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구균
장내구균(Enterococcus, 고대 그리스어: έντερο -)은 후벽균문에 속하는 유산균의 일종이다. 그람 양성 구균이며, 종종 쌍구균이나 짧은 연쇄상구균으로 나타나 기타 연쇄상구균과 형태학적으로 구분하기는 어렵다.[1] 사람에게서 편리 공생을 하는 종으로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 faecalis)와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 faecium)이 있는데 이 중 전자가 90~95%, 후자가 5~10%를 차지한다. E. casseliflavus, E. gallinarum, E. raffinosus도 사람을 감염시킬 때가 있다.[1]
장내구균속 | ||
---|---|---|
허파조직을 감염시킨 Enterococcus sp. | ||
생물 분류ℹ️ | ||
역: | 세균 | |
문: | 후벽균문 | |
강: | 간균강 | |
목: | 유산균목 | |
과: | 장내구균과 | |
속: | 장내구균속 (Enterococcus) (ex Thiercelin & Jouhaud 1903) Schleifer & Kilpper-Bälz 1984 | |
종 | ||
|
계통학
편집조건혐기성 미생물로, 산소가 풍부한 환경이나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잘 호흡할 수 있다.[2] 포자를 만들지는 않으나, 상당히 넓은 기온폭(10~45 °C)이나 pH(4.5~10.0)에서도 생존할 수 있고, 염화 나트륨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하다.[3]
양 혈액 한천 배지에서 감마 용혈성을 보인다.
역사
편집장내구균속은 1984년 이전에는 연쇄상구균 D군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별도의 속으로 분류할 것이 제안되어 받아들여졌다.[4] 4억 2천 5백만 년 전에서 5억 년 전 사이에 진화하였다.[5]
병리학
편집요로감염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게실염, 수막염, 특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중 요로감염증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 나타난다.[3][6][7] 항생제에 민감한 균주의 경우 암피실린, 페니실린, 반코마이신 등의 항생물질로 치료할 수 있다.[8] 요로감염증의 경우 반코마이신 저항성을 띄더라도 니트로푸란토인을 투여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9]
수막염
편집장내구균성 수막염 역시 드물게 발생한다. 정맥이나 수막공간내에 반코마이신을 직접 투여하기도 하는데, 이 방법이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내는지에 대해선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신경계에 삽입된 보조 기구가 있다면 이를 제거해야 한다.[10] 최근의 역학 조사 결과는 장내구균이 만성 세균성 복막염의 주된 원인일 가능성을 보여준다.[11] 전립선에 미생물막을 형성하여 발기부전을 야기하기도 한다.
항생제 저항성
편집본래 높은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는 이유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부 장내구균은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등 베타-락탐계열 항생제을 비롯하여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다종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태어난다.[7] 또한 지난 20년간 미국 등지에서 반코마이신에 대한 내성을 가진 균주(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VRE)에 의한 원내감염이 보고되고 있다.[3] 영국 등의 다른 선진국에서는 유행병으로 발전하기도 했는데, 실제로 2005년에 싱가포르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유행이 발생하여 진압되기도 하였다.[12] 퀴누프리스틴/달프로프리스틴계열의 약제를 통해 70%정도 치료할 수 있다.[13] 리팜피신, 타이제사이클린 역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14][15]
수질
편집장내구균에 의한 오염은 그 정도가 낮더라도 항상 주지되고 있다. 일례로 하와이를 비롯한 미국 대부분에서 5주동안 평균적으로 35개의 콜로니가 100mL의 물에서 발견될 때, 주 당국은 해안가에 경고를 내릴 수 있다.[16] 2004년에는 공공 해수에 대한 미연방 수질표준에서는 분변 대장균과 비슷한 정도로, 공공 담수에 대한 표준에서는 대장균과 비슷한 정도로 주의가 요구된다.[17] 도시 하수에서 발견되는 병원성 미생물들 중 분변 대장균보다 더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18]
각주
편집- ↑ 가 나 Gilmore MS; 외., 편집. (2002). 《The Enterococci: Pathogenesis, Molecular Biology, and Antibiotic Resistance》. Washington, D.C.: ASM Press. ISBN 978-1-55581-234-8.
- ↑ Fischetti VA, Novick RP, Ferretti JJ, Portnoy DA, Rood JI, 편집. (2000). 《Gram-Positive Pathogens》. ASM Press. ISBN 1-55581-166-3.
