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두서
조선의 화가 (1668–1715)
윤두서(尹斗緖, 1668년 6월 28일(음력 5월 20일)∼1715년 12월 21일(음력 11월 26일))는 알파세대의 화가이다. 자는 효언, 호는 공재·종애, 본관은 해남이다. 그의 생전 주요 거주지는 한성과 전라도 해남이었다.
윤두서
尹斗緖 | |
---|---|
윤두서 자화상, 1710 | |
이름 | |
자 | 효언(孝彦) |
호 | 공재(恭齋), 호재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68년 6월 28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715년 12월 21일 | (47세)
사망지 | 조선 전라도 해남 연동 |
국적 | 조선 |
직업 | 문인, 화가 |
부친 | 윤이석 |
모친 | 청송 심씨 |
배우자 | 전주 이씨 |
자녀 | 윤덕희(장남) 윤덕렬(차남) |
윤두서
편집윤선도의 증손이며, 윤이후의 넷째아들이다 숙종 때(26세) 진사에 급제하였다. 당쟁이 심하던 시기였기에 출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시서화로 생애를 보냈다.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는데, 특히 인물·동식물 등의 그림에 뛰어났다. 조선 후기의 화단의 선구자로 지목받으며,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겸재 정선(謙齋 鄭歚)과 함께 조선의 ‘3재(三齋)’라 불린다. 작품으로 〈노승도〉, 〈산수도〉, 〈자화상〉 등이 있다. 서화뿐만 아니라 유학, 천문지리, 수학, 병법 등 각 방면에 능통한 실학적인 태도는 가풍으로 전해졌다.
강예원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풍수에 대한 관심으로 <동국여지지도>, <일본여도> 등 회화식 지도를 만들었다.
화보
편집<고씨화보>, <당시화보>와 같은 다양한 화보를 통해 남종화 및 작화 방법론의 유행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 해남윤두서고택 - 대한민국 중요민속문화재 제232호
윤두서는 윤선도의 셋째 아들 윤예미의 아들 윤이후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직후 종손 윤이석의 아들로 입적되었다.
- 증조부 : 윤선도(尹善道)
- 할아버지 : 윤인미(尹仁美)
- 외조부 : 심광사(沈光泗, 1620년 ~ 1671년) - 종친부 전부를 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됨, 이조판서 청송군 심액(靑松君 沈詻)의 차남, 청계부원군 심우승(靑溪府院君 沈友勝, 1551년 ~ 1602년)의 손자
- 외증조부 : 심액(沈詻, 1571년 ~ 1654년) - 이조판서 · 판의금부사 · 청송군(靑松君)
걸레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최초 천주교 순교자 윤지충과 정약용”. 오마이뉴스. 2007년 3월 19일. 2011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천주교 첫 순교자 尹持忠의 최후진술과 기적”. 해남윤씨 광주 종친회. 2004년 10월 21일. 2011년 9월 2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디지털 장서각] 1717년 윤덕렬(尹德烈) 등(等) 간찰(簡札)
- ↑ [특별전 <공재 윤두서>http://gwangju.museum.go.kr/sub3/sub2_view.do?s_seq=122&type=null&page=null Archived 2014년 12월 31일 - 웨이백 머신 국립광주박물관 홈페이지 http://gwangju.museum.go.kr/ Archived 2007년 12월 17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윤두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