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페이어
폰페이어는 캐롤라인 제도 폰페이섬의 토착 언어로,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한다. 폰페이섬과 부속 환초 및 도서에 약 3만 명의 모어 화자가 있고, 미국 본토, 하와이, 괌 등지에 약 1만~1만 5천 명이 더 있다. 폰페이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두 번째로 널리 쓰이는 토착 언어이다.[1]
사용 지역 | 폰페이섬 |
---|---|
언어 인구 | 29000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추크폰페이어군 폰페이어군 폰페이어 |
언어 부호 | |
ISO 639-2 | pon
|
ISO 639-3 | pon 폰페이어
|
분류
편집폰페이어군은 추크주의 추크어군과 가장 가깝다. 폰페이어군에는 폰페이어와 함께 사푸아피크어, 핀지랍어, 모킬어가 속한다. 폰페이어는 핀지랍어와 81%, 모킬어와 75%, 추크어와 36%의 어휘를 각각 공유한다.[2][1]
폰페이어는 영어, 일본어, 에스파냐어, 독일어 등의 식민지 시기 언어들에서 차용어를 대량으로 들여왔다.[3][4]:14 그러나 이러한 "차용어"들은 원어와 철자도 발음도 다르다.
음운론
편집현대 폰페이어 정서법에서는 20글자(16개 낱자와 4개 이중음자)를 사용하고, 그 순서는 조금 독특하다.[4]
a | e | i | o | oa | u | h | k | l | m | mw | n | ng | p | pw | r | s | d | t | w |
독일 선교사들이 정서법의 초기 형태를 고안했기 때문에, 폰페이어 철자는 독일어처럼 장모음을 -h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산'은 dohl이다.[1] 아래는 폰페이어 문자와 국제음성기호로 적은 음가를 나열한 것이다.[4]
양순음 | 치음/치경음 | 설단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순연구개음 | |
---|---|---|---|---|---|---|
비음 | <m> /m/ | <n> /n/ | <ng> /ŋ/ | <mw> /mʷ/[note 1] | ||
파열음 | <p> /p/ | <d> /t/ | <t> / ̻t/[5]:504 | <k> /k/ | <pw> /pʷ/[note 1] | |
마찰음 | <s> /sʲ/ | |||||
접근음 | <l> /l/ | <i>[note 2] /j/ | <u, w>[note 2] /w/ | |||
전동음/탄음 | <r> [r] | |||||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i/ <ih> /iː/ | <u> /u/ <uh> /uː/ | |
중고모음 | <e>[note 1] /e/ <eh> /eː/ | <o> /o/ <oh> /oː/ | |
중저모음 | <e>[note 1] /ɛ/ <eh> /ɛː/ | <oa> /ɔ/ <oah> /ɔː/ | |
저모음 | <a> /ɐ/ <ah> /ɐː/ | ||
음소배열론
편집폰페이어 음절은 일반적으로 자음(C)와 모음(V)으로 구성되고, (C)V(C) 구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초 체계는 폰페이어 정서법적 관행과 음운론적 과정으로 인해 복잡해진다. 정서법상 <i>는 /j/을 나타내지만 종종 생략되며, <-u>는 /w/으로 실현되고, <h>는 (독일어를 따라) 장모음을 나타낸다[1] 따라서 <sahu>는 [sʲa:w]로 발음되며 [sʲahu]가 아니다. 연속한 모음 사이에는 모음의 상대적 높이와 순서에 따라 활음 [j]나 [w]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diar> '찾다'는 [tijar]로, <toai> '콧물나다'는 [ ̻tɔji]로, <suwed> '나쁘다'는 [sʲuwɛt]로, <lou> '식다'는 [lowu]로 각각 발음된다. 활음 [j]는 <i>를 통해서만 표기되고, 활음 [w]는 <u>와 고모음이 아닌 모음 사이에서 항상 표기된다.[4]:54–5
