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부 기관
외무성(外務省, Ministry of Foreign Affairs)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PR KOREA |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外務省 | |
약칭 | 외무성 |
---|---|
설립일 | 1948년 9월 8일 |
역할 | 외교정책 수립 및 집행 |
소재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
외무상 | 최선희 |
외무성 제1부상 | 미상 |
상급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
산하기관 | 군축평화연구소, 미국연구소, 일본연구소 |
웹사이트 | www.mfa.gov.kp/ |
상세
편집외교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조약 기타 국제 협정에 관한 사무 관장, 재외국민의 보호 지원, 문화협력 및 대외공보 사무 관장, 국제사정 조사 및 이민사무를 관장한다.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에 위치해 있다.[1][2]
조직 체계에 있어서, 한 명의 상과 일곱 명의 부상이 있으며, 때로는 제1부상직을 병행하고 있다. 제1부상을 제외하고, 각 지역국에서 한명씩 부상을 두고 있다. 순수하게 외교 및 영사 업무만 담당하고 있으며, 비슷한 맥락의 업무인 대외 경제 관련 외교 정책의 수립 시행 및 종합 조정은 대외경제위원장이, 무역 및 외국과의 통상과 통상 교섭 업무는 무역상이 관장한다. 무역 관련 업무는 장관급인 대외경제위원장, 무역상을 따로 두며, 이들은 각각 대외경제위원회 및 무역성에서 활동한다.
폐쇄적인 북한에서 가장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부서이기도 하다. 특히 해외공관에 상주하는 북한 외교관들은 현지 언론에 노출되거나, 인터뷰, 그리고 국제회의 참석 등을 통해서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북한의 외교정책의 당위성을 강조하거나, 국제사회 및 남한의 다양한 문제 제기에 대하여 대응하는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연혁
편집- 1948년: 외무성 설치
조직
편집기능 중심 산하 국
편집- 보도국
- 영사국
- 조약법규국
- 의례국
- 국제기구국
기타 주요부서들
편집- 보도국
- 령사조약법규국(영사조약법규국)
- 의례국
- 국제기구국
- 경제협조국
재외 공관 담당
편집- 아시아1국[3] - 박명호
- 아시아2국[4] - 박상길[5]
- 유럽1국[6] - 김정규[7]
- 유럽2국[8] - 김선경
- 북아메리카국[9] - 김은철
- 아프리카, 아랍, 라틴아메리카국[10] - 허용복
산하 연구소
편집- 군축 및 평화연구소
- 미국연구소
- 일본연구소
후원 민간 단체
편집- 조중민간교류촉진협회
- 조미민간교류협회
- 조선-캐나다 협조사
- 조일교류협회
- 조선-유럽협회
- 국제경제 및 기술교류촉진협회
역대 상, 부상
편집역대 외무장관
편집- 1기
- 2기
역대 외교상
편집- 1기
- 허담 (1977년 12월 8일 - 1983년 12월 8일)
- 2기
역대 외무상
편집- 1기
- 3대 남일 (1957년 9월 9일 ~ 1959년 10월 11일)
- 4대 이상조 (1959년 10월 11일 ~ 1959년 10월 25일)
- 5대 박성철 (1959년 10월 25일 ~ 1962년 10월 22일)
- 6대 이상조 (1962년 10월 23일 ∼ 1967년 12월 16일)
- 7대 박성철 (1967년 12월 16일 ∼ 1970년 7월 8일)
- 8대 허담 (1970년 7월 8일 ~ 1970년 11월 18일)
- 2기
- 허담 (1972년 7월 20일 - 1977년 12월 8일)
- 3기
- 김영남 (1983년 12월 8일 - 1998년 9월 1일)
- 백남순 (1998년 9월 1일 ~ 2007년 1월 3일)
- 강석주(직무대리) (2007년 1월 3일 - 2007년 5월 18일)
- 박의춘 (2007년 5월 18일 - 2009년 4월 9일)
- 4기
- 리수용 (2014년 4월 9일 - 2016년 5월 9일)
