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 이사회

유엔 인권 이사회(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UNHRC)는 유엔 총회 보조 기관의 하나이다. 유엔 가입국의 인권상황을 정기적,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국제 사회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철저하고, 조직적인 인권 침해를 해결하고자 만든 상설위원회이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며 , 47 개국( 아프리카13, 아시아-태평양 13, 중남미 8, 동구 6, 서구 및 기타 7) 이 참가하였다. 회의를 할때는 3,6,9월 3~4주에 한다.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의 기능위원회 중의 하나였던 유엔 인권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 UNCHR)를 개편하고 발전시켜 2006년 6월에 새롭게 설립되었다.

유엔 인권이사회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조직형태 기구
수장 의장 Joaquín Alexander Maza Martelli
지위 활동중
설립 2006년 6월 19일
본부위치 스위스 제네바
UN 인권이사회

역사

편집

2006년 3월 15일 총회에서 찬성 170, 반대 4 (미국, 마셜 제도, 팔라우, 이스라엘), 기권 3(벨라루스, 이란, 베네수엘라)의 압도적 지지로 《인권 이사회》 설립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미국은 결의안에 규정된 것보다 강력한 조직으로 만들 것을 주장했지만, 관철하지 못했고 결의안 통과 후, 다른 회원국과 협력하여 이사회 증진에 포함될 것을 희망했다.

2006년 5월 9일 총회에서 총 191개 회원국의 무기명 투표에서 인권 이사회의 47개 이사국이 선출되었다. 《인권위원회》는 2006년 6월 16일까지 그 활동을 정리하고, 《인권이사회》로 그 기능이 넘어갔다. 2006년 6월 19일,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유엔 유럽 본부에서 첫 회의가 열렸다.

2022년 4월 8일 총회에서 7일(현지시간) 긴급 특별총회를 열어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부차 학살을 일으킨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을 찬성 93표, 반대 24표, 기권 58표로 가결하여 러시아의 인권 이사회 자격이 박탈되었다.[1]

2024년 10월 9일 이사국 선거에서 대한민국을 2025년~2027년 임기의 이사국으로 선출했다.[2]

조직 체계

편집

이전에 설치되었던 인권위원회는 매년 1회 6주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임시 기관이었다. 이것에 대해서 인권 이사회는 연 3회(10주간 이상)의 정례 모임 외, 이사국 3분의 1의 요청에 의한 긴급 모임(특별 회기)도 열리는 상설 이사회이다. 또한 인권위원회가 《경제사회 이사회》의 하부에 위치하는 독립 기능 위원회였지만, 인권 이사회는 총회의 직접적인 하부 기구(보조 기구)로 승격했다.

《인권 위원회》는 53개국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인권 이사회》는 47개 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권 이사회의 이사국은 지역마다 배분되어 아프리카에 13개국, 아시아에 13개국, 동유럽에 6개국, 남미·카리브해에 8개국, 서유럽과 그 외의 그룹에 7개국으로 배정되어 있다. 이사국은 총회의 비밀 투표로 전 가맹국의 절대 과반수(96표 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하고, 의석수에 따라 상위의 득표를 얻은 나라가 선출된다. 임기는 3년으로 3선 연임은 불가능하다.

《인권 위원회》는 위원이 되는 나라의 자격을 특별히 정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다르푸르 분쟁 와중에 열악한 인권 상황에 처해 있는 수단이 의장국이 되는 등 문제가 많았다. 《인권 이사회》에서는 우선 그 점을 수정하여 이사가 되는 나라는 〈최고 수준〉(the highest standards)의 인권 상황이 요구되도록 했다. 이사국에 심각하고, 조직적인 인권 침해가 있었을 경우, 총회에서 투표국의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이루어지면 이사국 자격이 박탈된다.

