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위상수학 과 범주론 에서, 위상 함자 를 통해 주어진 집합 위에 여러 위상수학적 구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들은 완비 격자 를 이룬다. 이 경우 한 구조가 다른 구조에 대하여 더 섬세한 구조 (纖細-構造, 영어 : finer structure ) 또는 더 엉성한 구조 (-構造, 영어 : coarser structure )라고 한다.
두 범주
E
{\displaystyle {\mathcal {E}}}
,
B
{\displaystyle {\mathcal {B}}}
사이의 함자
Π
:
E
→
B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E}}\to {\mathcal {B}}}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대상
X
^
∈
B
{\displaystyle {\hat {X}}\in {\mathcal {B}}}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범주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를 생각할 수 있다.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의 대상은
Π
(
X
)
=
X
^
{\displaystyle \Pi (X)={\hat {X}}}
인 대상
X
∈
E
{\displaystyle X\in {\mathcal {E}}}
이다.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의 사상은
Π
(
f
)
=
id
X
^
{\displaystyle \Pi (f)=\operatorname {id} _{\hat {X}}}
인 사상
f
∈
Mor
(
E
)
{\displaystyle f\in \operatorname {Mor} ({\mathcal {E}})}
이다.
만약
Π
{\displaystyle \Pi }
가 충실한 함자 라면,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는 얇은 범주 이며, 이는
X
^
{\displaystyle {\hat {X}}}
위에 존재할 수 있는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들의 범주로 생각할 수 있다.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는 얇은 범주 이므로,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 가 존재한다.
X
≲
X
′
⟺
∃
f
∈
hom
Π
−
1
(
id
X
^
)
(
X
,
X
′
)
{\displaystyle X\lesssim X'\iff \exists f\in \hom _{\Pi ^{-1}(\operatorname {id} _{\hat {X}})}(X,X')}
이 관계를 엉성함 이라고 한다.[ 1] :30, Definition 1.1.4 즉, 만약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속에서 사상
f
:
X
→
X
′
{\displaystyle f\colon X\to X'}
가 존재한다면,
X
′
{\displaystyle X'}
이
X
{\displaystyle X}
보다 더 엉성한 (영어 : coarser )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이며, 반대로
X
{\displaystyle X}
는
X
′
{\displaystyle X'}
보다 더 섬세한 (영어 : finer )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이다.
이 정의는 특히 위상 함자
Π
:
E
→
Set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E}}\to \operatorname {Set} }
에 대하여 적용된다.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에서 만약 최대 원소 (즉, 가장 엉성한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X
^
{\displaystyle {\hat {X}}}
위의 비이산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 (영어 : indiscrete
E
{\displaystyle {\mathcal {E}}}
-structure )라고 한다. 반대로,
Π
−
1
(
id
X
^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hat {X}})}
에서 만약 최소 원소 (즉, 가장 섬세한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X
^
{\displaystyle {\hat {X}}}
위의 이산
E
{\displaystyle {\mathcal {E}}}
-구조 (영어 : discrete
E
{\displaystyle {\mathcal {E}}}
-structure )라고 한다.
Π
{\displaystyle \Pi }
가 위상 함자 라고 한다면, 이산·비이산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 위상 함자 에서는 또한 시작 구조 와 끝 구조 가 항상 존재한다. 이들의 존재로 인하여,
Π
−
1
(
id
X
)
{\displaystyle \Pi ^{-1}(\operatorname {id} _{X})}
는 완비 원격자 를 이룬다.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 의 범주에서 집합 과 함수 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U
:
Top
→
Set
{\displaystyle U\colon \operatorname {Top} \to \operatorname {Set} }
는 위상 함자 이며 따라서 충실한 함자 이다. 따라서 이 경우 더 엉성한 위상 과 더 섬세한 위상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두 위상 (열린집합 의 족)
U
,
U
′
⊆
P
(
X
)
{\displaystyle {\mathcal {U}},{\mathcal {U}}'\subseteq {\mathcal {P}}(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2] :77–78
U
′
{\displaystyle {\mathcal {U}}'}
이
U
{\displaystyle {\mathcal {U}}}
보다 더 엉성하다. 즉, 항등 함수
(
X
,
U
)
→
(
X
,
U
′
)
{\displaystyle (X,{\mathcal {U}})\to (X,{\mathcal {U}}')}
이 연속 함수 이다.
U
⊇
U
′
{\displaystyle {\mathcal {U}}\supseteq {\mathcal {U}}'}
이다. 즉, 항등 함수
(
X
,
U
′
)
→
(
X
,
U
)
{\displaystyle (X,{\mathcal {U}}')\to (X,{\mathcal {U}})}
가 열린 함수 이다.
주어진 집합 위의 위상들은 완비 격자 를 이룬다.
