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중건

(원납전에서 넘어옴)

경복궁 중건(景福宮 重建)은 조선(朝鮮) 시대 말기 수렴청정을 하였었던 신정왕후(神貞王后)에게서 지시를 받은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君 李昰應)이 정원용(鄭元容), 조두순(趙斗淳), 이경재(李景在), 김병학(金炳學) 등 4명의 역대 영의정(領議政)들과 야합하여 1865년(고종 2년)부터 1872년(고종 9년)까지 행한 궁궐 중건이다. 경복궁 중건을 흥선대원군이 지휘함으로써 약9년여의 권력(섭정)을 장악하게 된다. 그러나 경복궁 중건의 비용이 많이 나와 이유원(李裕元)과 최익현(崔益鉉) 등에게 통렬히 경고 및 비판[1] 등을 받으며 결국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君 李昰應)은 1873년 권불십년(權不十年)처럼 섭정 권좌에서 9년여만에 물러나게 된다.

배경

편집

세도정치로 말미암아 왕실의 위신이 떨어진 조선 말기에 고종이 즉위하자 정권을 잡게 된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존엄성을 천하에 과시하여 중흥(中興)의 기세를 높이고자 임진왜란 때 타버린 경복궁의 중건을 착수했다. 경복궁은 조선시대의 법궁으로 태조가 창건한 것인데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타버린 후 국가의 재정이 부족하여 그대로 내버려 둔 채로 있었다. 순조(純祖) 말엽에 효명세자가 중건을 계획하다가 일찍 죽어서 뜻을 이루지 못하고, 헌종 때도 계획은 했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경과

편집

흥선대원군은 1865년 4월 26일(고종 2년 음력 4월 2일) 고종의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의 지시로[2] 경복궁 중건의 계획을 발표하고 영건도감(營建都監)을 두어 공사에 착수하니 찬·반의 의견이 분분했으나 대원군이 그 총책임을 맡고 일을 그대로 추진했다.

처음에는 백성들의 부역에 신중을 기하고 관리와 일반 백성 및 종친(宗親)들에게 고루 원납전을 강제로 바치게 하였으므로[3] 자진하여 부역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4] 대원군도 이들을 위해 위로금도 지급하고 무동대(舞童隊)·농악대(農樂隊) 혹은 남사당패를 동원하여 격려·고무하여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큰 재목(材木)이 필요하여 능(陵)의 산림에서도 나무를 베어다 썼는데, 다음 해 음력 3월에 재목장에 큰 불이 나서 건축 작업 전체에 큰 지장을 초래하였다.

1866년 3월 화재가 발생, 전각과 재목이 소실되자 흥선대원군은 대노하여 흥인군이경하를 투옥, 처형하려고 했으나 중신들의 만류로 그만두었다. 당시 마감용 목재에 기름칠을 하는 창고에서 불이 나 800여 칸에 쌓아 둔 목재가 모두 타버려 공사가 중단될 처지에 놓였다. 공사를 시작한지 1년 만의 일이었다.[5] 흥선대원군은 공사 책임자인 이경하와 흥인군을 불러 면전에서 크게 질책하며 극형에 처하도록 했으나 여러 조정 대신들의 간언으로 원상 복구의 책임만 지게 되었다.[5]

지금까지 벌목한 나무는 국유림에서 가져온 것이니 지금부터는 산 주인과 묘 주인의 허락 여부는 상관하지 말고 사유림에서 벌목하도록 하라![5]

그러나 이경하흥인군목재가 더 이상 나올 곳이 없다며 오히려 죄를 청했다. 이에 흥선대원군은 크게 화를 냈다.[5]

그러나 대원군은 초지일관하여 공사를 추진시켜서 강원도·함경도의 재목은 뗏목으로 운반해 오고, 각처에서 석재(石材)를 모아들이는 한편 서낭당의 큰 돌이나 재목도 공출케 하고, 양반 집안의 묘지에서도 목재를 마구 베어 왔다. 경비가 차차 옹색해지자 원납전을 받고 벼슬을 파는가 하면 세금을 올리고, 심지어는 서울의 성문을 출입하는 데도 세금을 부과하고 당백전을 발행하는 등 무리한 일을 강행하였다.

이리하여 1872년(고종 9) 조선 말기의 건축·공예·미술의 결정(結晶)이라고 할 만한 경복궁의 중건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일은 결과적으로 양반 귀족으로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원망의 대상이 됐으며, 경제적인 파탄을 초래하여 대원군 몰락의 한 원인이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유원과 익현]]이 경복궁 중건의 상당수 대량 흥선대에게 통렬한 통박이 섞인 경고 및 일갈과 함께 신랄히 비판.
  2. 《고종실록》(권2 고종2년 4월2일)
  3. “조선시대 강제 기부금은?…'LG 고시'에 1만여명 몰려”. 머니투데이. 2017년 10월 14일. 
  4.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 : 네이버 통합검색”.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5. 윤효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백성들의 눈으로 쓴 살아 있는 망국사》 (다산초당, 2010) 165페이지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왕권의 재확립과 쇄국책〉"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