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μ
∗
{\displaystyle \mu ^{*}}
는 추상적 외측도 라는 것을 증명하자. 우선 자명하게
μ
∗
(
∅
)
=
0
{\displaystyle \mu ^{*}(\varnothing )=0}
이며, 또한 만약
A
⊆
B
⊆
X
{\displaystyle A\subseteq B\subseteq X}
라면
μ
∗
(
A
)
≤
μ
∗
(
B
)
{\displaystyle \mu ^{*}(A)\leq \mu ^{*}(B)}
이다. 따라서
μ
∗
{\displaystyle \mu ^{*}}
가 가산 준가법성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이면 된다. 임의의 가산 개의 부분 집합
A
1
,
A
2
,
⋯
⊆
X
{\displaystyle A_{1},A_{2},\dots \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양의 실수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및
i
∈
Z
+
{\displaystyle i\in \mathbb {Z} ^{+}}
에 대하여,
∑
j
=
1
∞
μ
0
(
A
i
j
)
≤
μ
∗
(
A
i
)
+
ϵ
2
i
{\displaystyle \sum _{j=1}^{\infty }\mu _{0}(A_{ij})\leq \mu ^{*}(A_{i})+{\frac {\epsilon }{2^{i}}}}
이며
A
i
⊆
⋃
j
=
1
∞
A
i
j
{\displaystyle \textstyle A_{i}\subseteq \bigcup _{j=1}^{\infty }A_{ij}}
인
A
i
1
,
A
i
2
,
⋯
∈
Σ
0
{\displaystyle A_{i1},A_{i2},\dots \in \Sigma _{0}}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
i
=
1
∞
A
i
⊆
⋃
i
=
1
∞
⋃
j
=
1
∞
A
i
j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_{i=1}^{\infty }A_{i}\subseteq \bigcup _{i=1}^{\infty }\bigcup _{j=1}^{\infty }A_{ij}}
이므로,
μ
∗
(
⋃
i
=
1
∞
A
i
)
≤
∑
i
=
1
∞
∑
j
=
1
∞
μ
0
(
A
i
j
)
≤
∑
i
=
1
∞
μ
∗
(
A
i
)
+
ϵ
{\displaystyle \mu ^{*}\left(\bigcup _{i=1}^{\infty }A_{i}\right)\leq \sum _{i=1}^{\infty }\sum _{j=1}^{\infty }\mu _{0}(A_{ij})\leq \sum _{i=1}^{\infty }\mu ^{*}(A_{i})+\epsilon }
이다.
μ
∗
{\displaystyle \mu ^{*}}
-카라테오도리 가측 집합의 집합
Σ
{\displaystyle \Sigma }
가
P
(
X
)
{\displaystyle {\mathcal {P}}(X)}
의 부분 시그마 대수라는 사실과
μ
=
μ
∗
|
Σ
{\displaystyle \mu =\mu ^{*}|_{\Sigma }}
는 그 위의 완비 측도라는 사실은
μ
∗
{\displaystyle \mu ^{*}}
가 (추상적) 외측도라는 세 가지 조건만을 사용하여 증명된다. 우선,
Σ
{\displaystyle \Sigma }
가
P
(
X
)
{\displaystyle {\mathcal {P}}(X)}
의 부분 불 대수 임을 보이자. 우선 자명하게
∅
∈
Σ
{\displaystyle \varnothing \in \Sigma }
이며, 임의의
A
∈
Σ
{\displaystyle A\in \Sigma }
에 대하여
X
∖
A
∈
Σ
{\displaystyle X\setminus A\in \Sigma }
이다. 따라서
Σ
{\displaystyle \Sigma }
가 유한 합집합에 대하여 닫혀 있음을 보이면 된다. 임의의
A
,
B
∈
Σ
{\displaystyle A,B\in \Sigma }