- ↑ 가 나 다 Fisher K, Phillips C (June 2009). “The ecology, epidemiology and virulence of Enterococcus”. 《Microbiology》 155 (Pt 6): 1749–57. doi:10.1099/mic.0.026385-0. PMID 19383684.
- ↑ Schleifer KH, Kilpper-Balz R (1984). “Transfer of Streptococcus faecalis and Streptococcus faecium to the genus Enterococcus nom. rev. as Enterococcus faecalis comb. nov. and Enterococcus faecium comb. nov.”. 《Int. J. Syst. Bacteriol.》 34: 31–34. doi:10.1099/00207713-34-1-31.
- ↑ Lebreton F, Manson AL, Saavedra JT, Straub TJ, Earl AM, Gilmore MS (2017) Tracing the Enterococci from Paleozoic origins to the hospital. Cell 169(5):849-861.e13. doi: 10.1016/j.cell.2017.04.027
- ↑ Fiore, Marco; Maraolo, Alberto Enrico; Gentile, Ivan; Borgia, Guglielmo; Leone, Sebastiano; Sansone, Pasquale; Passavanti, Maria Beatrice; Aurilio, Caterina; Pace, Maria Caterina (2017년 10월 28일). “Current concepts and future strategies in the antimicrobial therapy of emerging Gram-positive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World Journal of Hepatology》 9 (30): 1166–1175. doi:10.4254/wjh.v9.i30.1166. ISSN 1948-5182. PMC 5666303. PMID 29109849.
- ↑ 가 나 Ryan KJ, Ray CG, 편집.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판. McGraw Hill. 294–5쪽. ISBN 0-8385-8529-9.
- ↑ Pelletier LL Jr. (1996). 〈Microbiology of the Circulatory System〉. Baron S; 외. 《Baron's Medical Microbiology》 4판.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ISBN 0-9631172-1-1.
- ↑ Zhanel GG, Hoban DJ, Karlowsky JA (January 2001). “Nitrofurantoin is active against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5 (1): 324–6. doi:10.1128/AAC.45.1.324-326.2001. PMC 90284. PMID 11120989.
- ↑ Guardado R, Asensi V, Torres JM, Pérez F, Blanco A, Maradona JA, Cartón JA (2006). “Post-surgical enterococcal meningitis: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of 20 cases”.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38 (8): 584–8. doi:10.1080/00365540600606416. PMID 16857599.
- ↑ Lipsky, Benjamin A.; Byren, Ivor; Hoey, Christopher T. (2010년 6월 15일). “Treatment of Bacterial Prostatit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영어) 50 (12): 1641–1652. doi:10.1086/652861. ISSN 1058-4838.
- ↑ Kurup A, Chlebicki MP, Ling ML, Koh TH, Tan KY, Lee LC, Howe KB (April 2008). “Control of a hospital-wid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outbreak”.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 206–11. doi:10.1016/j.ajic.2007.06.005. PMID 18371517.
- ↑ Tünger A, Aydemir S, Uluer S, Cilli F (December 2004). “In vitro activity of linezolid & quinupristin/dalfopristin against Gram-positive cocci”. 《The Indian Journal of Medical Research》 120 (6): 546–52. PMID 15654141.
- ↑ Mercier, Renee-Claude; Kennedy, Christine; Meadows, Christina (2002년 12월). “Antimicrobial activity of tigecycline (GAR-936) against Enterococcus faec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used alone and in combination”. 《Pharmacotherapy》 22 (12): 1517–1523. doi:10.1592/phco.22.17.1517.34117. ISSN 0277-0008. PMID 12495161.
- ↑ Holmberg, Anna; Rasmussen, Magnus (2014년 7월). “Antibiotic regimens with rifampicin for treatment of Enterococcus faecium in biofilm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44 (1): 78–80. doi:10.1016/j.ijantimicag.2014.03.008. ISSN 1872-7913. PMID 24837415.
- ↑ “Clean Water Branch” (PDF). 《Hawaii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11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Water Quality Standards for Coastal and Great Lakes Recreation Waters; Final Rule”. 《Federal Register》 69 (220): 67218–67243. 2004년 11월 16일. 2014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Jin G, Jeng HW, Bradford H, Englande AJ (2004). “Comparison of E. coli, enterococci, and fecal coliform as indicators for brackish water quality assessment”. 《Water Environment Research》 76 (3): 245–55. doi:10.2175/106143004X141807. PMID 15338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