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K
{\displaystyle K}
가 자기 동형
¯
:
K
→
K
{\displaystyle {\bar {\quad }}\colon K\to K}
를 가진다고 하자.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와,
V
{\displaystyle V}
위의 비퇴화 반쌍선형 형식
Q
:
V
×
V
→
K
{\displaystyle Q\colon V\times V\to K}
Q
(
a
u
+
b
v
,
w
)
=
a
¯
Q
(
u
,
w
)
+
b
¯
Q
(
v
,
w
)
{\displaystyle Q(au+bv,w)={\bar {a}}Q(u,w)+{\bar {b}}Q(v,w)}
Q
(
w
,
a
u
+
b
v
)
=
a
Q
(
w
,
a
)
+
b
Q
(
w
,
b
)
{\displaystyle Q(w,au+bv)=aQ(w,a)+bQ(w,b)}
가 주어졌을 때, 특수 유니터리 군
SU
(
V
,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V,Q)}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수선형군 의 원소들의 군이다.
SU
(
V
,
Q
)
=
{
M
∈
SL
(
V
)
:
Q
(
M
u
,
M
v
)
=
Q
(
u
,
v
)
∀
u
,
v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V,Q)=\{M\in \operatorname {SL} (V)\colon Q(Mu,Mv)=Q(u,v)\forall u,v\in V\}}
특히, 만약
V
{\displaystyle V}
가
n
{\displaystyle n}
차원 벡터 공간이며,
Q
{\displaystyle Q}
가 자명한 항등 이차 형식
Q
(
u
,
v
)
=
∑
i
=
1
n
u
¯
v
{\displaystyle Q(u,v)=\sum _{i=1}^{n}{\bar {u}}v}
일 경우, 이를
SU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K)}
라고 쓴다. 만약
K
{\displaystyle K}
를 생략하는 경우,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를 뜻한다.
또한, 만약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이며, 그 자기 동형이 복소수 켤레이며,
V
{\displaystyle V}
가
(
p
+
q
)
{\displaystyle (p+q)}
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이며,
Q
{\displaystyle Q}
의 계량 부호수 가
(
p
,
q
)
{\displaystyle (p,q)}
라면, 이는
SU
(
p
,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p,q)}
라고 쓴다.
SU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K)}
의 리 대수
s
u
(
n
;
K
)
=
{
M
∈
g
l
(
n
;
K
)
:
M
†
=
−
M
}
{\displaystyle {\mathfrak {su}}(n;K)=\{M\in {\mathfrak {gl}}(n;K)\colon M^{\dagger }=-M\}}
은
n
×
n
{\displaystyle n\times n}
반에르미트 행렬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M
†
=
(
M
¯
)
⊤
=
M
⊤
¯
{\displaystyle M^{\dagger }=({\bar {M}})^{\top }={\overline {M^{\top }}}}
은
M
{\displaystyle M}
에 각 성분로 켤레를 가한 뒤 전치 행렬 을 취한 것이다.
특히,
s
u
(
2
)
{\displaystyle {\mathfrak {su}}(2)}
는 파울리 행렬 로 생성되며,
s
u
(
3
)
{\displaystyle {\mathfrak {su}}(3)}
는 겔만 행렬 로 생성된다.
s
u
(
2
n
;
C
)
{\displaystyle {\mathfrak {su}}(2n;\mathbb {C} )}
의 경우,
s
u
∗
(
2
n
)
{\displaystyle {\mathfrak {su}}^{*}(2n)}
또는
s
l
(
n
;
H
)
{\displaystyle {\mathfrak {sl}}(n;\mathbb {H} )}
로 표기되는 특별한 실수 형태가 존재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에 심플렉틱 구조
Ω
∈
GL
(
V
;
K
)
{\displaystyle \Omega \in \operatorname {GL} (V;K)}
Ω
2
=
−
1
{\displaystyle \Omega ^{2}=-1}
Ω
=
−
Ω
⊤
{\displaystyle \Omega =-\Omega ^{\top }}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V
{\displaystyle V}
가 유한 차원일 때,
V
{\displaystyle V}
는 짝수 차원이 되며, 적절한 기저 에서
Ω
{\displaystyle \Omega }
를
Ω
=
(
0
n
×
n
1
n
×
n
−
1
n
×
n
0
n
×
n
)
∈
Mat
(
2
n
;
K
)
{\displaystyle \Omega ={\begin{pmatrix}0_{n\times n}&1_{n\times n}\\-1_{n\times n}&0_{n\times n}\end{pmatrix}}\in \operatorname {Mat} (2n;K)}
의 꼴로 놓을 수 있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리 군 을 정의할 수 있다.
U
∗
(
2
n
)
=
{
M
∈
GL
(
2
n
;
C
)
:
M
¯
Ω
=
Ω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2n)=\{M\in \operatorname {GL} (2n;\mathbb {C} )\colon {\bar {M}}\Omega =\Omega M\}}
SU
∗
(
2
n
)
=
U
∗
(
2
n
)
∩
SL
(
2
n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n)=\operatorname {U} ^{*}(2n)\cap \operatorname {SL} (2n;\mathbb {C} )}
만약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일 때,
SU
∗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n)}
의 실수 리 대수 는
s
u
(
2
n
)
⊗
R
C
{\displaystyle {\mathfrak {su}}(2n)\otimes _{\mathbb {R} }\mathbb {C} }
의 실수 형태이다.