비음으로 시작하는 자음군이 어두에 오는 단어는 표기대로 읽을 수도 있고, 어두 삽입 모음이 들어가기도 한다. 삽입된 모음의 원순성은 인접한 자음군 또는 음절의 원순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nta> '피'는 [i ̻n ̻ta]로, <ngkapwan> '조금 전'은 [iŋkapʷan]으로 각각 발음될 수 있으나, <mpwer> '쌍둥이'는 [umʷpʷɛr]로, <ngkopw> '게의 일종'은 [uŋkopʷ]로 각각 발음될 수 있다. 폰페이어 정서법은 자음군 [mʷpʷ]과 [mʷmʷ]를 각각 <mpw>와 <mmw>로 표기한다.[4]:55–9
문법
편집폰페이어의 어순은 굳이 따지자면 SVO형이다. 문법적 기능에 따라 핵어는 종속어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이 그러하듯 폰페이어의 초점 표시는 타동성과 관계절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오스트로네시아 정렬 참조). 문법적인 문장 구조는 일반적으로 (1) 명사구, (2) 동사구, (3) 나머지 명사구이고, 중심이 되는 명사구의 내용은 화자가 설정한 초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중심 명사구가 주어가 아닌 경우 뒤에 초점 불변화사 me가 온다. 보통 목적어구는 서술어 맨 끝 자리에 온다.[4]:225, 248–50, 280, 307
명사
편집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의 문법적 수를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접미사를 통해 굴절한다. 수사는 보통 셀 명사 뒤에 오고, 명사 부류에 따라 일치한다. 명사와 형용사는 명사구를 이룬다. 폰페이어 타동사절 하나에는 최대 세 개의 명사구가 올 수 있다.[4]:141–2, 157, 280
대명사
편집단수 | 쌍수 | 복수 | 청자 제외 (쌍수/복수) | ||
---|---|---|---|---|---|
1인칭 | 독립 | ngehi | kita | kitail | kiht |
주격 | i | kita | kitail | se | |
목적격 | -ie | -kita | -kitail | -kit | |
2인칭 | 독립 | kowe, koh | kuwma | kumwail | N/A |
주격 | ke | kumwa | kumwail | N/A | |
목적격 | -uhk | -kumwa | -kumwail | N/A | |
3인칭 | 독립 | ih | ira | irail, ihr | N/A |
주격 | e | ira | irail, re | N/A | |
목적격 | - | -ira | -irail | N/A |
관계대명사 me는 '~인 자/것'이라는 뜻으로, 다음과 같이 형용사 또는 일반동사와 쓰인다. Ih me kehlail '그 자 강하다' > '그는 강한 자이다', Ih me mwenge '그 자 먹다' > '그는 먹은 자이다'.[4]:200
소유 분류사
편집소유 분류사는 자주 쓰이며 인칭, 피소유물, 경어 사용 여부를 구별한다. 인칭별 형태는 다음과 같다.
