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위의 외측도 에 대하여, 는 의 부분 시그마 대수를 이루며, 는 위의 측도를 이루며, 또한 완비 측도를 이룬다. 즉, 는 완비 측도 공간이다.
거리 공간 속 두 집합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
거리 공간 위의 외측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를 거리 외측도(距離外測度, 영어: metric outer measure)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 . 즉, 모든 보렐 집합은 -카라테오도리 가측 집합이다. (이에 따라 는 측도 공간을 이루지만, 이는 완비 측도 공간일 필요가 없다.)[3]:140, §7.14.x, Theorem 7.14.29
- 모든 열린집합은 -카라테오도리 가측 집합이다.
거리 공간 위의 거리 외측도 가 주어졌을 때, 모든 상반연속 함수와 하반연속 함수 는 가측 함수이다.[4]:53, Property 2. 2
집합 속의 집합 반환은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족 이다.
-
- (이항 교집합에 대한 닫힘)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인 유한 개의 서로소 집합들의 족 ( )이 존재한다.
집합 속의 집합 반환 위에 정의된,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 값의 함수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를 위의 준측도(準測度, 영어: premeasure)라고 한다.[1]:20, §1.3.1, Definition 1.3.2[2]:170, §11, Problem 11.2
- (가산 가법성) 임의의 가산 서로소 집합 (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 (특히, 을 생각하면 을 얻는다.)
-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 (유한 가법성) 임의의 유한 서로소 집합 (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 (특히, 을 생각하면 을 얻는다.)
- (가산 준가법성) 임의의 가산 집합 (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집합 속의 집합족 에 대하여, 가 로 생성된 최소의 시그마 대수라고 하자.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집합
- 집합 반환
- 준측도
이제,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
-
카라테오도리 확장 정리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
- 는 위의 외측도이다.
-
-
- 만약 이며 인 가산 집합 ( )이 존재한다면, 는 를 만족시키는 유일한 위의 측도이다.
그러나 보다 큰 시그마 대수 위에서 의 확장은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다.
실수선 위에서, 구간들의 족
-
은 집합 반환을 이루며, 이다. 또한, 이다.
임의의 증가 함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
-
-
그렇다면, 는 위의 준측도를 이룬다.[1]:33-34, §1.5, Problem 1.22–1.23 이 경우 (또는 )를 르베그-스틸티어스 측도 공간이라고 한다.
자명하게 는 과 유한 가법성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가산 준가법성을 보이면 된다. 임의의 가산 집합 ( )
이 주어졌고, 이라고 하자. 편의상 의 모든 원소가 유계 구간이며,
-
-
-
라고 가정하자. (다른 경우의 증명은 유사하므로 생략할 수 있다.) 임의의 및 에 대하여,
-
인 을 취하자. 그렇다면 가 우연속 함수임에 따라
-
인 가 존재한다. 는 의 열린 덮개를 이루며, 하이네-보렐 정리에 의하여 이는 유한 부분 덮개
-
-
-
를 갖는다. 따라서
-
이다. 여기서 첫 번째 부등호는
-
때문이다. 여기에 을 취하면
-
를 얻으며, 다시 및 를 취하면 의 우연속성에 따라
-
를 얻는다.
임의의 에 대하여, 선형 연산자
-
-
를 정의하자.
또한, 임의의 에 대하여,
-
라고 하자.
함수
-
-
가 주어졌을 때, 집합 반환
-
-
-
위에 준측도
-
를 유도할 수 있으며, 카라테오도리 확장 정리에 따라 르베그-스틸티어스 측도 공간 을 구성할 수 있다.
함수
-
-
또는
-
-
에 대한 르베그-스틸티어스 외측도를 르베그 외측도라고 하며, 이에 대응하는 측도를 르베그 측도라고 한다.
하우스도르프 외측도는 거리 외측도이다.[3]:1140, §7.14.x, Theorem 7.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