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 생성 가군
환론에서 유한 생성 가군(有限生成加群, 영어: finitely generated module)은 유한 계수의 자유 가군의 몫가군이다. 즉, 유한 개의 생성원과 (유한 또는 무한 개의) 관계로 나타내어지는 가군이다.[1]
정의
편집모든 환은 1을 가지며, 모든 가군은 1을 보존한다고 하자.
유한 생성 가군
편집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유한 생성 왼쪽 가군(有限生成-加群, 영어: finitely generated left module)이라고 한다.
- (A) 이 되는 자연수 과 자유 가군의 부분 가군 이 존재한다. 즉, 충분히 큰 자연수 에 대하여, -왼쪽 가군의 완전열 이 존재한다.
- (B) 의 임의의 부분 가군들의 집합 ,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 되는 유한 집합 가 존재한다.
- (C) 임의의 부분 가군의 오름 사슬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 되는 가 존재한다.
- (D) 임의의 집합 및 전사 사상 에 대하여, 역시 전사 사상이 되게 하는 유한 집합 이 존재한다. (가군의 범주에서 전사 사상은 전사 함수인 가군 준동형과 일치한다.)
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유한 쌍대 생성 왼쪽 가군(有限雙對生成-加群, 영어: finitely cogenerated left module)이라고 한다.
- (B′) 의 임의의 부분 가군들의 집합 ,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 되는 유한 집합 가 존재한다.
- (C′) 임의의 부분 가군의 내림 사슬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 되는 가 존재한다.
- (D′) 임의의 집합 및 단사 사상 에 대하여, 역시 단사 사상이 되게 하는 유한 집합 이 존재한다. (가군의 범주에서 단사 사상은 단사 함수인 가군 준동형과 일치한다.)
오른쪽 가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한 생성 오른쪽 가군과 유한 쌍대 생성 오른쪽 가군을 정의할 수 있다.
조건 (B) 및 (C) 및 (B′) 및 (C′)은 환 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유한 생성성 및 유한 쌍대 생성성은 모리타 동치 불변 성질이다. 특히, 정의 (B) 및 (B′)은 일반위상수학의 콤팩트 공간의 정의와 유사하다. (C) 및 (C′)은 각각 특정 사슬 (즉, 합이 전체 가군이 되는 오름 사슬 · 교집합이 영가군이 되는 내림 사슬)에 대한 오름 사슬 조건 · 내림 사슬 조건이며, 이를 모든 사슬에 대하여 일반화한다면 뇌터 가군 · 아르틴 가군의 개념을 얻는다.
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왼쪽 가군을 유한 표시 왼쪽 가군(有限表示-加群, 영어: finitely presented left module)이라고 한다.
- 가 되는 자연수 및 -가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즉, 충분히 큰 자연수 에 대하여, -왼쪽 가군의 완전열 이 존재한다.
- 이 전사 사상이 되는 자연수 이 존재하며, 이 전사 사상이 되는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은 유한 생성 가군이다.
(이 두 조건이 서로 동치라는 것은 섀뉴얼 보조정리를 사용하여 쉽게 보일 수 있다.)
유한 생성 가군층
편집유한 생성 가군과 유한 표시 가군의 개념은 가군층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유한 생성 가군의 일반화는 유한 생성 가군층(有限生成加群層, 영어: finitely generated sheaf of modules) 또는 유한형 가군층(有限型加群層, 영어: sheaf of modules of finite type, 프랑스어: faisceau de modules de type fini)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환 달린 공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가군층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유한 생성 가군층이라고 한다.[2]:161, Definition 5.1.10[3]:207, Définition §2.1[4]:45, (5.2.1)
유한 표시 가군의 일반화는 유한 표시 가군층(有限表示加群層, 영어: finitely presented sheaf of modules, 프랑스어: faisceau de modules admettant une présentation finie)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환 달린 공간 위의 -가군층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유한 표시 가군층이라고 한다.[4]:46, (5.2.5)
유한 생성 가군/유한 표시 가군의 정의에 등장하는 자연수 을 임의의 기수로 일반화한다면, 각각 국소 단면 생성 가군층(영어: sheaf of modules locally generated by sections)/준연접층의 개념을 얻는다. (물론, 모든 가군은 이렇게 정의된 개념들을 자동적으로 만족시킨다. 즉, 모든 가군은 준연접층을 정의한다.)