K
=
C
{\displaystyle K=\mathbb {C} }
일 때, 이 구성은 사원수 로 적을 수 있다. 우선, 사원수 벡터 공간
H
n
{\displaystyle \mathbb {H} ^{n}}
위의 사원수 선형 변환 의 리 군
GL
(
n
;
H
)
=
Aut
H
(
H
n
)
=
U
∗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n;\mathbb {H} )=\operatorname {Aut} _{\mathbb {H} }(\mathbb {H} ^{n})=\operatorname {U} ^{*}(2n)}
을 생각하자. 이는 실수
4
n
2
{\displaystyle 4n^{2}}
차원의 리 군 이다. 이제, 임의의
ι
∈
{
q
∈
H
:
q
2
=
−
1
,
q
¯
=
−
q
}
=
{
v
1
i
+
v
2
j
+
v
3
k
:
v
1
2
+
v
2
2
+
v
3
2
=
1
}
{\displaystyle \iota \in \{q\in \mathbb {H} \colon q^{2}=-1,\;{\bar {q}}=-q\}=\{v_{1}\mathrm {i} +v_{2}\mathrm {j} +v_{3}\mathrm {k} \colon v_{1}^{2}+v_{2}^{2}+v_{3}^{2}=1\}}
는
H
{\displaystyle \mathbb {H} }
의 복소구조
j
:
q
↦
ι
q
{\displaystyle j\colon q\mapsto \iota q}
를 정의하며, 이 복소구조에 대하여
SL
(
n
;
H
)
=
GL
(
n
;
H
)
∩
SL
(
2
n
;
C
)
=
SU
∗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L} (n;\mathbb {H} )=\operatorname {GL} (n;\mathbb {H} )\cap \operatorname {SL} (2n;\mathbb {C} )=\operatorname {SU} ^{*}(2n)}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는
ι
{\displaystyle \iota }
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
특수 유니터리 군의 중심 은 다음과 같은 순환군 이다.
Z
(
SU
(
n
)
)
=
{
exp
(
2
π
i
k
/
n
)
1
n
×
n
:
k
=
0
,
1
,
…
,
n
−
1
}
≅
Z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SU} (n))=\{\exp(2\pi ik/n)1_{n\times n}\colon k=0,1,\dots ,n-1\}\cong \mathbb {Z} /n}
중심에 대한 몫군 을 사영 특수 유니터리 군 (영어 : projective special unitary group )이라고 한다.
1
→
Z
/
n
≅
Z
(
SU
(
n
)
)
→
SU
(
n
)
→
PSU
(
n
)
→
1
{\displaystyle 1\to \mathbb {Z} /n\cong \operatorname {Z} (\operatorname {SU} (n))\to \operatorname {SU} (n)\to \operatorname {PSU} (n)\to 1}
특수 유니터리 군
SU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
은
n
2
−
1
{\displaystyle n^{2}-1}
차원 단순 리 군 이며, 계수는
n
−
1
{\displaystyle n-1}
이다. 단순 리 군의 분류에 따른 표기는
A
n
−
1
{\displaystyle A_{n-1}}
이며, 그 딘킨 도표는 다음과 같다.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cdots -\bullet }
특수 유니터리 군의 극대 원환면 은 다음과 같다.
{
diag
(
λ
1
,
λ
2
,
…
,
λ
n
−
1
,
∏
i
=
1
n
−
1
λ
i
−
1
)
:
λ
1
,
…
,
λ
n
−
1
∈
U
(
1
)
}
⊂
SU
(
n
)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diag} \left(\lambda _{1},\lambda _{2},\dots ,\lambda _{n-1},\prod _{i=1}^{n-1}\lambda _{i}^{-1}\right)\colon \lambda _{1},\dots ,\lambda _{n-1}\in \operatorname {U} (1)\right\}\subset \operatorname {SU} (n)}
특수 유니터리 군의 바일 군 은 다음과 같은 대칭군 이다.
Weyl
(
SU
(
n
)
)
=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U} (n))=\operatorname {Sym} (n)}
대칭군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은
n
{\displaystyle n}
차원 순열 표현(영어 : permutation representation ) 및 그 부분 표현인
n
−
1
{\displaystyle n-1}
차원의 표준 표현(영어 : standard representation )을 갖는다. 특수 유니터리 군의 바일 군은
n
{\displaystyle n}
차원 공간의 기저에 순열 표현으로서 작용하고, 극대 원환면의 기저에는 표준 표현으로 작용한다.
SU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
은 콤팩트 공간 이며 연결 공간 이며 단일 연결 공간 이다.
