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
인류유전학(Human Genetics)에서 인류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은 Y 염색체의 DNA(Y-DNA라고 한다)에 유전자 재조합(Genetic Recombination)이 되지 않는 부분의 차이에 의해 정의되는 하플로그룹이다. Y-DNA는 남자에서만 유전되므로 집단유전학에서 아프리카부터의 남성 유전자 이동에 추적하는 데에 사용된다. 하지만 인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mt-DNA)보다 보존 상태가 훨씬 짧기 때문에 DNA적 정확성이 떨어지며 오염되어 확실한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아프리카에서 각 대륙으로의 이동과 고인류의 유골 등으로 인종을 구분할 땐 모계로만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mt-DNA)을 대부분 사용한다. 옛부터 인류는 남성, 여성 모두 식량과 기후로 인해 계속적으로 이동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mt-DNA)의 조사에 의해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여러 각지로 퍼졌다는 것이 지지받게 되었다. Y-DNA 또한 보존 상태는 짧지만 미토콘드리아 DNA의 인류 아프리카 기원설을 뒷받침해주는 연구의 일종이다.[1]
Y염색체 컨소시엄(Y Chromosome Consortium)은 알파벳 A부터 T로 Y-DNA 하플로그룹을 정의하는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더불어 추가적인 세분화는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를 사용한다.
Y-염색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DNA 중 극히 한 부분이며 인종이나 혈통의 구분과 반드시 연관은 없다. Y 하플로그룹 연구는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기원했다는 증거로 연구가 시작했지만 이후 Y 하플로그룹으로 고대, 중세, 근데의 역사적 인류 이동을 추정하려는 창작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Y 하플로그룹은 이미 인류의 문명과 역사가 시작하기 이전부터 전 대륙에 퍼져 나가 있었다. Y 하플로그룹은 마치 인종을 백인, 황인, 흑인으로 나누듯 수많은 인종들을 매우 큰 그룹으로 포괄적으로 나누고 있어 Y 하플로그룹으로는 고대와 중세의 역사적 인류 이동이나 확산을 나타내거나 인종적 유전자의 동일성 등을 증명할 수 없다.[2] 미토콘드리아 DNA와 Y-염색체를 통한 역사인류학적 연구는 현생 인류의 아프리카 기원설을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근거가 된다. 한편 이들만으로는 전체 양상을 알 수 없으므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병행된다.
하플로그룹은 수만 년을 거슬러 올라가 모든 인류가 초기에는 아프리카 북부에서 시작되었다는 것과 관련되어 진다. Y 하플로그룹은 수 많은 DNA 유전자 중에 하나이며 Y 하플로그룹으로 인종과 혈통을 구분할 수는 없다. 왜냐면 Y 하플로그룹의 분화는 20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가 아프리카에서 대륙간에 이동하는 시기인 매우 일찍부터 일어났으며 인류의 문명이 시작되기 훨씬 전인 16~6만년 전부터 분화가 되었기 때문이다.[3]
또한 동아시아의 경우 C 하플로가 아프리카를 먼저 출발하여 아시아 대륙의 북쪽으로 북상하였고 O는 C 다음에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대륙으로 북상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인의 경우 전체 DNA는 몽골인과 일본인에 매우 가깝지만 Y 하플로그룹인 C는 적은 편이다. 한국인은 전체 DNA 유전자가 몽골인과 일본인에 매우 가깝고 중국인하고는 매우 다르다는 유전자 연구 결과로 밝혀졌다.[3]
황하문명의 중국계인 O2a와 다르게 OM-122(O2,구O3)의 원류로 보이는 퉁구스족은 중국으로 이동하였고 북위, 청나라 등 퉁구스계 국가에 의해 중국에는 OM-122가 O2a보다 숫자가 많아졌지만, 다른 퉁구스족인 니브히족과 오로첸족의 경우 아프리카에서 O 그룹보다 먼저 아시아 대륙으로 북상한 고아시아 인종인 C 하플로그룹이 많은 시베리아와 북부 몽골 지역에 고립되어 C와 융합되면서 C2의 빈도가 높아졌다. 중국에서는 미토콘드리아 하플로 또한 퉁구스계에서 주로 보이는 D의 인구가 가장 많다. Y 하플로는 신분에 차이와 관계가 없으며 인류가 살고있는 지역마다 어느 하플로그룹이 자연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을 더 많이 출산하는가에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근대에서 지배민족이 더 많았으나 현대의 농업인구의 인구폭발로 인해 노동력을 훨씬 중시하는 하층민의 Y하플로 그룹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경우도 많다. 원래 Y 하플로그룹의 게놈지도는 몇 만년 전부터 인류가 아프리카에서부터 출발하여 대륙간에 이동을 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실행된 연구된 DNA 중 하나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Y 하플로그룹을 인종과 혈통의 구분으로 잘못 알려진 경우가 있다.[3][4]
주요 YDNA 하플로그룹
편집주요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다음과 같다.[5]
Y-DNA 아담 |
| ||||||||||||||||||||||||||||||||||||||||||||||||||||||||||||||||||||||||||||||||||||||||||||||||||||||||||||||||||
분포
편집다음은 주요 Y-염색체 하플로그룹과 그 지리적인 지역 분포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Y 염색체 아담에 속하는 집단
편집하플로그룹 CT(M168)에 속하는 집단
편집- 하플로그룹 CT (M168)
하플로그룹 FT(M89)=GHIJK(M3658)에 속하는 집단
편집- 하플로그룹 F (M89)
하플로그룹 IJK(M523, M522)에 속하는 집단
편집- 하플로그룹 IJK (M523, M522)
하플로그룹 K(M9)에 속하는 집단
편집- 하플로그룹 K (M9)
하플로그룹 K(xLT)(M526)에 속하는 집단
편집- 하플로그룹 K(xLT) (M526)
하플로그룹 NO(M214)에 속하는 집단
편집- 하플로그룹 NO (M214)
- 하플로그룹 N (M231) 극북 유라시아, 특히 우랄 제족
- 하플로그룹 N1a1 (Tat) 야쿠트족, 네네츠족, 핀란드인, 에스토니아인
- 하플로그룹 O (M175)
- 하플로그룹 O1 (MSY2.2) 동아시아 남부와 동남아시아
- 하플로그룹 O2 (M268)
- 하플로그룹 O3 (M122)
- 하플로그룹 O3a1c (JST-002611)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 하플로그룹 O3a2 (P201)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묘족
- 하플로그룹 O3a2c1* (M134)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부탄인
- 하플로그룹 O3a2c1a (M117)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티베트인, 나갈랜드
- 하플로그룹 O3a2c2 (CTS1366) 폴리네시아
- 하플로그룹 N (M231) 극북 유라시아, 특히 우랄 제족
하플로그룹 P(M45)에 속하는 집단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人類史マップ サピエンス誕生・危機・拡散の全記録 テルモ・ピエバニ (著)
- ↑ 人類史マップ サピエンス誕生・危機・拡散の全記録 テルモ・ピエバニ (著)
- ↑ 가 나 다 “PhyloTree.org”.
- ↑ 人類史マップ サピエンス誕生・危機・拡散の全記録 テルモ・ピエバニ (著)
- ↑ Copyright 2015 ISOGG. “ISOGG 2015 Y-DNA Haplogroup Tree Trunk”. 《isogg.org》.
- ↑ Siiri Rootsi et al.,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I Reveals Distinct Domains of Prehistoric Gene Flow in Europe,"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Volume 75 Issue 1 (2004), pp. 128~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