이사국

편집
임기 아프리카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동유럽 지역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서유럽·기타 지역
2006년 ~ 2007년   알제리
  모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튀니지
  바레인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폴란드
  체코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핀란드
  네덜란드
2006년 ~ 2008년   가봉
  가나
  말리
  잠비아
  일본
  파키스탄
  스리랑카
  대한민국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브라질
  과테말라
  페루
  프랑스
  영국
2006년 ~ 2009년   지부티
  카메룬
  모리셔스
  나이지리아
  세네갈
  방글라데시
  중국
  요르단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아제르바이잔
  러시아
  쿠바
  멕시코
  우루과이
  독일
  캐나다
  스위스
2008년 ~ 2010년   이집트
  앙골라
  마다가스카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인도네시아
  카타르
  필리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볼리비아
  니카라과
  네덜란드
  이탈리아
2009년 ~ 2011년   부르키나파소
  가봉
  가나
  잠비아
  바레인
  일본
  파키스탄
  대한민국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프랑스
  영국
2010년 ~ 2012년   지부티
  카메룬
  모리셔스
  나이지리아
  세네갈
  방글라데시
  중국
  요르단
  키르기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헝가리
  쿠바
  멕시코
  우루과이
  벨기에
  노르웨이
  미국
2011년 ~ 2013년   앙골라
  리비아
  모리타니
  우간다
  카타르
  말레이시아
  몰디브
  태국
  몰도바
  폴란드
  에콰도르
  과테말라
  스위스
  스페인
2012년 ~ 2014년   베냉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콩고 공화국
  인도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필리핀
  루마니아
  체코
  칠레
  코스타리카
  페루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2013년 ~ 2015년   에티오피아
  코트디부아르
  가봉
  케냐
  시에라리온
  일본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대한민국
  아랍에미리트
  에스토니아
  몬테네그로
  아르헨티나
  브라질
  베네수엘라
  독일
  아일랜드
  미국
2014년 ~ 2016년   알제리
  모로코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국
  몰디브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마케도니아 공화국
  러시아
  쿠바
  멕시코
  프랑스
  영국
2015년 ~ 2017년   보츠와나
  콩고 공화국
  가나
  나이지리아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카타르
  알바니아
  라트비아
  볼리비아
  엘살바도르
  파라과이
  네덜란드
  포르투갈
2016년 ~ 2018년   부룬디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케냐
  토고
  대한민국
  키르기스스탄
  몽골
  필리핀
  아랍에미리트
  조지아
  슬로베니아
  에콰도르
  파나마
  베네수엘라
  벨기에
  독일
  스위스
2017년 ~ 2019년   이집트
  르완다
  튀니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국
  이라크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브라질
  쿠바
  영국
  미국 (2017년 1월 ~ 2018년 6월)
  아이슬란드 (2018년 7월 ~ 2019년 12월)
2018년 ~ 2020년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나이지리아
  세네갈
  아프가니스탄
  네팔
  카타르
  파키스탄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칠레
  멕시코
  페루
  오스트레일리아
  스페인
2019년 ~ 2021년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토고
  바레인
  방글라데시
  피지
  인도
  필리핀
  불가리아
  체코
  아르헨티나
  바하마
  우루과이
  오스트리아
  덴마크
  이탈리아
2020년 ~ 2022년   리비아
  모리타니
  수단
  나미비아
  인도네시아
  일본
  마셜 제도
  대한민국
  아르메니아
  폴란드
  브라질
  베네수엘라
  독일
  네덜란드
2021년 ~ 2023년   코트디부아르
  가봉
  말라위
  세네갈
  중국
  네팔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2022년 4월 7일에 축출됨)
  우크라이나
  체코
  볼리비아
  쿠바
  멕시코
  프랑스
  영국
2022년 ~ 2024년   베냉
  카메룬
  에리트레아
  감비아
  소말리아
  인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아르헨티나
  온두라스
  파라과이
  핀란드
  룩셈부르크
  미국
2023년 ~ 2025년   알제리
  모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방글라데시
  키르기스스탄
  몰디브
  베트남
  조지아
  루마니아
  칠레
  코스타리카
  벨기에
  독일
2024년 ~ 2026년   부룬디
  코트디부아르
  가나
  말라위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쿠웨이트
  알바니아
  불가리아
  브라질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프랑스
  네덜란드
2025년 ~ 2027년   베냉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감비아
  케냐
  마셜 제도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체코
  북마케도니아
  볼리비아
  콜롬비아
  멕시코
  키프로스
  아이슬란드
  스페인
  스위스