및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에 대하여,
μ
∗
(
S
)
=
μ
∗
(
S
∩
A
)
+
μ
∗
(
S
∖
A
)
=
μ
∗
(
(
S
∩
A
)
∩
B
)
+
μ
∗
(
(
S
∩
A
)
∖
B
)
+
μ
∗
(
(
S
∖
A
)
∩
B
)
+
μ
∗
(
(
S
∖
A
)
∖
B
)
)
=
μ
∗
(
S
∩
(
A
∩
B
)
)
+
μ
∗
(
S
∩
(
A
∖
B
)
)
+
μ
∗
(
S
∩
(
B
∖
A
)
)
+
μ
∗
(
S
∖
(
A
∪
B
)
)
≥
μ
∗
(
S
∩
(
A
∪
B
)
)
+
μ
∗
(
S
∖
(
A
∪
B
)
)
≥
μ
∗
(
S
)
{\displaystyle {\begin{aligned}\mu ^{*}(S)&=\mu ^{*}(S\cap A)+\mu ^{*}(S\setminus A)\\&=\mu ^{*}((S\cap A)\cap B)+\mu ^{*}((S\cap A)\setminus B)+\mu ^{*}((S\setminus A)\cap B)+\mu ^{*}((S\setminus A)\setminus B))\\&=\mu ^{*}(S\cap (A\cap B))+\mu ^{*}(S\cap (A\setminus B))+\mu ^{*}(S\cap (B\setminus A))+\mu ^{*}(S\setminus (A\cup B))\\&\geq \mu ^{*}(S\cap (A\cup B))+\mu ^{*}(S\setminus (A\cup B))\\&\geq \mu ^{*}(S)\end{aligned}}}
이므로,
A
∪
B
∈
Σ
{\displaystyle A\cup B\in \Sigma }
이다. 여기서 첫째, 둘째 줄의 등호는 각각
A
,
B
∈
Σ
{\displaystyle A,B\in \Sigma }
때문이며, 마지막 두 줄의 부등호는
μ
∗
{\displaystyle \mu ^{*}}
의 가산 준가법성 때문이다.
이제,
Σ
{\displaystyle \Sigma }
가
P
(
X
)
{\displaystyle {\mathcal {P}}(X)}
의 부분 시그마 대수임을 보이자. 이는
Σ
{\displaystyle \Sigma }
가 서로소 집합의 가산 합집합에 대하여 닫혀 있음을 보이면 된다. 임의의 가산 개의 서로소 집합
A
1
,
A
2
,
…
,
∈
Σ
{\displaystyle A_{1},A_{2},\dots ,\in \Sigma }
및 임의의 부분 집합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n
∈
Z
+
{\displaystyle n\in \mathbb {Z} ^{+}}
에 대하여,
μ
∗
(
S
)
=
μ
∗
(
S
∩
⋃
i
=
1
n
A
i
)
+
μ
∗
(
S
∖
⋃
i
=
1
n
A
i
)
≥
μ
∗
(
S
∩
⋃
i
=
1
n
A
i
)
+
μ
∗
(
S
∖
⋃
i
=
1
∞
A
i
)
=
μ
∗
(
S
∩
A
n
)
+
μ
∗
(
S
∩
⋃
i
=
1
n
−
1
A
i
)
+
μ
∗
(
S
∖
⋃
i
=
1
∞
A
i
)
=
μ
∗
(
S
∩
A
n
)
+
μ
∗
(
S
∩
A
n
−
1
)
+
μ
∗
(
S
∩
⋃
i
=
1
n
−
2
A
i
)
+
μ
∗
(
S
∖
⋃
i
=
1
∞
A
i
)
⋮
=
∑
i
=
1
n
μ
∗
(
S
∩
A
i
)
+
μ
∗
(
S
∖
⋃
i
=
1
∞
A
i
)
{\displaystyle {\begin{aligned}\mu ^{*}(S)&=\mu ^{*}\left(S\cap \bigcup _{i=1}^{n}A_{i}\right)+\mu ^{*}\left(S\setminus \bigcup _{i=1}^{n}A_{i}\right)\\&\geq \mu ^{*}\left(S\cap \bigcup _{i=1}^{n}A_{i}\right)+\mu ^{*}\left(S\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mu ^{*}(S\cap A_{n})+\mu ^{*}\left(S\cap \bigcup _{i=1}^{n-1}A_{i}\right)+\mu ^{*}\left(S\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mu ^{*}(S\cap A_{n})+\mu ^{*}(S\cap A_{n-1})+\mu ^{*}\left(S\cap \bigcup _{i=1}^{n-2}A_{i}\right)+\mu ^{*}\left(S\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vdots \\&=\sum _{i=1}^{n}\mu ^{*}(S\cap A_{i})+\mu ^{*}\left(S\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end{aligned}}}
이다. 여기서 첫째, 셋째 줄의 등호는 각각
⋃
i
=
1
n
A
i
,
A
n
∈
Σ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_{i=1}^{n}A_{i},A_{n}\in \Sigma }
때문이며, 둘째 줄의 등호는
μ
∗
{\displaystyle \mu ^{*}}
의 단조성 때문이다. 이에
n
{\displaystyle n}
에 대한 극한을 취하면
μ
∗
(
S
)
≥
∑
i
=
1
∞
μ
∗
(
S
∩
A
i
)
+
μ
∗
(
S
∖
⋃
i
=
1
∞
A
i
)
≥
μ
∗
(
S
∩
⋃
i
=
1
∞
A
i
)
+
μ
∗
(
S
∖
⋃
i
=
1
∞
A
i
)
≥
μ
∗
(
S
)
{\displaystyle {\begin{aligned}\mu ^{*}(S)&\geq \sum _{i=1}^{\infty }\mu ^{*}(S\cap A_{i})+\mu ^{*}\left(S\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geq \mu ^{*}\left(S\cap \bigcup _{i=1}^{\infty }A_{i}\right)+\mu ^{*}\left(S\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geq \mu ^{*}(S)\end{aligned}}}
를 얻는다. 여기서 둘째, 셋째 부등식은
μ
∗
{\displaystyle \mu ^{*}}
의 가산 준가법성 때문이다.
이제,
μ
=
μ
∗
|
Σ
{\displaystyle \mu =\mu ^{*}|_{\Sigma }}
가
Σ
{\displaystyle \Sigma }
위의 완비 측도를 이룸을 보이자. 위 증명에서
S
=
⋃
j
=
1
∞
A
j
{\displaystyle \textstyle S=\bigcup _{j=1}^{\infty }A_{j}}
를 취하면
μ
∗
(
⋃
j
=
1
∞
A
j
)
=
∑
i
=
1
∞
μ
∗
(
⋃
j
=
1
∞
A
j
∩
A
i
)
+
μ
∗
(
⋃
j
=
1
∞
A
j
∖
⋃
i
=
1
∞
A
i
)
=
∑
i
=
1
∞
μ
∗
(
A
i
)
+
μ
∗
(
∅
)
=
∑
i
=
1
∞
μ
∗
(
A
i
)
{\displaystyle {\begin{aligned}\mu ^{*}\left(\bigcup _{j=1}^{\infty }A_{j}\right)&=\sum _{i=1}^{\infty }\mu ^{*}\left(\bigcup _{j=1}^{\infty }A_{j}\cap A_{i}\right)+\mu ^{*}\left(\bigcup _{j=1}^{\infty }A_{j}\setminus \bigcup _{i=1}^{\infty }A_{i}\right)\\&=\sum _{i=1}^{\infty }\mu ^{*}(A_{i})+\mu ^{*}(\varnothing )\\&=\sum _{i=1}^{\infty }\mu ^{*}(A_{i})\end{aligned}}}
를 얻으며, 이에 따라
μ
{\displaystyle \mu }
는
Σ
{\displaystyle \Sigma }
위의 측도를 이룬다. 따라서 임의의 외측도가 0인 집합의 부분 집합이
μ
∗
{\displaystyle \mu ^{*}}
-카라테오도리 가측 집합임을 보이면 된다. 이제
A
⊆
X
{\displaystyle A\subseteq X}
가
μ
∗
(
A
)
=
0
{\displaystyle \mu ^{*}(A)=0}
을 만족시키며, 또한
B
⊆
A
{\displaystyle B\subseteq A}
