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페이어

언어

폰페이어캐롤라인 제도 폰페이섬의 토착 언어로,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한다. 폰페이섬과 부속 환초 및 도서에 약 3만 명의 모어 화자가 있고, 미국 본토, 하와이, 괌 등지에 약 1만~1만 5천 명이 더 있다. 폰페이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두 번째로 널리 쓰이는 토착 언어이다.[1]

폰페이어
Mahsen en Pohnpei [경어]
Lokaiahn Pohnpei [평어]
사용 지역 폰페이섬
언어 인구 29000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추크폰페이어군
      폰페이어군
       폰페이어
언어 부호
ISO 639-2 pon
ISO 639-3 pon 폰페이어

폰페이어에는 경어가 있는데, 신분이 높은 사람들에게 말할 때는 특수한 어휘를 사용한다.[1]

분류

편집

폰페이어군은 추크주추크어군과 가장 가깝다. 폰페이어군에는 폰페이어와 함께 사푸아피크어, 핀지랍어, 모킬어가 속한다. 폰페이어는 핀지랍어와 81%, 모킬어와 75%, 추크어와 36%의 어휘를 각각 공유한다.[2][1]

폰페이어는 영어, 일본어, 에스파냐어, 독일어 등의 식민지 시기 언어들에서 차용어를 대량으로 들여왔다.[3][4]:14 그러나 이러한 "차용어"들은 원어와 철자도 발음도 다르다.

음운론

편집

현대 폰페이어 정서법에서는 20글자(16개 낱자와 4개 이중음자)를 사용하고, 그 순서는 조금 독특하다.[4]

a e i o oa u h k l m mw n ng p pw r s d t w

독일 선교사들이 정서법의 초기 형태를 고안했기 때문에, 폰페이어 철자는 독일어처럼 장모음을 -h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산'은 dohl이다.[1] 아래는 폰페이어 문자와 국제음성기호로 적은 음가를 나열한 것이다.[4]

폰페이어의 자음
양순음 치음/치경음 설단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연구개음
비음 <m> /m/ <n> /n/ <ng> /ŋ/ <mw> /mʷ/[note 1]
파열음 <p> /p/ <d> /t/ <t> / ̻t/[5]:504 <k> /k/ <pw> /pʷ/[note 1]
마찰음 <s> /sʲ/
접근음 <l> /l/ <i>[note 2] /j/ <u, w>[note 2] /w/
전동음/탄음 <r> [r]
  1. /mʷ/와 /pʷ/는 모음 앞에서는 원순성을 띠지만, 종성 자리에서는 비원순 이음으로 실현된다.
  2. 폰페이어에서 /j/는 <i>로 표기하고, /w/는 <u>로 표기할 수 있다.
폰페이어의 모음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i/ <ih> /iː/ <u> /u/ <uh> /uː/
중고모음 <e>[note 1] /e/ <eh> /eː/ <o> /o/ <oh> /oː/
중저모음 <e>[note 1] /ɛ/ <eh> /ɛː/ <oa> /ɔ/ <oah> /ɔː/
저모음 <a> /ɐ/ <ah> /ɐː/
  1. 폰페이어는 철자상 [e]와 [ɛ]를 구별 없이 <e>로 쓴다.

음소배열론

편집

폰페이어 음절은 일반적으로 자음(C)와 모음(V)으로 구성되고, (C)V(C) 구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초 체계는 폰페이어 정서법적 관행음운론적 과정으로 인해 복잡해진다. 정서법상 <i>는 /j/을 나타내지만 종종 생략되며, <-u>는 /w/으로 실현되고, <h>는 (독일어를 따라) 장모음을 나타낸다[1] 따라서 <sahu>는 [sʲa:w]로 발음되며 [sʲahu]가 아니다. 연속한 모음 사이에는 모음의 상대적 높이와 순서에 따라 활음 [j]나 [w]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diar> '찾다'는 [tijar]로, <toai> '콧물나다'는 [ ̻tɔji]로, <suwed> '나쁘다'는 [sʲuwɛt]로, <lou> '식다'는 [lowu]로 각각 발음된다. 활음 [j]는 <i>를 통해서만 표기되고, 활음 [w]는 <u>와 고모음이 아닌 모음 사이에서 항상 표기된다.[4]:54–5