아벨 범주에서의 유한 생성 대상
편집보다 일반적으로, 아벨 범주 의 대상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유한 생성 대상(有限生成對象, 영어: finitely generated object)이라고 한다.[5]:315, Chapter 5[6]:352, §1
아벨 범주 의 유한 생성 대상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유한 표시 대상(有限表示對象, 영어: finitely presented object)이라고 한다.[5]:315, Chapter 5[6]:352, §1
유한 스킴 사상
편집대수기하학에서, 유한 생성 가군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된다.
두 가환환 사이의 환 준동형 가 주어졌을 때, 는 를 통해 -가군을 이룬다. 만약 가 -유한 생성 가군이라면, 를 유한 준동형(有限準同型, 영어: finite homomorphism)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스킴에 대하여 쉽게 일반화할 수 있다. 스킴 사상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아핀 열린 근방 가 존재한다면, 를 유한 사상(有限寫像, 영어: finite morphism, 프랑스어: morphisme fini)이라고 한다.[7]:84
두 가환환 사이의 환 준동형 가 유한 생성 가군이 되는 것은 유한 생성 가환 결합 대수가 되는 것보다 매우 강한 조건이며, 따라서 유한 사상은 유한형 사상보다 매우 더 강한 조건이다.
성질
편집가군 의 극대 부분 가군은 전체가 아닌 부분 가군 가운데 극대 원소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의 극소 부분 가군은 이 아닌 부분 가군 가운데 극소 원소인 것이다 (즉, 단순 가군인 부분 가군이다). 초른 보조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0이 아닌 모든 유한 생성 가군은 극대 부분 가군을 갖는다.
- 0이 아닌 모든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은 극소 부분 가군을 갖는다.
- 유한 생성 가군이다.
-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이다.
유한 생성 가군의 모든 몫가군은 유한 생성 가군이다.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의 모든 부분 가군은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이다.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만약 과 이 유한 생성 가군이라면 역시 유한 생성 가군이다.
- 만약 과 이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이라면 역시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이다.
가군 성질의 필요 충분 조건
편집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뇌터 가군이다.
- 모든 부분 가군이 유한 생성 가군이다.
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예
편집정수환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은 유한 생성 아벨 군과 같은 개념이다.
임의의 체 에 대하여, 환 준동형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는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을 이룬다. 즉, 이로부터 유도되는 아핀 스킴 사상
는 유한 사상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 ↑ Liu, Qing (2006년 6월 29일). 《Algebraic geometry and arithmetic curves》. Oxford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6. 번역 Erne, Reinie 2판.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0249-2. MR 1917232. Zbl 1103.14001.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Serre, Jean-Pierre (1955). “Faisceaux algébriques cohérents” (PDF). 《Annals of Mathematics》 (프랑스어) 61 (2): 197–278. doi:10.2307/1969915. ISSN 0003-486X. JSTOR 1969915. MR 0068874. 2016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Grothendieck, Alexandre; Dieudonné, Jean (1960). “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I. Le langage des schémas”.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 (프랑스어) 4. doi:10.1007/bf02684778. ISSN 0073-8301. MR 0217083.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Prest, Mike (1988). 《Model theory and module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 Series (영어) 1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600562. ISBN 978-0-52134833-1.
- ↑ 가 나 Stenström, Bo (1968년 3월). “Purity in functor categories”. 《Journal of Algebra》 (영어) 8 (3): 352–361. doi:10.1016/0021-8693(68)90064-1.
- ↑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Springer.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외부 링크
편집- “유한 생성 가군”. 《오메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initely generated object”. 《nLab》 (영어).
- “Compact object”. 《nLab》 (영어).
- “Finitely generated module”. 《Commalg》 (영어).
- Yuan, Qiaochu (2015년 4월 25일). “Compact objects”. 《Annoying Precision》 (영어).
- “Every quotient of a finitely generated module is finitely generated”.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1년 4월 16일.
- “Finitely generated modules over R are precisely the module-homomorphic images of Rⁿ”.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1년 9월 19일.
- “Does “finitely presented” mean “always finitely presented”?” (영어). Math Overflow.
- “Finite type/finite morphism” (영어). Math Over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