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 nei, ei/ahi | neita, ata | neitail, atail neit, aht (excl.) |
2인칭 | ahmw/oumw, noumw | amwa, noumwa | amwail, noumwail |
경어: omw, omwi | |||
3인칭 | nah, ah | ara, neira | arail, neirail/nair |
경어: sapwellime |
이외에도 sapwellime (3인칭 경어), were (탈것, 카누), nime (마실 수 있는 것), imwe (건물, 집), ulunge (베개), sapwe (땅), kie (잠자리), tie (귀걸이), mware (화관, 칭호, 이름), ipe (이불, 요), kene (식료품), seike (어획량) 등의 소유 분류사가 있다.[3][4]:184
친족 특화 분류사에는 kiseh (친척), sawi (씨족 구성원), rie (크로 친족식 형제자매), wahwah (남자의 자매의 자녀), and toki (성관계를 맺은 사람).[4]:116, 184
경어
편집명사 부류 | 경어 (Mengei) | 평어 (Lokaia Mengei) |
---|---|---|
카누, 탈것 | tehnwere | were |
집, 건물 | tehnpese | imwe |
koanoat 칭호 보유자의 식료품 | koanoat | kene |
땅 | nillime | sapwe |
잠자리 (깔개 포함) | moatoare | kie |
수사와 분류사
편집수사는 보통 셀 명사 뒤에 오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앞에 올 수 있다. 수사와 분류사는 셀 대상의 문법적 부류와 물리적 특징에 따라 정해진다. 언어학자들은 '10'을 나타내는 어형에 따라 여러 수사 체계들을 세 가지 계열로 분류한다. 숫자의 이름을 말할 때는 -u 부류가 가장 많이 쓰인다. 분류사 -pak과 -sou는 '10'을 ngoul로 쓴다.[4]:127, 135, 141–2
명사 유형 | 분류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무생물, 일부 생물 | –u | ehu | riau | siluh | pahieu | limau | weneu | isuh | waluh | duwau | eisek |
횟수 | –pak | apak | riapak | silipak | pahpak | limpak | wenepak | isipak | welipak | duwapak | |
더미, 무더기 | –mwut | emwut | riemwut | silimwut | pahmwut | limmwut | wenemwut | isimwut | walimwut | duwamwut | |
길쭉한 물체 | –lep | elep | rielep | sillep | pahlep | limelep | wenlep | isilep | wellep | duwelep | |
얇고 긴 조각, 가닥, piten과 쓰임 | –pit | epit | riepit | silipit | pahpit | limpit | wenepit | isipit | walipit | duwapit | |
화관 | –el | ehl | riehl | siliel | pahiel | limiel | weniel | isiel | weliel | duwehl | |
(사탕수수) 대 | –sop | osop | riaspo | silisop | pahsop | limisop | wensop | isisop | welisop | duwasop | |
작고 둥근 물체 | –mwodol | emwodol | riemwodol | silimwodol | pahmwodol | limwomwodol | wenemwodol | isimwodol | welimwodol | duwemwodol | |
한 줄기 바람 | –tumw | otumw | riotumw | silitumw | pahtumw | limatumw | wenetumw | isitumw | welitumw | duwetumw | |
얇은 조각 | –dip | edip | riadip | silidip | pahdip | limadip | wenidip | isidip | welidip | duwadip | |
배설물 (pwise) | –sou | esou | riesou | silisou | pahsou | limisou | wensou | isisou | welisou | duwesou | |
묶음 | –dun | odun | riadun | silidun | pahdun | limadun | wendun | isidun | welidun | duwadun | |
생물 | –men | emen | riemen | silimen | pahmen | limmen | wenemen | isimen | welimen | duwemen | ehk |
장기간, 노래, 이야기 | –pwoat | oapwoat | rioapwoat | silipwoat | pahpwoat | limpwoat | wenepwoat | isipwoat | welipoat | duwoapwoat | |
부분, 조각, 쪽 | –pali | apali | riapali | silipali | pahpali | limpali | wenepali | isipali | welipali | duwepali | |
가늘고 긴 조각, 길고 얇은 물체, poaren과 쓰임 | –poar | oapoar | rioapoar | silipoar | pahpoar | limpoar | wenepoar | isipoar | welipoar | duwoapoar | |
잎, teh와 쓰임 | –te | ete | riete | silete | pahte | limete | wente | isite | welite | duwete | |
얇은 물체 | –par | apar | riapar | silipar | pahpar | limpar | wenepar | isipar | welipar | duwapar | |
다발, 묶음, kap과 쓰임 | –kap | akap | riakap | silikap | pahkap | limakap | wenakap | isikap | welikap | duwakap | |