라고 하자. 그렇다면,
μ
∗
(
S
)
≤
μ
∗
(
S
∩
B
)
+
μ
∗
(
S
∖
B
)
=
μ
∗
(
S
∖
B
)
≤
μ
∗
(
S
)
{\displaystyle {\begin{aligned}\mu ^{*}(S)&\leq \mu ^{*}(S\cap B)+\mu ^{*}(S\setminus B)\\&=\mu ^{*}(S\setminus B)\\&\leq \mu ^{*}(S)\end{aligned}}}
이다. 첫째 줄의 부등호는
μ
∗
{\displaystyle \mu ^{*}}
의 가산 준가법성, 둘째 줄의 등호는
S
∩
B
⊆
A
{\displaystyle S\cap B\subseteq A}
및
μ
∗
{\displaystyle \mu ^{*}}
의 단조성, 셋째 줄의 부등호는
S
∖
B
⊆
S
{\displaystyle S\setminus B\subseteq S}
및
μ
∗
{\displaystyle \mu ^{*}}
의 단조성 때문이다.
이제,
Σ
0
⊆
Σ
{\displaystyle \Sigma _{0}\subseteq \Sigma }
를 증명하자. 임의의
A
∈
Σ
0
{\displaystyle A\in \Sigma _{0}}
및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양의 실수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
i
=
1
∞
μ
0
(
A
i
)
≤
μ
∗
(
S
)
+
ϵ
{\displaystyle \sum _{i=1}^{\infty }\mu _{0}(A_{i})\leq \mu ^{*}(S)+\epsilon }
이며
S
⊆
⋃
i
=
1
∞
A
i
{\displaystyle \textstyle S\subseteq \bigcup _{i=1}^{\infty }A_{i}}
인
A
1
,
A
2
,
⋯
∈
Σ
0
{\displaystyle A_{1},A_{2},\dots \in \Sigma _{0}}
이 존재한다. 각
i
∈
Z
+
{\displaystyle i\in \mathbb {Z} ^{+}}
에 대하여,
A
i
∖
A
=
⋃
j
=
1
n
i
B
i
j
{\displaystyle \textstyle A_{i}\setminus A=\bigcup _{j=1}^{n_{i}}B_{ij}}
인 서로소 집합
B
i
1
,
…
,
B
i
n
i
∈
Σ
0
{\displaystyle B_{i1},\dots ,B_{in_{i}}\in \Sigma _{0}}
을 취하자. 그렇다면,
S
∩
A
⊆
⋃
i
=
1
∞
(
A
i
∩
A
)
{\displaystyle S\cap A\subseteq \bigcup _{i=1}^{\infty }(A_{i}\cap A)}
S
∖
A
⊆
⋃
i
=
1
∞
(
A
i
∖
A
)
=
⋃
i
=
1
∞
⋃
j
=
1
n
i
B
i
j
{\displaystyle S\setminus A\subseteq \bigcup _{i=1}^{\infty }(A_{i}\setminus A)=\bigcup _{i=1}^{\infty }\bigcup _{j=1}^{n_{i}}B_{ij}}
이므로,
μ
∗
(
S
)
≤
μ
∗
(
S
∩
A
)
+
μ
∗
(
S
∖
A
)
≤
∑
i
=
1
∞
μ
0
(
A
i
∩
A
)
+
∑
i
=
1
∞
∑
j
=
1
n
i
μ
0
(
B
i
j
)
=
∑
i
=
1
∞
μ
0
(
A
i
)
≤
μ
∗
(
S
)
+
ϵ
{\displaystyle {\begin{aligned}\mu ^{*}(S)&\leq \mu ^{*}(S\cap A)+\mu ^{*}(S\setminus A)\\&\leq \sum _{i=1}^{\infty }\mu _{0}(A_{i}\cap A)+\sum _{i=1}^{\infty }\sum _{j=1}^{n_{i}}\mu _{0}(B_{ij})\\&=\sum _{i=1}^{\infty }\mu _{0}(A_{i})\\&\leq \mu ^{*}(S)+\epsilon \end{aligned}}}
이다. 여기서 첫째 줄의 부등호는
μ
∗
{\displaystyle \mu ^{*}}
의 가산 준가법성, 셋째 줄의 등호는 준측도
μ
0
{\displaystyle \mu _{0}}
의 가산 가법성 때문이다.
