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자기 조밀 공간 또는 완전 공간 (完全空間, 영어 : perfect space )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는 고립점 을 갖지 않는다. 즉, 모든 한원소 집합
{
x
}
⊆
X
{\displaystyle \{x\}\subseteq X}
은 열린집합 이 아니다.
모든 점이 스스로의 극한점 이다.[ 1] :31, §6.A 즉,
X
=
a
c
c
p
t
2
(
X
)
{\displaystyle X=\operatorname {acc\,pt} _{2}(X)}
이다. (여기서
a
c
c
p
t
2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cc\,pt} _{2}(X)}
는
X
{\displaystyle X}
의 극한점 들의 집합이다.)
이와 관련된 위상 공간의 종류로 다음이 있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부분 집합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을 완전 집합 (完全集合, 영어 : perfect set )이라고 한다.
Y
=
a
c
c
p
t
2
(
Y
)
{\displaystyle Y=\operatorname {acc\,pt} _{2}(Y)}
이다. (여기서
a
c
c
p
t
2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acc\,pt} _{2}(Y)}
는
Y
{\displaystyle Y}
의 극한점 들의 집합이다.)
Y
{\displaystyle Y}
는
X
{\displaystyle X}
의 닫힌집합 이며,
Y
{\displaystyle Y}
는 (독립적인 위상 공간으로 여겼을 때) 자기 조밀 공간이다.[ 1] :31, §6.A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부분 집합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가 다음 두 조건 가운데 하나 이상을 만족시킨다면, 완전 집합 성질 (完全集合性質, 영어 : perfect-set property )을 만족시킨다고 한다.[ 1] :150
가산 집합 이다.
C
⊆
Y
{\displaystyle C\subseteq Y}
인
X
{\displaystyle X}
-완전 집합
C
⊆
X
{\displaystyle C\subseteq X}
가 존재한다.
κ
{\displaystyle \kappa }
가 무한 정칙 기수 라고 하고, 크기
κ
{\displaystyle \kappa }
미만의 기저 를 갖는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칸토어-벤딕손 정리 (Cantor-Bendixson定理, 영어 : Cantor–Bendixson theorem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1] :32, Theorem 6.4
X
∖
a
c
c
p
t
κ
(
X
)
{\displaystyle X\setminus \operatorname {acc\,pt} _{\kappa }(X)}
는
X
{\displaystyle X}
의, 크기
κ
{\displaystyle \kappa }
미만의 열린집합 이다.
증명:
X
{\displaystyle X}
의 크기
κ
{\displaystyle \kappa }
미만의
기저 를
B
{\displaystyle {\mathcal {B}}}
라고 하자. 정의에 따라
X
∖
a
c
c
p
t
κ
(
X
)
=
⋃
{
U
∈
B
:
|
U
|
<
κ
}
{\displaystyle \textstyle X\setminus \operatorname {acc\,pt} _{\kappa }(X)=\bigcup \{U\in {\mathcal {B}}\colon |U|<\kappa \}}
이며,
정칙 기수 의 정의에 따라 우변은 크기
κ
{\displaystyle \kappa }
미만의
열린집합 이다.
a
c
c
p
t
κ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cc\,pt} _{\kappa }(X)}
는
X
{\displaystyle X}
의 완전 집합이다.
증명:
다음 두 명제를 보이면 족하다.
a
c
c
p
t
κ
(
X
)
⊆
a
c
c
p
t
κ
(
a
c
c
p
t
κ
(
X
)
)
⊆
a
c
c
p
t
2
(
a
c
c
p
t
κ
(
X
)
)
{\displaystyle \operatorname {acc\,pt} _{\kappa }(X)\subseteq \operatorname {acc\,pt} _{\kappa }(\operatorname {acc\,pt} _{\kappa }(X))\subseteq \operatorname {acc\,pt} _{2}(\operatorname {acc\,pt} _{\kappa }(X))}
증명: 임의의
x
∈
a
c
c
p
t
κ
(
X
)
{\displaystyle x\in \operatorname {acc\,pt} _{\kappa }(X)}
및 그 근방
U
∋
x
{\displaystyle U\ni x}
에 대하여,
|
U
|
≥
κ
{\displaystyle |U|\geq \kappa }
이지만
|
X
∖
a
c
c
p
t
κ
(
X
)
|
<
κ
{\displaystyle |X\setminus \operatorname {acc\,pt} _{\kappa }(X)|<\kappa }
이므로
|
U
∩
a
c
c
p
t
κ
(
X
)
|
≥
κ
{\displaystyle |U\cap \operatorname {acc\,pt} _{\kappa }(X)|\geq \kappa }
이다.
