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원군 (산둥성)
평원군(平原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한
편집《한서》에서는 고제가 설치했다 하나, 《서한정구지리》(중국어 간체자: 西汉政区地理, 정체자: 西漢政區地理)에서는 경제 전4년(기원전 153)에 설치됐다 해 오초칠국의 난 이후의 제북국을 쪼갠 것으로 나온다.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5만 4387호, 66만 4543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9현(11현 8후국)이다.[1] 오늘날의 더저우 시 중부·남부와 지난시의 일부, 빈저우 시의 후이민 현과 양신 현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원현 | 平原縣 | 더저우시 핑위안현 남 | 독마하(篤馬河)가 있어 동북에서 바다로 들어가는데 560리를 지난다. |
격현 | 鬲縣 | 더저우시 남 | |
고당현 | 高唐縣 | 더저우시 위청시 서 | 상흠에 따르면 탑수(漯水)가 여기에서 나온다. |
중구현 | 重丘縣 | 더저우시 링청구 북동 | |
평창후국 | 平昌侯國 | 지난시 상허현 북서 | |
우후국 | 羽侯國 | 더저우시 위청시 남서 | |
반후국 | 般侯國 | 더저우시 라오링시 남서 | |
노릉현 | 樂陵縣 | 더저우시 라오링시 남동 | 도위가 다스린다. |
축아현 | 祝阿縣 | 지난시 창칭구 북동 | |
원현 | 瑗縣 | 더저우시 위청시 남 | |
아양현 | 阿陽縣 | 더저우시 위청시 남서 | |
탑음현 | 漯陰縣 | 더저우시 린이현 남 | 응소에 따르면 탑수는 동무양에서 나와서 동북으로 바다에 들어간다. |
늑현 | 朸縣 | 지난시 상허현 북동 | |
부평후국 | 富平侯國 | 빈저우시 양신현 | |
안덕현 | 安德[2]縣 | 더저우시 링청구 남동 | |
합양후국 | 合陽侯國 | ? | |
누허후국 | 樓虛侯國 | 랴오청시 츠핑현 북동 | 누허후 자순(訾順)의 봉지이다.[3] |
용액후국 | 龍額侯國 | 더저우시 치허현 북서 | |
안후국 | 安侯國 | 창저우시 우차오현 북동 |
신나라
편집군의 이름을 하평(河平)으로 바꾸고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 신 |
---|---|
격(鬲) | 하평정(河平亭) |
우(羽) | 우정(羽貞) |
반(般) | 분명(分明) |
노릉(樂陵) | 미양(美陽) |
축아(祝阿) | 안성(安成) |
원(瑗) | 동순정(東順亭) |
탑음(漯陰) | 익성(翼成) |
늑(朸) | 장향(張鄕) |
부평(富平) | 낙안정(樂安亭) |
합양(合陽) | 의향(宜鄕) |
용액(龍額) | 청향(淸鄕) |
후한
편집9성 155,588호 1,002,658명을 거느렸다.[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원현 | 平原縣 | 더저우시 핑위안현 남 왕묘진(王廟鎭)일대 | |
고당현 | 高唐縣 | 더저우시 위청시 서 방사진진(房寺鎭)일대 | 답수(濕水)의 발원지이다. |
반현 | 般縣 | 더저우 시 러링 시 화루진(진(化樓鎭) 동남일대 | |
격후국 | 鬲候國 | 더저우시 더청 구 태두사향(抬頭寺乡)일대 | 하나라시기 격군(鬲君)이 착(浞)을 멸하고 소강(小康)을 옹립했다. |
축아현 | 祝阿縣 | 지난 시 장칭 구 동북(現 지난 시 화이인 구 서) | 춘추시대에는 축아(祝阿)로 불렸다. 야정정(野井亭)이 현경내에 있다. |
낙릉현 | 樂陵縣 | 빈저우 시 양신현 온점진(溫店鎭)일대 | |
합음현 | 濕陰縣 | 지난 시 지양 현 태평진(太平鎭)일대 | |
안덕후국 | 安德候國 | 더저우 시 링청 구 정가채진(鄭家寨鎭)일대 | |
염차현 | 厭次縣 | 빈저우 시 후이민 현 상락야진(桑落墅鎭)일대 | 후한 명제시기 부평현(富平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위진
편집기주로 이관되었으며 9현 31,000호를 거느렸다.[6]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원현 | 平原縣 | 더저우시 핑위안현 남 왕묘진(王廟鎭)일대 | |