흔히, 위상수학에서는 엉성한/섬세한 위상 대신 "약한/강한 위상"(영어 : weaker/stronger topology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반대로 해석학 에서는 "강한/약한 위상"(영어 : stronger/weaker topology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Top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Base} }
를 생각하자.
Top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Base} }
의 원소
(
X
,
B
)
{\displaystyle (X,{\mathcal {B}})}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와 그 위의 기저
B
{\displaystyle {\mathcal {B}}}
의 순서쌍이다.
Top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Base} }
의 사상
f
:
(
X
,
B
X
)
→
(
Y
,
B
Y
)
{\displaystyle f\colon (X,{\mathcal {B}}_{X})\to (Y,{\mathcal {B}}_{Y})}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ϵ
∈
B
Y
∀
x
∈
f
−
1
(
ϵ
)
∃
δ
∈
B
Y
:
(
x
∈
δ
⊆
f
−
1
(
ϵ
)
)
{\displaystyle \forall \epsilon \in {\mathcal {B}}_{Y}\forall x\in f^{-1}(\epsilon )\exists \delta \in {\mathcal {B}}_{Y}\colon \left(x\in \delta \subseteq f^{-1}(\epsilon )\right)}
그렇다면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
은
Top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Base} }
의 충만한 부분 범주 를 이룬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기저 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두 기저
B
,
B
′
⊆
P
(
X
)
{\displaystyle {\mathcal {B}},{\mathcal {B}}'\subseteq {\mathcal {P}}(X)}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B
′
{\displaystyle {\mathcal {B}}'}
이
B
{\displaystyle {\mathcal {B}}}
보다 더 엉성하다.
임의의
ϵ
∈
B
′
{\displaystyle \epsilon \in {\mathcal {B}}'}
및
x
∈
ϵ
{\displaystyle x\in \epsilon }
에 대하여,
x
∈
δ
⊆
ϵ
{\displaystyle x\in \delta \subseteq \epsilon }
인
δ
∈
B
{\displaystyle \delta \in {\mathcal {B}}}
가 존재한다.
B
′
{\displaystyle {\mathcal {B}}'}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
⋃
S
:
S
⊆
B
′
}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mathcal {S}}\colon {\mathcal {S}}\subseteq {\mathcal {B}}'\}}
은
B
{\displaystyle {\mathcal {B}}}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
⋃
S
:
S
⊆
B
}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mathcal {S}}\colon {\mathcal {S}}\subseteq {\mathcal {B}}\}}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기저 들은 완비 원격자 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TopSub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Subbase} }
를 생각하자.
TopSub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Subbase} }
의 원소
(
X
,
B
)
{\displaystyle (X,{\mathcal {B}})}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와 그 위의 임의의 집합족
B
⊆
P
(
X
)
{\displaystyle {\mathcal {B}}\subseteq {\mathcal {P}}(X)}
의 순서쌍이다. (이는
X
{\displaystyle X}
의 위상을 생성하는 부분 기저로 생각한다.)
TopSub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Subbase} }
의 사상
f
:
(
X
,
B
X
)
→
(
Y
,
B
Y
)
{\displaystyle f\colon (X,{\mathcal {B}}_{X})\to (Y,{\mathcal {B}}_{Y})}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ϵ
∈
B
Y
∀
x
∈
f
−
1
(
ϵ
)
∃
n
∈
N
,
δ
1
,
…
,
δ
n
∈
B
Y
:
(
x
∈
δ
1
∩
δ
2
∩
⋯
∩
δ
n
⊆
f
−
1
(
ϵ
)
)
{\displaystyle \forall \epsilon \in {\mathcal {B}}_{Y}\forall x\in f^{-1}(\epsilon )\exists n\in \mathbb {N} ,\;\delta _{1},\dots ,\delta _{n}\in {\mathcal {B}}_{Y}\colon \left(x\in \delta _{1}\cap \delta _{2}\cap \cdots \cap \delta _{n}\subseteq f^{-1}(\epsilon )\right)}
그렇다면
Top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Base} }
는
TopSub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Subbase} }
의 충만한 부분 범주 를 이룬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부분 기저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두 부분 기저
B
,
B
′
⊆
P
(
X
)
{\displaystyle {\mathcal {B}},{\mathcal {B}}'\subseteq {\mathcal {P}}(X)}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B
′
{\displaystyle {\mathcal {B}}'}
이
B
{\displaystyle {\mathcal {B}}}
보다 더 엉성하다.
임의의
ϵ
∈
B
′
{\displaystyle \epsilon \in {\mathcal {B}}'}
및
x
∈
ϵ
{\displaystyle x\in \epsilon }
에 대하여,
x
∈
δ
1
∩
δ
2
∩
⋯
∩
δ
n
⊆
ϵ
{\displaystyle x\in \delta _{1}\cap \delta _{2}\cap \cdots \cap \delta _{n}\subseteq \epsilon }
인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δ
1
,
…
,
δ
n
∈
B
{\displaystyle \delta _{1},\dots ,\delta _{n}\in {\mathcal {B}}}
가 존재한다.