a
c
c
p
t
κ
(
X
)
⊇
a
c
c
p
t
2
(
a
c
c
p
t
κ
(
X
)
)
{\displaystyle \operatorname {acc\,pt} _{\kappa }(X)\supseteq \operatorname {acc\,pt} _{2}(\operatorname {acc\,pt} _{\kappa }(X))}
증명: 이는
a
c
c
p
t
κ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cc\,pt} _{\kappa }(X)}
가 닫힌집합 이라는 것과 동치 인데,
X
∖
a
c
c
p
t
κ
(
X
)
{\displaystyle X\setminus \operatorname {acc\,pt} _{\kappa }(X)}
가 열린집합 임을 이미 증명하였다.
특히,
κ
=
ℵ
1
{\displaystyle \kappa =\aleph _{1}}
로 놓자. 그렇다면, 제2 가산 공간
X
{\displaystyle X}
의 경우,
X
{\displaystyle X}
의
ℵ
1
{\displaystyle \aleph _{1}}
-집적점 이 아닌 점들의 집합은
X
{\displaystyle X}
의 가산 열린집합 이다.
X
{\displaystyle X}
의
ℵ
1
{\displaystyle \aleph _{1}}
-집적점 들의 집합은
X
{\displaystyle X}
의 완전 집합이다.
특히, 폴란드 공간 의 닫힌집합 은 완전 집합 성질을 갖는다. 특히, 모든 폴란드 공간 은 고립점을 갖지 않는 닫힌집합 과, 이와 서로소 인 가산 열린집합 으로 분해할 수 있다.
폴란드 공간 의 모든 완전 집합의 크기는 0이거나
2
ℵ
0
{\displaystyle 2^{\aleph _{0}}}
이다. 따라서, 폴란드 공간 속의 완전 집합 성질 집합의 크기는
ℵ
0
{\displaystyle \aleph _{0}}
이하이거나
2
ℵ
0
{\displaystyle 2^{\aleph _{0}}}
이다. 즉, 폴란드 공간 속의 완전 집합 성질 집합은 연속체 가설 의 반례가 될 수 없다.
연결 T1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증명:
한원소 공간 이 자기 조밀 공간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반대로,
X
{\displaystyle X}
가 연결
T1 공간 이라고 하고,
x
∈
X
{\displaystyle x\in X}
가
고립점 이라고 하자. (
공집합 은 정의에 따라
연결 공간 이 아니다.) 즉,
{
x
}
{\displaystyle \{x\}}
가
열린집합 이라고 하자.
T1 공간 조건에 의하여 사실
{
x
}
{\displaystyle \{x\}}
는
열린닫힌집합 이다. 그런데
연결 공간 에서
열린닫힌집합 은
X
{\displaystyle X}
전체 또는
∅
{\displaystyle \varnothing }
밖에 없다. 따라서,
X
=
{
x
}
{\displaystyle X=\{x\}}
이다.
실수선은 자기 조밀 공간이다. 칸토어 집합 은 자기 조밀 완전 분리 공간 이다.
무리수 의 위상 공간
R
∖
Q
⊊
R
{\displaystyle \mathbb {R} \setminus \mathbb {Q} \subsetneq \mathbb {R} }
는 자기 조밀 공간이지만, 이는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닫힌집합 이 아니므로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완전 집합이 아니다.
시에르핀스키 공간
{
∘
,
∙
}
{\displaystyle \{\circ ,\bullet \}}
에서,
{
∙
}
{\displaystyle \{\bullet \}}
이 닫힌집합 이라고 할 때,
∘
∈
{
∘
,
∙
}
{\displaystyle \circ \in \{\circ ,\bullet \}}
는 고립점 이다. 즉, 시에르핀스키 공간 은 자기 조밀 공간이 아니다. 이는 시에르핀스키 공간은 연결 공간 이며 한원소 공간 이 아니지만, T1 공간 도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다. 시에르핀스키 공간의 부분 집합 가운데,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은 다음과 같다.
시에르핀스키 공간의 자기 조밀 집합은
{
∘
}
{\displaystyle \{\circ \}}
,
{
∙
}
{\displaystyle \{\bullet \}}
,
∅
{\displaystyle \varnothing }
세 개이다.
시에르핀스키 공간의 완전 집합은
{
∙
}
{\displaystyle \{\bullet \}}
과
∅
{\displaystyle \varnothing }
두 개이다.
시에르핀스키 공간의 모든 부분 집합은 완전 집합 성질을 만족시킨다. (이는 시에르핀스키 공간이 가산 집합 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