이제,
μ
0
{\displaystyle \mu _{0}}
의 단조성을 증명하자.
A
,
B
∈
Σ
0
{\displaystyle A,B\in \Sigma _{0}}
이며
A
⊆
B
{\displaystyle A\subseteq B}
라고 하자. 그렇다면
B
∖
A
=
⋃
i
=
1
n
C
i
{\displaystyle \textstyle B\setminus A=\bigcup _{i=1}^{n}C_{i}}
인 서로소 집합
C
1
,
…
,
C
n
∈
Σ
0
{\displaystyle C_{1},\dots ,C_{n}\in \Sigma _{0}}
을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μ
0
(
B
)
=
μ
0
(
A
)
+
∑
i
=
1
n
μ
0
(
C
i
)
≥
μ
(
A
)
{\displaystyle \mu _{0}(B)=\mu _{0}(A)+\sum _{i=1}^{n}\mu _{0}(C_{i})\geq \mu (A)}
이다.
이제, 준측도
μ
0
{\displaystyle \mu _{0}}
의 가산 준가법성을 증명하자.
A
1
,
A
2
,
⋯
∈
Σ
0
{\displaystyle A_{1},A_{2},\dots \in \Sigma _{0}}
이며
⋃
i
=
1
∞
A
i
∈
Σ
0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_{i=1}^{\infty }A_{i}\in \Sigma _{0}}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각
i
∈
Z
+
{\displaystyle i\in \mathbb {Z} ^{+}}
에 대하여,
B
i
=
A
i
∖
⋃
j
=
1
i
−
1
A
j
=
⋃
j
=
1
n
i
B
i
j
{\displaystyle B_{i}=A_{i}\setminus \bigcup _{j=1}^{i-1}A_{j}=\bigcup _{j=1}^{n_{i}}B_{ij}}
인 서로소 집합
B
i
1
,
…
,
B
i
n
i
∈
Σ
0
{\displaystyle B_{i1},\dots ,B_{in_{i}}\in \Sigma _{0}}
을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각
i
∈
Z
+
{\displaystyle i\in \mathbb {Z} ^{+}}
에 대하여
C
i
=
A
i
∩
⋃
j
=
1
i
−
1
A
j
=
A
i
∩
⋃
k
=
1
i
−
1
B
k
=
⋃
k
=
1
i
−
1
⋃
j
=
1
n
j
(
A
i
∩
B
k
j
)
{\displaystyle C_{i}=A_{i}\cap \bigcup _{j=1}^{i-1}A_{j}=A_{i}\cap \bigcup _{k=1}^{i-1}B_{k}=\bigcup _{k=1}^{i-1}\bigcup _{j=1}^{n_{j}}(A_{i}\cap B_{kj})}
이므로,
∑
i
=
1
∞
μ
0
(
A
i
)
=
∑
i
=
1
∞
μ
0
(
B
i
∪
C
i
)
=
∑
i
=
1
∞
(
∑
j
=
1
n
i
μ
0
(
B
i
j
)
+
∑
k
=
1
i
−
1
∑
j
=
1
n
k
μ
0
(
A
i
∩
B
k
j
)
)
≥
∑
i
=
1
∞
∑
j
=
1
n
i
μ
0
(
B
i
j
)
=
μ
0
(
⋃
i
=
1
∞
A
i
)
{\displaystyle {\begin{aligned}\sum _{i=1}^{\infty }\mu _{0}(A_{i})&=\sum _{i=1}^{\infty }\mu _{0}(B_{i}\cup C_{i})\\&=\sum _{i=1}^{\infty }\left(\sum _{j=1}^{n_{i}}\mu _{0}(B_{ij})+\sum _{k=1}^{i-1}\sum _{j=1}^{n_{k}}\mu _{0}(A_{i}\cap B_{kj})\right)\\&\geq \sum _{i=1}^{\infty }\sum _{j=1}^{n_{i}}\mu _{0}(B_{ij})\\&=\mu _{0}\left(\bigcup _{i=1}^{\infty }A_{i}\right)\end{aligned}}}
이다. 여기서 둘째, 넷째 줄의 등호는 준측도
μ
0
{\displaystyle \mu _{0}}
의 가산 가법성 때문이다.