비음으로 시작하는 자음군이 어두에 오는 단어는 표기대로 읽을 수도 있고, 어두 삽입 모음이 들어가기도 한다. 삽입된 모음의 원순성은 인접한 자음군 또는 음절의 원순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nta> '피'는 [i ̻n ̻ta]로, <ngkapwan> '조금 전'은 [iŋkapʷan]으로 각각 발음될 수 있으나, <mpwer> '쌍둥이'는 [umʷpʷɛr]로, <ngkopw> '게의 일종'은 [uŋkopʷ]로 각각 발음될 수 있다. 폰페이어 정서법은 자음군 [mʷpʷ]과 [mʷmʷ]를 각각 <mpw>와 <mmw>로 표기한다.[4]:55–9

문법

편집

폰페이어의 어순은 굳이 따지자면 SVO형이다. 문법적 기능에 따라 핵어는 종속어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이 그러하듯 폰페이어의 초점 표시는 타동성과 관계절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오스트로네시아 정렬 참조). 문법적인 문장 구조는 일반적으로 (1) 명사구, (2) 동사구, (3) 나머지 명사구이고, 중심이 되는 명사구의 내용은 화자가 설정한 초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중심 명사구가 주어가 아닌 경우 뒤에 초점 불변화사 me가 온다. 보통 목적어구는 서술어 맨 끝 자리에 온다.[4]:225, 248–50, 280, 307

명사

편집

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문법적 수를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접미사를 통해 굴절한다. 수사는 보통 셀 명사 뒤에 오고, 명사 부류에 따라 일치한다. 명사와 형용사는 명사구를 이룬다. 폰페이어 타동사절 하나에는 최대 세 개의 명사구가 올 수 있다.[4]:141–2, 157, 280

대명사

편집
인칭대명사[4]:157–161
단수 쌍수 복수 청자 제외 (쌍수/복수)
1인칭 독립 ngehi kita kitail kiht
주격 i kita kitail se
목적격 -ie -kita -kitail -kit
2인칭 독립 kowe, koh kuwma kumwail N/A
주격 ke kumwa kumwail N/A
목적격 -uhk -kumwa -kumwail N/A
3인칭 독립 ih ira irail, ihr N/A
주격 e ira irail, re N/A
목적격 - -ira -irail N/A

관계대명사 me는 '~인 자/것'이라는 뜻으로, 다음과 같이 형용사 또는 일반동사와 쓰인다. Ih me kehlail '그 자 강하다' > '그는 강한 자이다', Ih me mwenge '그 자 먹다' > '그는 먹은 자이다'.[4]:200

소유 분류사

편집

소유 분류사는 자주 쓰이며 인칭, 피소유물, 경어 사용 여부를 구별한다. 인칭별 형태는 다음과 같다.

인칭 소유 분류사[3]
단수 쌍수 복수
1인칭 nei, ei/ahi neita, ata neitail, atail
neit, aht (excl.)
2인칭 ahmw/oumw, noumw amwa, noumwa amwail, noumwail
경어: omw, omwi
3인칭 nah, ah ara, neira arail, neirail/nair
경어: sapwellime

이외에도 sapwellime (3인칭 경어), were (탈것, 카누), nime (마실 수 있는 것), imwe (건물, 집), ulunge (베개), sapwe (땅), kie (잠자리), tie (귀걸이), mware (화관, 칭호, 이름), ipe (이불, 요), kene (식료품), seike (어획량) 등의 소유 분류사가 있다.[3][4]:184