- 리용호 (2016년 5월 9일 - 2019년 12월 29일)
- 리선권 (2019년 12월 29일 - 2022년 6월 10일)
- 최선희 (2022년 6월 10일 - 현직)
외무성 부상
편집- 1기
- 2기
- 3기
- 박성철 - 1956년 10월 11일 ~ 1959년 10월 22일
- 황태성 - 1959년 10월 22일 ~ 1960년 2월 21일
- 계응태(桂應泰) - 1960년 2월 21일 ~ 1961년 12월 21일, 무역촉진위 부위원장으로 전출
- 권희경(權熙京) - 1965년 ~ 1970년
- 권희경(權熙京) - 1971년 ~ 1972년 1월, 주쏘련 대사관 대사로 전출
- 4기
- 김계관 - 1998년 9월 1일 ~ 2000년 3월 23일
- 궁석웅 - 2000년 3월 23일 ~ 2001년 1월 11일
- 김계관 - 2001년 1월 11일 ~ 2003년 1월 16일
- 박길련 - 2003년 1월 16일 ~ 2003년 3월 27일
- 강석주 - 2003년 3월 27일 ~ 2009년 3월 26일
- 최수헌 - 2009년 3월 26일 ~ 2009년 8월 27일
- 김영일 - 2009년 8월 27일 ~ 2010년 3월 2일
- 강석주 - 2010년 3월 2일 ~ 2010년 9월 15일
- 김형준 - 2010년 9월 15일 ~ 2013년 2월 5일
- 신홍철 - 2013년 2월 5일 ~ 2014년 2월 5일
- 강석주 - 2014년 2월 5일 ~ 2015년 2월 15일, 방글라데시 주재 대사 역임
- 신홍철 - 2015년 2월 15일 ~ 2015년 9월 16일
- 리용호 - 2015년 9월 16일 ~ 2016년 5월 9일
- 김계관 - 2016년 5월 9일 ~ 2019년 4월 25일
- 최선희 - 2019년 4월 25일 ~ 2022년 6월 10일
- 공석
외무성 수석부상
편집- 1기
외무성 차석부상
편집- 1기
- 2기
역대 외무성 제1부상
편집- 1기
- 2기
- 최수헌 - 1989년 7월 6일 ~ 1990년 4월 17일
- 송호경 - 1990년 4월 17일 ~ 1992년 1월 9일
- 최수헌 - 1992년 1월 9일 ~ 1992년 8월 5일
- 송호경 - 1992년 8월 5일 ~ 1995년 1월 5일, 주캄보디아 대사관 대사 전출
- 김계관 - 1995년 1월 5일 ~ 1998년 9월 1일
역대 외무성 제2부상
편집- 1기
- 송호경 - 1984년 3월 22일 ~ 1987년 7월 8일
- 2기
- 강석주 - 1989년 7월 6일 ~ 1998년 9월 1일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웜비어 사망 3주기...모친 “북한 불법 활동 최대한 폭로””. 2020년 6월 20일. 2024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北, 외무성 공식 홈페이지 개설..."내부 조직, 담당 부서 '11국 3연구소' 공개"”. 2017년 6월 22일. 2024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중국, 일본, 몽골을 담당
- ↑ 베트남, 미얀마, 태국, 필리핀, 라오스, 말레이시아, 캄보쟈, 싱가포르, 브루네이, 네팔, 이란, 인디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몰디브,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피지, 파푸아 뉴기니, 나우루, 바누아투 등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나라들. 아세안 및 남아시아 협력기구 담당
- ↑ “수교 75주년 앞두고…베트남 찾은 박상길 北 외무성 부상”. 2024년 9월 11일. 202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타키키스탄, 몰도바,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그루지야
- ↑ “북, 러 파병에 "그런 일 있다면 국제법적 규범에 부합"”. 2024년 10월 25일. 202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서유럽, 남유럽, 북유럽 국가 전반
- ↑ 미국, 캐나다
- ↑ 아프리카, 중동, 중남 아메리카 국가 전반
외부 링크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