SU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
는 3차원 초구
S
3
{\displaystyle \mathbb {S} ^{3}}
와 위상동형 이다.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SO
(
2
n
)
⊃
SU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n)\supset \operatorname {SU} (n)}
. 이는 복소수를 2×2 실수 행렬로 간주한 것이다. 이는
SO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n)}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circ }
로 표시한 한 꼭짓점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n
−
3
−
∙
∘
|
−
∙
→
∙
−
∙
−
⋯
−
∙
⏞
n
−
3
−
∙
−
∙
{\displaystyle \overbrace {\bullet -\bullet -\cdots -\bullet } ^{n-3}-{\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overbrace {\bullet -\bullet -\cdots -\bullet } ^{n-3}-\bullet -\bullet }
SU
(
n
)
⊃
SO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supset \operatorname {SO} (n)}
. 이는 실수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을 복소수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의 특수한 경우로 간주한 것이다.
SU
(
n
+
1
)
⊃
U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1)\supset \operatorname {U} (n)}
. 이는
SU
(
n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1)}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circ }
로 표시한 한 꼭짓점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n
−
∘
→
∙
−
∙
−
⋯
−
∙
⏞
n
{\displaystyle \overbrace {\bullet -\bullet -\cdots -\bullet } ^{n}-\circ \qquad \to \qquad \overbrace {\bullet -\bullet -\cdots -\bullet } ^{n}}
SU
(
2
n
)
⊃
USp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n)\supset \operatorname {USp} (2n)}
. 이는
SU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n)}
의 딘킨 도표 를 반으로 접어서 얻는다.
∙
−
∙
−
⋯
−
∙
∙
−
∙
−
⋯
−
∙
⏞
n
−
1
⟩
∙
→
∙
−
∙
−
⋯
−
∙
⏞
n
−
1
⇐
∙
{\displaystyle \overbrace {\bullet -\bullet -\cdots -\bullet \atop \bullet -\bullet -\cdots -\bullet } ^{n-1}\rangle \bullet \qquad \to \qquad \overbrace {\bullet -\bullet -\cdots -\bullet } ^{n-1}\Leftarrow \bullet }
E
7
⊃
SU
(
8
)
/
(
Z
/
2
)
{\displaystyle E_{7}\supset \operatorname {SU} (8)/(\mathbb {Z} /2)}
.[ 1] :§4.12 이는 E7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로 표시한 꼭짓점을 추가하여 아핀 딘킨 도표 로 만든 뒤,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scriptstyle \otimes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scriptstyle \otimes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
E
8
⊃
SU
(
9
)
/
(
Z
/
3
)
{\displaystyle E_{8}\supset \operatorname {SU} (9)/(\mathbb {Z} /3)}
.[ 1] :§5.11 이는 E8 의
Z
/
3
{\displaystyle \mathbb {Z} /3}
자기 동형 에 의하여 고정되는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군이다. 이는 E8 딘킨 도표 에서,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로 표시한 꼭짓점을 추가하여 아핀 딘킨 도표 로 만든 뒤, 흰 색의 꼭짓점
∘
{\displaystyle \circ }
을 제거하여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overset {\displaystyle \circ \atop \displaystyle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scriptstyle \otimes }\qquad \to \qquad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bullet -{\scriptstyle \otimes }}
G
2
⊃
SU
(
3
)
{\displaystyle G_{2}\supset \operatorname {SU} (3)}
낮은 차수의 특수 유니터리 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예외적 동형 (영어 : exceptional isomorphism )이 성립한다.
SU
(
1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1)\cong 1}
SU
(
2
)
≅
Spin
(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cong \operatorname {Spin} (3)}
PSU
(
2
)
≅
SO
(
3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U} (2)\cong \operatorname {SO} (3)}
SU
(
2
)
×
SU
(
2
)
≅
Spin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times \operatorname {SU} (2)\cong \operatorname {Spin} (4)}
(
SU
(
2
)
×
SU
(
2
)
)
/
(
Z
/
2
)
≅
SO
(
4
)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SU} (2)\times \operatorname {SU} (2)\right)/(\mathbb {Z} /2)\cong \operatorname {SO} (4)}
SU
(
4
)
≅
Spin
(
6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4)\cong \operatorname {Spin} (6)}
SU
(
4
)
/
(
Z
/
2
)
≅
SO
(
6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4)/(\mathbb {Z} /2)\cong \operatorname {SO} (6)}
PSU
(
4
)
≅
PSO
(
6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U} (4)\cong \operatorname {PSO} (6)}
SU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
의 유한 차원 연속 표현들은 영 타블로 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 경우, 정의 표현 (영어 : defining representation )
◻
{\displaystyle \square }
은
n
{\displaystyle n}
차원 표현이며, 그 켤레
◻
¯
{\displaystyle {\bar {\square }}}
역시
n
{\displaystyle n}
차원 표현이다. 또한,
n
2
−
1
{\displaystyle n^{2}-1}
차원 딸림 표현이 항상 존재한다.
SU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
의 표현들은 매우 간단하며, 반정수
j
∈
1
2
Z
{\displaystyle j\in {\tfrac {1}{2}}\mathbb {Z} }
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를 표현의 스핀 이라고 한다. 표현들의 텐서곱의 분해는 클렙슈-고르단 계수 에 의하여 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