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문관, 실학자, 저술가, 생물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천전(天全), 호는 손암(巽庵), 일성(一星), 매심(每心)이다.[1] 정약현(丁若鉉)의 동생이며, 정약종, 정약용의 형이다.

정약전 (丁若銓)
출생1758년 4월 8일(1758-04-08)
조선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사망1816년 6월 30일(1816-06-30)(58세)
조선 전라도 신안 우이도
성별남성
국적조선
본관나주
직업문관, 실학자, 생물학자
종교유교천주교
부모정재원(丁載遠)(부)
윤소온(尹小溫)(모)
배우자풍산 김씨
자녀정학초(丁學樵)
가족정약현 (형)
정약종(동생)
정약용(동생)

흑산도 연해의 어류 생태계를 연구, 기록한 실학서 《자산어보》의 저자이다.

생애

편집

1758년(영조 34년) 양력 3월 1일, 경기도 광주부 마재(또는 마현(馬峴), 지금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진주목사를 지낸 정재원(丁載遠)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정재원의 두 번째 부인인 윤소온(尹小溫)으로 해남 윤씨 가문에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5대손이다.[2] 외조부는 윤덕렬이고 외증조부는 윤두서이다. 어머니가 아들 셋을 얻는 꿈을 꾸고 낳았기 때문에 아명(兒名)을 삼웅(三雄)이라 하였다. 정약현은 이복형, 정약종정약용은 동복동생이다.

1776년(영조 52년) 아버지 정재원이 호조좌랑에 오르면서 서울로 왔다. 성호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권철신 문하에서 수학하며, 이윤하, 이승훈, 김원성 등과 교유했고, 이들을 통해 서양의 학문과 사상을 접했다.

1779년(정조 3년) 스승 권철신이 여주 주어사(走魚寺)에서 연 강학회에서 이벽 등과 함께 천주교 교리를 토론하며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다.[3][4]

1783년(정조 7년) 사마시(소과)에 합격했다.

1784년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온 이승훈의 주도로 김범우의 집에 세운 조선 최초의 천주교회에서 동생 약종약용, 이벽 등과 함께 주일 미사강론 등 천주교 종교 활동을 했고, 가성직제도 하에서 사제직까지 수행하면서 초기 천주교 전파의 핵심적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 동생들은 세례를 받았지만, 정약전은 베이징에 가서 받을 생각으로 받지 않았다.[5] 이 활동은 1785년 4월, 형조(刑曹)에 적발되었지만, 김범우 이외의 교인은 처벌을 받지 않았다. (을사추조적발사건)

1790년(정조 14년) 증광별시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부정자(副正字)와 병조좌랑(정6품)을 지냈다. 1798년(정조 22년), 정조의 명으로 경기도 출신 인물들을 평한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편찬에 참여했다.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에 연루되어 전라도 신지도에 유배되었다가, 조카사위인 황사영백서 사건으로 흑산도로 이배되었다. 유배 생활을 하며 서당을 지어 섬 아이들을 가르쳤고, 흑산도 연해에 서식하는 어류를 직접 관찰하고 연구하여 쓴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서 《자산어보》, 조선 조정의 소나무 정책을 비판한 《송전사의》, 흑산도 홍어 상인 문순득의 표류기인 《표해시부》 등을 남겼다.[6]

1817년(순조 16년), 유배 16년 만에 내흑산 우이도(牛耳島)에서 6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가계

편집
  • 조부, 정지해(丁志諧)
  • 조모, 풍산 홍씨 홍길보(洪吉輔)의 딸
    •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 전모, 의령 남씨 남하덕(南夏德)의 딸
    • 생모, 해남 윤씨 윤덕렬(尹德烈)의 딸 윤소온(尹小溫)
      • 본인, 정약전
      • 아내, 풍산(豊山) 김씨(金氏), 김서구(金敍九)의 딸
      • 남동생, 정약종(丁若鍾)
      • 남동생, 정약용(丁若鏞)
      • 누이, 나주(羅州) 정씨(丁氏), 이승훈(李承薰)에 출가
      • 누이, 나주(羅州) 정씨(丁氏), 채제공의 서자 채홍근(蔡弘謹)에 출가
      • 누이, 나주(羅州) 정씨(丁氏), 이중식(李重植)에 출가
    • 서모, 김씨(金氏)
      • 이복 동생, 정약횡(丁若鐄)

저서

편집
  • 자산어보(玆山魚譜)》 : 조선 지역의 해양생물학 전문서
  • 《송정사의(松政私議)》 : 조선 조정의 소나무 관련 정책에 대한 비판문
  • 《표해시말(漂海始末)》 : 어물 장수 문순득의 표류기

정약전이 등장한 작품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정약용, 《여유당전서》 제1집, 〈시문집〉 권15, 둘째 형 정약전 묘지명[先仲氏墓誌銘]

각주

편집
  1. 정약용, 《여유당전서》 제1집, 〈시문집〉 권15, 둘째 형 정약전 묘지명[先仲氏墓誌銘]
  2. [네이버 지식백과] 중형님 정약전 묘지명 - 1-1 [先仲氏墓誌銘]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5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
  3. 이충우 (1997). “주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4. “1779년 겨울 언 샘물에 세수하고 서학을 공부하다”. 《가톨릭평화신문》 (1586호). 2020년 6월 14일.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5. “[신앙의 명가를 찾아서] 정하상 바오로 성인의 후손들”. 《가톨릭신문》 (2045호). 1997년 3월 23일. 2012년 4월 12일에 확인함. 
  6. “자산어보[玆山魚譜]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학 전문 서적”.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2021년 4월 12일에 확인함. 
  7. 정약용, 《여유당전서》 제1집, 〈시문집〉 권16, 형의 아들 정학초 묘지명[兄子學樵墓誌銘]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