나타내는 황색과 금을 나타내는 백색의 간색이다.
- 불(黻) : 금을 나타내는 백색과 물을 나타내는 흑색의 간색이다.
- 암(黯) : 물을 나타내는 흑색과 나무를 나타내는 청색의 간색이다.
상극간색(相克間色)
편집- 녹(綠) : 나무를 나타내는 청색과 흙을 나타내는 황색의 간색이다.
- 유(騮) : 흙을 나타내는 황색과 물을 나타내는 흑색의 간색이다.
- 자(紫) : 물을 나타내는 흑색과 불을 나타내는 적색의 간색이다.
- 홍(紅) : 불을 나타내는 적색과 금을 나타내는 백색의 간색이다.
- 벽(碧) : 금을 나타내는 백색과 나무를 나타내는 청색의 간색이다.
갤러리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고공기考工记〉: "동쪽을 청, 남쪽을 적, 서쪽을 백, 북쪽을 흑, 하늘을 현玄, 땅을 황이라 한다."
- ↑ 〈익직益稷〉: "오색으로 밝게 채색하여 옷을 지어서 드러내라." 여기에 청나라의 학자 손성연은 《주례》 〈고공기〉를 인용하여 이것이 오방색을 나타낸다 썼다.
- ↑ 〈옥조玉藻〉: "웃옷은 정색으로 입고, 아래옷은 간색으로 입어라." 여기에 당나라 시대 학자인 공영달은 양나라의 경학자 황간皇侃에 이어 《주례》 〈고공기〉를 나타낸다고 적었다.
- ↑ “오방색”. 두산백과. 2021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정성환 (2017). “규합총서와 성호사설의 전통색 색명 비교연구 - 상극간색과 상생간색을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 (2): 261–272. doi:10.18852/bdak.2017.15.2.261. ISSN 1738-0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