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태국어
외래어의 한글 표기 |
---|
기본 수칙 |
외래어 표기법 |
|
비공식 표기법 (지침) |
비공식 표기법 (제안) |
관련 링크 |
|
다음은 국립국어원이 정한 태국어(타이어) 표기법이다. 이것은 문화관광부 고시 2004-11로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 고시》에 근거하여,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 3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이 고시된 것이다.[1]
태국어(타이어)의 표기
편집로마자 | 태국어(타이어) 자모 | 한글 | 보기 | ||
---|---|---|---|---|---|
모음 앞 | 자음 앞 · 어말 | ||||
자음 | b | บ | ㅂ | ㅂ | baht 밧, Chonburi 촌부리, Kulab 꿀랍 |
c | จ | ㅉ | – | Caolaw 짜올라우 | |
ch | ฉ | ㅊ | ㅅ | Chiang Mai 치앙마이, buach 부앗 | |
ช | |||||
ฌ | |||||
d | ฎ | ㄷ | ㅅ | Dindaeng 딘댕, Rad Burana 랏부라나, Samed 사멧 | |
ด | |||||
f | ฝ | ㅍ | – | Maefaluang 매팔루앙 | |
ฟ | |||||
h | ห | ㅎ | – | He 헤, Lahu 라후, Mae Hong Son 매홍손 | |
ฮ | |||||
k | ก | ㄲ | ㄱ | Kaew 깨우, malako 말라꼬, Rak Mueang 락므앙, phrik 프릭 | |
kh | ข | ㅋ | ㄱ | Khaosan 카오산, lakhon 라콘, Caroenrachphakh 짜른랏팍 | |
ฃ | |||||
ค | |||||
ฅ | |||||
ฆ | |||||
l | ล | ㄹ, ㄹㄹ | ㄴ | lamyai 람야이, Thalang 탈랑, Sichol 시촌 | |
ฬ | |||||
m | ม | ㅁ | ㅁ | Maikhao 마이카오, mamuang 마무앙, khanom 카놈, Silom 실롬 | |
n | ณ | ㄴ | ㄴ | Nan 난, Ranong 라농, Arun 아룬, Huahin 후아힌 | |
น | |||||
ng | ง | 응 | ㅇ | nga 응아, Mongkut 몽꿋, Chang 창 | |
p | ป | ㅃ | ㅂ | Pimai 삐마이, Paknam 빡남, Nakhaprathip 나카쁘라팁 | |
ph | ผ | ㅍ | ㅂ | Phuket 푸껫, Phicit 피찟, Saithiph 사이팁 | |
พ | |||||
ภ | |||||
r | ร | ㄹ | ㄴ | ranat 라낫, thurian 투리안 | |
s | ซ | ㅅ | ㅅ | Siam 시암, Lisu 리수, Saket 사껫 | |
ศ | |||||
ษ | |||||
ส | |||||
t | ฏ | ㄸ | ㅅ | Tak 딱, Satun 사뚠, natsin 낫신, Phuket 푸껫 | |
ต | |||||
th | ฐ | ㅌ | ㅅ | Tham Boya 탐보야, Thon Buri 톤부리, thurian 투리안, song thaew 송태우, Pathumthani 빠툼타니, Chaiyawath 차이야왓 | |
ฑ | |||||
ฒ | |||||
ถ | |||||
ท | |||||
ธ | |||||
반모음 | y | ญ | 이 | lamyai 람야이, Ayutthaya 아유타야 | |
ย | |||||
w | ว | 오, 우 | Wan Songkran 완송끄란, Malaiwong 말라이웡, song thaew 송태우 | ||
모음 | a | -ะ | 아 | Akha 아카, kapi 까삐, lang sad 랑삿, Phanga 팡아 | |
-า | |||||
e | เ-ะ | 에 | Erawan 에라완, Akhane 아카네, Panare 빠나레 | ||
เ- | |||||
i | -ิ | 이 | Sire 시레, linci 린찌, Krabi 끄라비, Lumphini 룸피니 | ||
-ี | |||||
o | โ-ะ | 오 | khon 콘, Loi 로이, namdokmai 남독마이, Huaito 후아이또 | ||
โ- | |||||
เ-าะ | |||||
-อ | |||||
u | -ุ | 우 | thurian 투리안, Chonburi 촌부리, Satun 사뚠 | ||
-ู | |||||
ae | แ-ะ | 애 | kaeng daeng 깽댕, Maew 매우, Bangsaen 방샌, Kaibae 까이배 | ||
แ- | |||||
oe | เ-อะ | 으 | Mai Mueangdoem 마이 므앙듬, Amphoe 암프 | ||
เ-อ | |||||
ue | -ึ | 으 | kaeng cued 깽쯧, Maeraphueng 매라픙, Buengkum 븡꿈 | ||
-ื |
표기 세칙
편집위 표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제1항: 유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Nakhaprathip 나카쁘라팁 | Krung Thep 끄룽텝 | Phraya 프라야 | Songkhram 송크람 |
- 제2항: 모음 사이에서 l은 ‘ㄹㄹ’로, ll은 ‘ㄴㄹ’로 적는다.
thale 탈레 | malako 말라꼬 | Sillapaacha 신라빠차 | Kallasin 깐라신 |
- 제3항: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pph-, -tth- 등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에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Suwit Khunkitti 수윗 쿤끼띠 | Pattani 빠따니 | Ayutthaya 아유타야 |
Thappharangsi 타파랑시 | Thammamongkhon 탐마몽콘 | Lanna Thai 란나타이 |
- 제4항: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c 대신 쓰이는 j는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Janthaphimpha 짠타핌파 | Jit Phumisak 찟 푸미삭 |
- 제5항: sr와 thr는 모음 앞에서 s와 마찬가지로 ‘ㅅ’으로 적는다.
Intharasuksri 인타라숙시 | Sri Chang 시창 | Bangthrai 방사이 |
- 제6항: 반모음 y는 모음 사이, 또는 어두에 있을 때에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자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자음과는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는 합쳐 적는다.
khaoniyao 카오니야오 | yai 야이 | Adunyadet 아둔야뎃 | lamyai 람야이 |
- 제7항: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 kh가 있으면 ‘꽈’, ‘콰’, ‘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Suebwongli 습웡리 | Sukhumwit 수쿰윗 | Huaikhwang 후아이쾅 | Maenamkhwe 매남퀘 |
- 제8항: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사용되는 or은 ‘오’로 적고, oo는 ‘우’로, ee는 ‘이’로 적는다.
Korn 꼰 | Somboon 솜분 | Meechai 미차이 |
각주
편집- ↑ 국립국어원 (2004년 12월 29일).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 고시”. 2019년 9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