역대 의장

편집
대수 이름 국적 임기
1 루이스 알폰소 데 알바 (Luis Alfonso de Alba)   멕시코 2006년 6월 19일 ~ 2007년 6월 18일
2 도루 로물루스 코스테아 (Doru Romulus Costea)   루마니아 2007년 6월 19일 - 2008년 6월 18일
3 마틴 이호에기안 우호모이비 (Martin Ihoeghian Uhomoibhi)   나이지리아 2008년 6월 19일 ~ 2009년 6월 18일
4 알렉스 판 메이우언 (Alex Van Meeuwen)   벨기에 2009년 6월 19일 ~ 2010년 6월 18일
5 시하삭 푸앙껫께오 (Sihasak Phuangketkeow)   태국 2010년 6월 19일 ~ 2011년 6월 18일
6 라우라 두푸이 라세레 (Laura Dupuy Lasserre)   우루과이 2011년 6월 19일 – 2012년 12월 31일
7 레미기우시 헨첼 (Remigiusz Henczel)   폴란드 2013년 1월 1일 ~ 2013년 12월 31일
8 보들레르 은동 엘라 (Baudelaire Ndong Ella)   가봉 2014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9 요아힘 뤼커 (Joachim Rücker)   독일 2015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10 최경림 (Choi Kyong-lim)   대한민국 2016년 1월 1일 ~ 2016년 12월 31일
11 호아킨 알렉산데르 마사 마르텔리 (Joaquín Alexander Maza Martelli)   엘살바도르 2017년 1월 1일 ~ 2017년 12월 31일
12 보이슬라브 슈츠 (Vojislav Šuc)   슬로베니아 2018년 1월 1일 ~ 2018년 12월 31일
13 콜리 세크 (Coly Seck)   세네갈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14 엘리자베트 티히피슬베르거 (Elisabeth Tichy-Fisslberger)   오스트리아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15 나자하트 샤민 칸 (Nazahat Shameen Khan)   피지 2021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16 페데리코 비예가스 (Federico Villegas)   아르헨티나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17 바츨라프 발레크 (Václav Bálek)   체코 2023년 1월 1일 ~ 현재

활동 내역

편집

2006년 6월 19일, 유엔 인권 이사회의 첫 회의가 제네바에 있는 유엔 유럽 본부에서 개막했다. 코피 아난 사무총장은 연설에서 "인권 분야에서의 유엔의 활동에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선언했다. 또한 사무총장은 "설립 5년의 검토 기간 동안 주요 기관으로 격상되는 만큼 성과를 보여 달라"고 연설했다.

유엔 인권 이사회는 2008년 5월 14일, 《일본의 인권 상황에 관한 보고서》에서, 《위안부(일본군 성노예) 문제》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을 일본 정부에 요구했다. 2009년 3월에는 기후 변화와 인권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2010년 5월 17일 대한민국의 인권을 조사하기 위해 5월 6일 내한한 《의사 표현의 자유 특별 보고관》 프랑크 라 뤼는 “대한민국은 1987년 이래 빛나는 인권 신장을 이룩했는데 지난 2년 사이에 인권, 특히 의사 표현의 자유가 위축됐다”고 발표했다. 그는 8개 분야에 걸친 ‘표현의 자유 후퇴’ 상황을 유엔 인권 이사회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시 《국가정보원》에서 그를 감시한 정황이 드러났다.[3]

유엔 인권 이사회는 2011년 6월 17일에 열린 회의에서 성적 지향성정체성에 관한 선언을 채택하는 한편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에 전 세계의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에 관한 인권 유린 상황을 조사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2011년 12월 2일에 열린 특별 회의에서는 시리아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의 반정부 시위 탄압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는 한편 시리아의 인권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특별 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2013년 3월 21일에 열린 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을 조사하는 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엔 인권 이사회는 2014년 7월 23일이스라엘가자 지구 침공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미국은 해당 결의안의 채택에 반대를 표명했으며 이스라엘은 형평성이 결여된 결의안 채택을 강하게 비난했다. 유럽 연합 회원국들과 일본은 결의안 채택에 기권 의사를 표명했다. 2015년 6월에는 에리트레아 정부의 광범위한 인권 침해 상황에 관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2018년 6월 19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부 장관,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미국이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탈퇴한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유엔 인권 이사회가 위선적, 이기적인 조직이 되었고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관점을 갖고 있다고 비판했다. 2021년 2월 8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참여를 선언하였다.

2019년 7월에는 유엔 주재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 캐나다 대사가 유엔 인권 이사회에 중국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설치한 위구르족 재교육 시설을 규탄하는 내용의 공동 서한을 유엔 인권 이사회에 제출했다. 유엔 주재 러시아,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카타르, 필리핀,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대사는 이에 맞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내용의 공동 서한을 유엔 인권 이사회에 제출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러시아, 유엔 인권이사회 자격정지…표결서 93개국 찬성”. 《연합뉴스》. 2022년 4월 8일. 2022년 4월 10일에 확인함. 
  2. “[속보] 한국, 유엔인권이사회 이사국 선출…2025∼27년 임기”. 《매일경제》. 2024년 10월 10일. 202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3. 임지선 기자 (2010년 5월 28일). “2006.2007학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 한겨레21. 제812호 

참고 문헌

편집
  • 조시현, 유엔 인권 이사회의 특별 절차 활용의 의미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