고당현 | 高唐縣 | 더저우시 위청시 서 방사진진(房寺鎭)일대 | |
치평현 | 茌平縣 | 랴오청 시 둥어 현 고관둔진(顧官屯鎭)일대 | |
박평현 | 博平縣 | 랴오청 시 츠핑 현 가채진(贾寨镇) 동남 | |
요성현 | 聊城縣 | 랴오청 시 둥창푸구 동북일대 | 동군에서 이관되었다. |
안덕현 | 安德縣 | 더저우 시 링청 구 정가채진(鄭家寨鎭)일대 | |
서평창현 | 西平昌縣 | 더저우 시 린이 현 적가향(翟家鄕)일대 | |
반현 | 般縣 | 더저우 시 러링 시 화루진(化樓鎭) 동남일대 | |
격현 | 鬲縣 | 더저우시 더청 구 태두사향(抬頭寺乡)일대 |
북위
편집423년(북위 명원제 태상 8년)에 신설된 제주(濟州)의 속군이 되었다. 487년(북위 효문제 태화 11년) 기주에서 옮겨졌다. 528년(북위 효명제 무태 초)남기주(南冀州)가 신설되었을 때 본주에 속했다가 이주영이 집권했던 영안연간에 주가 폐지되면서 제주로 돌아갔다. 4현 22,250호 59,437명을 거느렸다.[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요성현 | 聊城縣 | 랴오청 시 츠핑 현 박평진(博平鎭)일대 | 북위때 태평진이 설치되었는데 후에 군으로 통폐합되었다. 왕성(王城)을 군, 본현의 치소로 삼았다. 반성(畔城)이 있다. |
박평현 | 博平縣 | 랴오청 시 츠핑 현 채둔진(菜屯鎭)일대 | 박평성(博平城), 상엽성(桑葉城), 답수(濕水)가 현경내에 있다. |
치평현 | 茌平縣 | 랴오청 시 둥어 현 고집진(高集鎭)북동일대 | 고성(鼓城)을 치소로 삼았다. 치평성(茌平城), 양성(陽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
서요현 | 西聊縣 | 랴오청 시 둥창푸구 북서일대 | 효창연간에 신설된 현으로 요성(聊城)을 치소로 삼았다. |
수
편집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평원군이 폐지되었고 그 땅에 덕주(德州)가 설치되었으나 수 양제시기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평원군으로 복귀했다. 지금의 더저우 시의 전신이 되었다. 9현 135,820호를 거느렸다.[8]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락현 | 安樂縣 | 더저우 시 링청 구 |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역막현(繹幕縣)이 신설되었으나 양제때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폐지되었다. 북제시기 격현(鬲縣)이 본현에 통폐합되었다. 관관(關官)이 있었다. |
평원현 | 平原縣 | 더저우 시 핑위안 현 | 북제때 유현(鄃縣, 現 더저우 시 샤진 현)이 통폐합되었다. 관관이 있었다. |
장릉현 | 將陵縣 | 더저우 시 링청 구 북 조채진(趙寨鎭) | 596년 설치되었다. |
평창현 | 平昌縣 | 더저우 시 린이 현 덕평진(德平鎭)일대 | 북위에서 설치된 동안군이 북제때 폐지되었고 중평현(重平縣)이 통폐합되었다. |
반현 | 般縣 | 더저우 시 링청 구 자진(滋鎭) 동남일대 | 북제에서 폐지되었다가 596년 복구되었다. |
장하현 | 長河縣 | 더저우 시 | 과거 광천현(廣川縣)이라 불렸는데, 북제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복구되었고, 수나라 말기인 인수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궁고현 | 弓高縣 | 헝수이 시 푸청현 고성(高城) | 586년 재설치되었다. |
동광현 | 東光縣 | 창저우 시 둥광 현 | 개황초에 발해군이 폐지되고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관주(觀州)가 신설되었다. 대업초기 관주가 폐지되면서 안릉현(安陵縣)이 통폐합되었다. 천태산(天胎山)이 현경내에 있다. |
호소현 | 胡蘇縣 | 더저우 시 닝진 현 보점진(保店鎭) | 596년 재설치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