친족 특화 분류사에는 kiseh (친척), sawi (씨족 구성원), rie (크로 친족식 형제자매), wahwah (남자의 자매의 자녀), and toki (성관계를 맺은 사람).[4]:116, 184

경어

편집

경어는 따로 구별된 어휘를 많이 사용한다.[3]

경어 분류사의 예시[3]
명사 부류 경어 (Mengei) 평어 (Lokaia Mengei)
카누, 탈것 tehnwere were
집, 건물 tehnpese imwe
koanoat 칭호 보유자의 식료품 koanoat kene
nillime sapwe
잠자리 (깔개 포함) moatoare kie

수사와 분류사

편집

수사는 보통 셀 명사 뒤에 오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앞에 올 수 있다. 수사와 분류사는 셀 대상의 문법적 부류와 물리적 특징에 따라 정해진다. 언어학자들은 '10'을 나타내는 어형에 따라 여러 수사 체계들을 세 가지 계열로 분류한다. 숫자의 이름을 말할 때는 -u 부류가 가장 많이 쓰인다. 분류사 -pak과 -sou는 '10'을 ngoul로 쓴다.[4]:127, 135, 141–2

폰페이어 수사[4]:127–34
명사 유형 분류사 1 2 3 4 5 6 7 8 9 10
무생물, 일부 생물 –u ehu riau siluh pahieu limau weneu isuh waluh duwau eisek
횟수 –pak apak riapak silipak pahpak limpak wenepak isipak welipak duwapak
더미, 무더기 –mwut emwut riemwut silimwut pahmwut limmwut wenemwut isimwut walimwut duwamwut
길쭉한 물체 –lep elep rielep sillep pahlep limelep wenlep isilep wellep duwelep
얇고 긴 조각, 가닥, piten과 쓰임 –pit epit riepit silipit pahpit limpit wenepit isipit walipit duwapit
화관 –el ehl riehl siliel pahiel limiel weniel isiel weliel duwehl
(사탕수수) 대 –sop osop riaspo silisop pahsop limisop wensop isisop welisop duwasop
작고 둥근 물체 –mwodol emwodol riemwodol silimwodol pahmwodol limwomwodol wenemwodol isimwodol welimwodol duwemwodol
한 줄기 바람 –tumw otumw riotumw silitumw pahtumw limatumw wenetumw isitumw welitumw duwetumw
얇은 조각 –dip edip riadip silidip pahdip limadip wenidip isidip welidip duwadip
배설물 (pwise) –sou esou riesou silisou pahsou limisou wensou isisou welisou duwesou
묶음 –dun odun riadun silidun pahdun limadun wendun isidun welidun duwadun
생물 –men emen riemen silimen pahmen limmen wenemen isimen welimen duwemen ehk
장기간, 노래, 이야기 –pwoat oapwoat rioapwoat silipwoat pahpwoat limpwoat wenepwoat isipwoat welipoat duwoapwoat
부분, 조각, 쪽 –pali apali riapali silipali pahpali limpali wenepali isipali welipali duwepali
가늘고 긴 조각, 길고 얇은 물체, poaren과 쓰임 –poar oapoar rioapoar silipoar pahpoar limpoar wenepoar isipoar welipoar duwoapoar
잎, teh와 쓰임 –te ete riete silete pahte limete wente isite welite duwete
얇은 물체 –par apar riapar silipar pahpar limpar wenepar isipar welipar duwapar
다발, 묶음, kap과 쓰임 –kap akap riakap silikap pahkap limakap wenakap isikap welikap duwakap
–ka aka riaka silika pahka limaka weneka isika welika duwaka
야자잎 –pa apa riapa silipa pahpa limpa wenwpa isipa welipa duwapa
나뭇가지, rah와 쓰임 –ra ara riara silira pahra limara wenera isira welira duwara
대나무 마디 –pwuloi opwuloi riopwuloi silipwuloi pahpwuloi limpwuloi wenpwuloi welipwuloi duwopwuloi
납작한 끈 –sel esel riesel silisel pahsel limesel wenesel isisel welisel duwesel
얌, 바나나, 돌 화덕에 구운 음식 uhmw –umw oumw rioumw sliuhmw pahumw limoumw wenoumw isuhmw weluhmw duwoumw ngoul
밤(시간), pwohng와 쓰임 –pwong opwong rioapwong silipwong pahpwong limpwong wenepwong isipwong welipwong duwoapwong
뿌리가 하나이고 줄기가 여럿인 식물 (사탕수수, 히비스커스, 대나무) –wel ewel riewel siliwel pahwel limwel wenewel isiwel welewel duwewel
물체의 작은 조각 또는 파편 –kis ekis riakis silikis pahkis limakis wenekis isikis welikis duwakis
(없음) –ehd ari (are) esil epeng alim (alen) oun (aun) eis ewel adit (edut) koadoangoul/kedingoul
바나나 송이 –i ih rial