이제,
μ
|
Σ
0
=
μ
0
{\displaystyle \mu |_{\Sigma _{0}}=\mu _{0}}
를 증명하자. 임의의
A
∈
Σ
0
{\displaystyle A\in \Sigma _{0}}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양의 실수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
i
=
1
∞
μ
0
(
A
i
)
<
μ
∗
(
A
)
+
ϵ
{\displaystyle \sum _{i=1}^{\infty }\mu _{0}(A_{i})<\mu ^{*}(A)+\epsilon }
이며
A
⊆
⋃
i
=
1
∞
A
i
{\displaystyle \textstyle A\subseteq \bigcup _{i=1}^{\infty }A_{i}}
인
A
1
,
A
2
,
⋯
∈
Σ
0
{\displaystyle A_{1},A_{2},\dots \in \Sigma _{0}}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μ
∗
(
A
)
≤
μ
0
(
A
)
=
μ
0
(
⋃
i
=
1
∞
(
A
∩
A
i
)
)
≤
∑
i
=
1
∞
μ
0
(
A
∩
A
i
)
≤
∑
i
=
1
∞
μ
0
(
A
i
)
<
μ
∗
(
A
)
+
ϵ
{\displaystyle {\begin{aligned}\mu ^{*}(A)&\leq \mu _{0}(A)\\&=\mu _{0}\left(\bigcup _{i=1}^{\infty }(A\cap A_{i})\right)\\&\leq \sum _{i=1}^{\infty }\mu _{0}(A\cap A_{i})\\&\leq \sum _{i=1}^{\infty }\mu _{0}(A_{i})\\&<\mu ^{*}(A)+\epsilon \end{aligned}}}
이다. 여기서 첫째 줄의 부등호는
μ
∗
{\displaystyle \mu ^{*}}
의 정의, 셋째, 넷째 줄의 부등호는 각각 준측도
μ
0
{\displaystyle \mu _{0}}
의 가산 준가법성, 단조성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확장된 측도의
σ
(
Σ
0
)
{\displaystyle \sigma (\Sigma _{0})}
에서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임의의 두 측도
μ
1
,
μ
2
:
Σ
→
[
0
,
∞
]
{\displaystyle \mu _{1},\mu _{2}\colon \Sigma \to [0,\infty ]}
에 대하여, 만약
μ
1
|
Σ
0
=
μ
2
|
Σ
0
{\displaystyle \mu _{1}|_{\Sigma _{0}}=\mu _{2}|_{\Sigma _{0}}}
이며, 준측도
μ
1
|
Σ
0
{\displaystyle \mu _{1}|_{\Sigma _{0}}}
이 시그마 유한 준측도라면,
μ
1
|
σ
(
Σ
0
)
=
μ
2
|
σ
(
Σ
0
)
{\displaystyle \mu _{1}|_{\sigma (\Sigma _{0})}=\mu _{2}|_{\sigma (\Sigma _{0})}}
임을 보이면 된다. 이에 대한 증명에는
Σ
0
{\displaystyle \Sigma _{0}}
가 π계 (즉, 유한 교집합에 대한 닫힘)라는 것을 제외한
Σ
0
{\displaystyle \Sigma _{0}}
에 대한 추가 조건은 사용되지 않는다.
