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크 수
클라크 수(Clarke 數, Clarke Number)는 해발고도 0인 지오이드(geoid)면에서 지하 약 16km까지의 지각의 암석권, 해양의 수권, 지구를 둘러싼 공기층인 대기권을 포함하는 지구 최외각 부분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존재비율을 각 원소에 대해 중량백분율로 나타낸 수이다.
미국의 클라크(Frank Wigglesworth Clarke)에 의하여 최초 산출되었으며 이후 G.테일러가 새로운 분석값에 의해 개정하여 클라크-테일러수라고도 불린다. [1]
구성비율
편집이 비율은 암석권이 약 93.06%, 수권이 6.91%, 대기권이 0.03%의 중량비를 가지며 이는 지구 전 중량의 0.3%에 해당하는 값이다. 비록 전 지구의 비율에 비해서는 작은 값이지만 우리가 실제로 지구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원소들의 비라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유용한 구성비이다.
주요 구성원소
편집가장 많이 존재하는 원소는 산소이며 규소, 알루미늄, 철,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의 순서로 존재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이 글은 지구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