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위상수학범주론에서, 위상 함자를 통해 주어진 집합 위에 여러 위상수학적 구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들은 완비 격자를 이룬다. 이 경우 한 구조가 다른 구조에 대하여 더 섬세한 구조(纖細-構造, 영어: finer structure) 또는 더 엉성한 구조(-構造, 영어: coarser structure)라고 한다.

정의

편집

범주  ,   사이의 함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범주  를 생각할 수 있다.

  •  의 대상은  인 대상  이다.
  •  의 사상은  인 사상  이다.

만약  충실한 함자라면,  얇은 범주이며, 이는   위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들의 범주로 생각할 수 있다.

 얇은 범주이므로,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가 존재한다.

 

이 관계를 엉성함이라고 한다.[1]:30, Definition 1.1.4 즉, 만약   속에서 사상  가 존재한다면,   보다 더 엉성한(영어: coarser)  -구조이며, 반대로   보다 더 섬세한(영어: finer)  -구조이다.

이 정의는 특히 위상 함자  에 대하여 적용된다.

 에서 만약 최대 원소(즉, 가장 엉성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비이산  -구조(영어: indiscrete  -structure)라고 한다. 반대로,  에서 만약 최소 원소(즉, 가장 섬세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이산  -구조(영어: discrete  -structure)라고 한다.

성질

편집

 위상 함자라고 한다면, 이산·비이산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 위상 함자에서는 또한 시작 구조끝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 이들의 존재로 인하여,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위상 공간

편집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에서 집합함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위상 함자이며 따라서 충실한 함자이다. 따라서 이 경우 더 엉성한 위상과 더 섬세한 위상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위상 (열린집합의 족)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2]:77–78

  •   보다 더 엉성하다. 즉, 항등 함수  연속 함수이다.
  •  이다. 즉, 항등 함수  열린 함수이다.

주어진 집합 위의 위상들은 완비 격자를 이룬다.

흔히, 위상수학에서는 엉성한/섬세한 위상 대신 "약한/강한 위상"(영어: weaker/stronger topolog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반대로 해석학에서는 "강한/약한 위상"(영어: stronger/weaker topolog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기저

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원소  집합  와 그 위의 기저  의 순서쌍이다.
  •  의 사상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그렇다면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룬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기저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기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부분 기저

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원소  집합  와 그 위의 임의의 집합족  의 순서쌍이다. (이는  의 위상을 생성하는 부분 기저로 생각한다.)
  •  의 사상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그렇다면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룬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부분 기저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부분 기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인 자연수   가 존재한다.
  •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부분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덮개와 유계형 집합

편집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대상  은 집합  와 그 위의 덮개  순서쌍이다.
  •  의 사상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이렇게 정의하였을 때, 같은 집합   위의 두 덮개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세분이다.

유계형 집합의 범주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루며, 따라서 위와 같은 정의를 사용할 수 있다.

필터

편집

다음과 같은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대상  집합    위의 필터 기저  이다.
  •  의 사상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그렇다면, 집합   위의 두 필터 기저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이다. 여기서  필터 기저로 생성되는 필터(즉, 상폐포)를 뜻한다.

가측 공간

편집

가측 공간가측 함수의 범주에서 집합함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위상 함자이며, 따라서 이 경우 더 섬세한/엉성한 가측 공간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각주

편집
  1. Preuss, Gerhard (2002). 《Foundations of topology: an approach to convenient topology》 (영어).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i:10.1007/978-94-010-0489-3. ISBN 978-94-010-3940-6. 
  2. Munkres, James R. (2000). 《Topology》 (영어) 2판. Prentice Hall. ISBN 978-0-13-181629-9. MR 0464128. Zbl 0951.5400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