A
=
{
A
∈
Σ
:
∀
B
∈
Σ
0
∖
μ
1
−
1
(
∞
)
:
μ
1
(
A
∩
B
)
=
μ
2
(
A
∩
B
)
}
{\displaystyle {\mathcal {A}}=\{A\in \Sigma \colon \forall B\in \Sigma _{0}\setminus \mu _{1}^{-1}(\infty )\colon \mu _{1}(A\cap B)=\mu _{2}(A\cap B)\}}
라고 하자. 그렇다면,
A
{\displaystyle {\mathcal {A}}}
는 λ계 이며
Σ
0
⊆
A
{\displaystyle \Sigma _{0}\subseteq {\mathcal {A}}}
이므로, π-λ 정리 에 따라
σ
(
Σ
0
)
⊆
A
{\displaystyle \sigma (\Sigma _{0})\subseteq {\mathcal {A}}}
이다.
X
=
⋃
i
=
1
∞
B
i
{\displaystyle \textstyle X=\bigcup _{i=1}^{\infty }B_{i}}
이며
∀
i
∈
Z
+
:
μ
1
(
B
i
)
<
∞
{\displaystyle \textstyle \forall i\in \mathbb {Z} ^{+}\colon \mu _{1}(B_{i})<\infty }
인
B
1
,
B
2
,
⋯
∈
Σ
0
{\displaystyle B_{1},B_{2},\dots \in \Sigma _{0}}
을 취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A
∈
σ
(
Σ
0
)
{\displaystyle A\in \sigma (\Sigma _{0})}
에 대하여,
μ
1
(
A
)
=
μ
1
(
⋃
i
=
1
∞
(
A
∩
B
i
)
)
=
lim
n
→
∞
μ
1
(
⋃
i
=
1
n
(
A
∩
B
i
)
)
=
lim
n
→
∞
∑
k
=
1
n
(
−
1
)
k
−
1
∑
1
≤
i
1
<
⋯
<
i
k
≤
n
μ
1
(
A
∩
B
i
1
∩
⋯
∩
B
i
k
)
=
lim
n
→
∞
∑
k
=
1
n
(
−
1
)
k
−
1
∑
1
≤
i
1
<
⋯
<
i
k
≤
n
μ
2
(
A
∩
B
i
1
∩
⋯
∩
B
i
k
)
=
μ
2
(
A
)
{\displaystyle {\begin{aligned}\mu _{1}(A)&=\mu _{1}\left(\bigcup _{i=1}^{\infty }(A\cap B_{i})\right)\\&=\lim _{n\to \infty }\mu _{1}\left(\bigcup _{i=1}^{n}(A\cap B_{i})\right)\\&=\lim _{n\to \infty }\sum _{k=1}^{n}(-1)^{k-1}\sum _{1\leq i_{1}<\cdots <i_{k}\leq n}\mu _{1}(A\cap B_{i_{1}}\cap \cdots \cap B_{i_{k}})\\&=\lim _{n\to \infty }\sum _{k=1}^{n}(-1)^{k-1}\sum _{1\leq i_{1}<\cdots <i_{k}\leq n}\mu _{2}(A\cap B_{i_{1}}\cap \cdots \cap B_{i_{k}})\\&=\mu _{2}(A)\end{aligned}}}
이다. 여기서 셋째 줄의 등호는 포함배제의 원리 때문이며, 넷째 줄의 등호는 각
1
≤
i
1
<
⋯
<
i
k
≤
n
{\displaystyle 1\leq i_{1}<\cdots <i_{k}\leq n}
에 대하여
B
i
1
∩
⋯
∩
B
i
k
∈
Σ
0
∖
μ
1
−
1
(
∞
)
{\displaystyle B_{i_{1}}\cap \cdots \cap B_{i_{k}}\in \Sigma _{0}\setminus \mu _{1}^{-1}(\infty )}
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