B
′
{\displaystyle {\mathcal {B}}'}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
⋃
S
:
S
⊆
{
⋂
T
:
T
⊆
B
′
,
|
T
|
<
ℵ
0
}
}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mathcal {S}}\colon {\mathcal {S}}\subseteq \{\bigcap T\colon T\subseteq {\mathcal {B}}',\;|T|<\aleph _{0}\}\}}
은
B
{\displaystyle {\mathcal {B}}}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
⋃
S
:
S
⊆
{
⋂
T
:
T
⊆
B
,
|
T
|
<
ℵ
0
}
}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mathcal {S}}\colon {\mathcal {S}}\subseteq \{\bigcap T\colon T\subseteq {\mathcal {B}},\;|T|<\aleph _{0}\}\}}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부분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 를 이룬다.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Cover
{\displaystyle \operatorname {Cover} }
를 생각하자.
Cover
{\displaystyle \operatorname {Cover} }
의 대상
(
X
,
C
)
{\displaystyle (X,{\mathcal {C}})}
은 집합
X
{\displaystyle X}
와 그 위의 덮개
C
⊆
P
(
X
)
{\displaystyle {\mathcal {C}}\subseteq {\mathcal {P}}(X)}
의 순서쌍 이다.
Cover
{\displaystyle \operatorname {Cover} }
의 사상
f
:
(
X
,
C
X
)
→
(
Y
,
C
Y
)
{\displaystyle f\colon (X,{\mathcal {C}}_{X})\to (Y,{\mathcal {C}}_{Y})}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C
X
∈
C
X
∃
C
Y
∈
C
Y
:
f
(
C
X
)
⊆
C
Y
{\displaystyle \forall C_{X}\in {\mathcal {C}}_{X}\exists C_{Y}\in {\mathcal {C}}_{Y}\colon f(C_{X})\subseteq {\mathcal {C}}_{Y}}
이렇게 정의하였을 때, 같은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두 덮개
C
,
C
′
⊆
P
(
X
)
{\displaystyle {\mathcal {C}},{\mathcal {C}}'\subseteq {\mathcal {P}}(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C
′
{\displaystyle {\mathcal {C}}'}
이
C
{\displaystyle {\mathcal {C}}}
보다 더 엉성하다.
C
′
{\displaystyle {\mathcal {C}}'}
은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세분 이다.
유계형 집합 의 범주
Born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BornSet} }
은
Cover
{\displaystyle \operatorname {Cover} }
의 충만한 부분 범주 를 이루며, 따라서 위와 같은 정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범주
Filter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FilterBase} }
를 생각하자.
Filter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FilterBase} }
의 대상
(
X
,
F
)
{\displaystyle (X,{\mathcal {F}})}
는 집합
X
{\displaystyle X}
와
P
(
X
)
{\displaystyle {\mathcal {P}}(X)}
위의 필터 기저
F
⊆
P
(
X
)
{\displaystyle {\mathcal {F}}\subseteq {\mathcal {P}}(X)}
이다.
FilterBase
{\displaystyle \operatorname {FilterBase} }
의 사상
f
:
(
X
,
F
X
)
→
(
Y
,
F
Y
)
{\displaystyle f\colon (X,{\mathcal {F}}_{X})\to (Y,{\mathcal {F}}_{Y})}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F
Y
∈
F
Y
:
∃
F
X
∈
F
X
:
f
−
1
(
F
Y
)
⊇
F
X
{\displaystyle \forall F_{Y}\in {\mathcal {F}}_{Y}\colon \exists F_{X}\in {\mathcal {F}}_{X}\colon f^{-1}(F_{Y})\supseteq F_{X}}
그렇다면,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두 필터 기저
F
,
F
′
⊆
P
(
X
)
{\displaystyle {\mathcal {F}},{\mathcal {F}}'\subseteq {\mathcal {P}}(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F
′
{\displaystyle {\mathcal {F}}'}
이
F
{\displaystyle {\mathcal {F}}}
보다 더 엉성하다.
↑
F
′
⊆↑
F
{\displaystyle \uparrow {\mathcal {F}}'\subseteq \uparrow {\mathcal {F}}}
이다. 여기서
↑
{\displaystyle \uparrow }
는 필터 기저 로 생성되는 필터 (즉, 상폐포 )를 뜻한다.
가측 공간 과 가측 함수 의 범주에서 집합 과 함수 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U
:
Measble
→
Set
{\displaystyle U\colon \operatorname {Measble} \to \operatorname {Set} }
는 위상 함자 이며, 따라서 이 경우 더 섬세한/엉성한 가측 공간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