노 | –ka | aka | riaka | silika | pahka | limaka | weneka | isika | welika | duwaka | |
야자잎 | –pa | apa | riapa | silipa | pahpa | limpa | wenwpa | isipa | welipa | duwapa | |
나뭇가지, rah와 쓰임 | –ra | ara | riara | silira | pahra | limara | wenera | isira | welira | duwara | |
대나무 마디 | –pwuloi | opwuloi | riopwuloi | silipwuloi | pahpwuloi | limpwuloi | wenpwuloi | welipwuloi | duwopwuloi | ||
납작한 끈 | –sel | esel | riesel | silisel | pahsel | limesel | wenesel | isisel | welisel | duwesel | |
얌, 바나나, 돌 화덕에 구운 음식 uhmw | –umw | oumw | rioumw | sliuhmw | pahumw | limoumw | wenoumw | isuhmw | weluhmw | duwoumw | ngoul |
밤(시간), pwohng와 쓰임 | –pwong | opwong | rioapwong | silipwong | pahpwong | limpwong | wenepwong | isipwong | welipwong | duwoapwong | |
뿌리가 하나이고 줄기가 여럿인 식물 (사탕수수, 히비스커스, 대나무) | –wel | ewel | riewel | siliwel | pahwel | limwel | wenewel | isiwel | welewel | duwewel | |
물체의 작은 조각 또는 파편 | –kis | ekis | riakis | silikis | pahkis | limakis | wenekis | isikis | welikis | duwakis | |
(없음) | –ehd | ari (are) | esil | epeng | alim (alen) | oun (aun) | eis | ewel | adit (edut) | koadoangoul/kedingoul | |
바나나 송이 | –i | ih | rial | — | — | — | — | — | — | — | — |
pwiki '100', kid '1000' 등의 큰 수사는 명사 부류에 따라 굴절하지 않는다. 위의 -ehd 체계도 명사 부류와 관계 없다.[4]:137–40
서수사는 접두사 ka-를 붙여 만드는데, 특정 단어에서는 ke-로 발음된다.[4]:141–42, 215–218, 318
전치사와 전치 명사
편집폰페이어의 전형적인 전치사는 ni와 nan 두 가지가 있다.[4] nan은 대상이 평면 또는 입체 공간 상에서 다른 대상 안에 들어 있음을 표현하고, ni는 대상이 다른 대상에 붙어 있음을 표현한다.[6]
- Lahpo mihmi nan ihwo '그 사람이 집 안에 있다.'
- Kahto mihmi nan pingin likou '그 고양이가 양탄자 위에 있다.'
- Rihngo mihmi ni pehn liho '그 반지가 여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있다.'
- Pwahlo mihmi ni kehpo '금이 컵 안에 (가) 있다.'
기초 표현
편집아래는 폰페이어의 기초 단어와 표현이다.
- Kaselehlie - 안녕하세요 (준격식)
- Kaselehlie maing - 안녕하십니까 (격식)
- Kaselehlie maing ko - 안녕들 하십니까 (격식 복수)
- Kaselel - 안녕 (비격식)
- Kalahngan - 고맙습니다 (격식)
- Menlau - 고마워요 (비격식)
- edei - 나의 이름
- edomw - 너의 이름 (단수 비격식)
- Ia edomw? - 네 이름은 뭐니?
- Ia iromw? - 잘 지내니? (단수 비격식)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Dalby, Andrew (2004).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Bloomsbury Pub Ltd. ISBN 978-0231115698. 2012년 1월 9일에 확인함.
- ↑ Lewis, M. Paul, 편집. (2009). “Pohnpeian”.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6판. Dallas: SIL International online. 201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Rehg, Kenneth L.; Sohl, Damian G. (1979). 《Ponapean-English Dictionary》. PALI language texts: Microne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05623. 2012년 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Rehg, Kenneth L.; Sohl, Damian G. (1981). 《Ponapean Reference Grammar》. PALI language texts: Microne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07184. 2012년 1월 8일에 확인함.
- ↑ Rehg, Kenneth L. (2004). “Linguists, Literacy, and the Law of Unintended Consequences” (PDF). 《Oceanic Linguistics》 43 (2). 498–518면. doi:10.1353/ol.2005.0011.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Rentz, Bradley (2017). “Pohnpeian Topological Relations”. 《Linguistics Vanguard》 3. doi:10.1515/lingvan-2016-0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