pwiki '100', kid '1000' 등의 큰 수사는 명사 부류에 따라 굴절하지 않는다. 위의 -ehd 체계도 명사 부류와 관계 없다.[4]:137–40

서수사는 접두사 ka-를 붙여 만드는데, 특정 단어에서는 ke-로 발음된다.[4]:141–42, 215–218, 318

전치사와 전치 명사

편집

폰페이어의 전형적인 전치사는 ni와 nan 두 가지가 있다.[4] nan은 대상이 평면 또는 입체 공간 상에서 다른 대상 안에 들어 있음을 표현하고, ni는 대상이 다른 대상에 붙어 있음을 표현한다.[6]

  • Lahpo mihmi nan ihwo '그 사람이 집 안에 있다.'
  • Kahto mihmi nan pingin likou '그 고양이가 양탄자 위에 있다.'
  • Rihngo mihmi ni pehn liho '그 반지가 여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있다.'
  • Pwahlo mihmi ni kehpo '금이 컵 안에 (가) 있다.'

기초 표현

편집

아래는 폰페이어의 기초 단어와 표현이다.

  • Kaselehlie - 안녕하세요 (준격식)
  • Kaselehlie maing - 안녕하십니까 (격식)
  • Kaselehlie maing ko - 안녕들 하십니까 (격식 복수)
  • Kaselel - 안녕 (비격식)
  • Kalahngan - 고맙습니다 (격식)
  • Menlau - 고마워요 (비격식)
  • edei - 나의 이름
  • edomw - 너의 이름 (단수 비격식)
  • Ia edomw? - 네 이름은 뭐니?
  • Ia iromw? - 잘 지내니? (단수 비격식)

각주

편집
  1. Dalby, Andrew (2004).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Bloomsbury Pub Ltd. ISBN 978-0231115698. 2012년 1월 9일에 확인함. 
  2. Lewis, M. Paul, 편집. (2009). “Pohnpeian”.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6판. Dallas: SIL International online. 2012년 12월 15일에 확인함. 
  3. Rehg, Kenneth L.; Sohl, Damian G. (1979). 《Ponapean-English Dictionary》. PALI language texts: Microne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05623. 2012년 1월 8일에 확인함. 
  4. Rehg, Kenneth L.; Sohl, Damian G. (1981). 《Ponapean Reference Grammar》. PALI language texts: Microne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07184. 2012년 1월 8일에 확인함. 
  5. Rehg, Kenneth L. (2004). “Linguists, Literacy, and the Law of Unintended Consequences” (PDF). 《Oceanic Linguistics》 43 (2). 498–518면. doi:10.1353/ol.2005.0011.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3일에 확인함. 
  6. Rentz, Bradley (2017). “Pohnpeian Topological Relations”. 《Linguistics Vanguard》 3. doi:10.1515/lingvan-2016-0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