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당리 전투
학당리 전투(鶴塘里戰鬪)는 한국 전쟁 당시 벨기에 유엔 사령부와 공산군인 중국인민지원군 사이에서 발생한 국지전으로 미 미제1군단)이 서부전선의 방어선을 개선하기 위해 벌인 공세작전인 ‘코만도 작전 (Operation Commando)’수행 중 발발하였다.
학당리 전투 | |||||||
---|---|---|---|---|---|---|---|
한국 전쟁의 일부 | |||||||
| |||||||
교전국 | |||||||
중화인민공화국 | |||||||
지휘관 | |||||||
게오르그 비바리오 | 예쟌민[2] | ||||||
군대 | |||||||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 | 제141사단[3] | ||||||
병력 | |||||||
560[4] | 몇 개의 대대[4] | ||||||
피해 규모 | |||||||
10명 사망 14명 부상[5] |
98명 이상 사망[4] |
1951년 10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양측은 전투를 치렀는데 양측 간의 격전지는 38도선 인근이었던 철원군과 평강군 사이의 바로 위쪽 지역인 388고지 혹은 391고지였다.(미군은 이 고지를 391고지로 명명했다고 알려져 있음.[7])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는 중공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공군에게 피해를 입혔으며 이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유엔군은 철원군을 확실히 확보하게 되었다.
위치
편집388고지는 강원도 철원군 중강리 일대(38°-20′-22.6″N / 127°-15′-17.6″E)에 위치해 있다..
388고지는 1.5km 정도 남쪽에서 북쪽으로 뻗은 지역으로 각 방향마다 수백 미터나 되는 평지가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고립된 능선이다. 388고지는 대부분이 암석 지역이며 엄폐하기에 완벽한 지역이기도 했다. 북쪽 끝 지점은 고지에서 가장 가파르고 높은 지역이었고 중앙 지역은 최남단 지역의 암반 노두 직전에 위치한 고원 지대였다.
오보
편집한편 김희철의 전쟁사(41) - 잊혀지지 않는 전쟁, 벨기에군의 학당리 전투와 같은 언론기사에서 학당리 전투를 화살머리고지에서 벌어진 전투라고 기술하고 있으나 학당리 전투가 벌어진 388고지와 화살머리고지(281고지)는 완전히 별개의 장소로 기본 정보인 전투지역 조사도 안 하고 작성한 오보 기사이다.
전투
편집1951년 10월 10일
편집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가 학당리에 도착한 것은 1951년 10월 10일 오후 2시쯤이었다.[8] 벨기에 대대는 다른 유엔군 위치보다 4마일 정도 앞으로 돌출된 무인 지대에 도착했는데[9] 이곳은 유엔군과 중공군 사이에 있는 미국 제65보병여단이 1951년 10월 10일부터 담당하는 곳이기도 했다.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 도착 직후 C 중대가 북쪽 봉우리에 자리 잡았고 B 중대는 중앙 고원의 북쪽 구역에 참호를 파고 대기했다. 남쪽 고지는 중공군이 점령할 수 없다는 판단과 박격포 공격을 위한 본부로 사용될 것이라는 점에서 40명의 중화기중대가[10] 그 지역에 자리잡았는데 이 지역은 대대의 다른 부대와 약 300m에서 400m 정도 떨어져 있었다.[10]
벨기에 파견대는 일반적 분견대인 900명보다 훨씬 적은 560명으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로 전력이 부족했는데 이는 1951년 2월부터 한국 전쟁에 참전한 많은 용사들이 부대 전환 배치로 인해 귀국한 시점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A 중대를 구성하고 있는 룩셈부르크 파견대도 마찬가지였다. 1951년 9월 한국 전쟁에 처음 참전한 벨기에 군인들은 귀국했고 보충 병력은 아직 당도하지 않았다.[9]
10월 10일 - 11일
편집388고지 도착 직후부터 벨기에군은 중공군 76mm 포와 박격포로부터 공격을 받아야 했다.[11] 벨기에 병사 1명이 사망했고 몇몇이 부상을 입기도 했다.[11] 10월 10일 저녁에는 중공군 정찰대가 B 중대의 위치를 향해 처음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그 위치를 사수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을 인지한 미 제3보병사단의 사단장 로버트 소울 중령은 학당리를 헬리콥터를 타고 방문했다.[12] 10월 11일 밤에 벨기에군은 또다시 인접 지역인 317고지로부터 날아오는 중공군 60mm 포에 피해를 입었다.[12]
전투 발발
편집1951년 10월 12일 이른 아침 소규모의 중공군 공세가 격퇴되었다. 오전 3시 45분에 기관총의 지원을 받는 적 정찰대가 중화기중대를 공격했다. 미군이 105mm 포와 155mm 포로 중화기중대를 지원하여 적은 격퇴했다.[13] 이 공격으로 벨기에 병사 1명이 죽고 6명이 부상당했는데 부상자 중 2명은 카투사 대원이었다.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까지 B 중대의 정찰대가 488고지를 올라가 점령한 뒤 이 곳을 중공군 관찰지대로 삼았다. 2번째 정찰 부대가 317고지를 오르던 중 파괴된 적 무기고를 발견하고 학당리로 돌아왔다.[14] 그 날 동안 중공군 부대의 수많은 분대가 벨기에군의 방어선 뒤에서 피해를 입었다.[14] 두꺼운 안개가 끼면서 오후 11시 30분부터 중공군은 안개를 틈타 중화기중대에 대규모 공세를 감행하였다.
중공군 공세
편집중공군이 중화기중대에 주 공세를 감행한 것은 10월 12일 오후 11시 30분부터였다. 중공군 부대는 완벽한 침묵 속에서 철조망을 타고 정찰 부대의 최전선을 향해 진격했다. 철조망에는 기관총과 조명탄이 있었기 때문에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는 이것을 이용하면 중공군을 공격할 수 있었다.[15] 동시간대에 B 중대와 중화기중대는 격렬한 공격을 받고 있었다. 중공군 부대는 벨기에군의 사령부로 쓰이던 지역까지 점령했다. 격렬한 전투 속에서 중공군도 큰 피해를 입었다. 동이 틀 무렵 오직 4명의 중공군 병사만이 남아 있었고 그들은 포로가 되었다.[16]
오전 2시에 새로운 중공군의 공세가 중화기중대를 향해 시작되었다.[17] 그러나 오전 4시가 되자 주공세는 격퇴되었고 벨기에군은 모든 지역을 탈환했다. 정오에는 317고지가 벨기에군 수중에 떨어졌지만 C 중대의 정찰대는 488고지에서 기관총과 박격포 공격을 받게 되었다. 안개가 걷힌 후 벨기에 전선에서는 98구의 중공군 시체가 발견되었는데, 실질적인 중공군의 피해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여파
편집미국 제3보병사단에서 내려온 명령으로 벨기에군은 UN군 방어선 일대로 철수해야 했으며 이들은 362고지에 자라집았다.[16] 학당리에서 철수하는 동안 벨기에군은 자신들이 철수하는 지점으로 중포가 발사되는 것으로 목격했다.[18] 벨기에 파견대는 학당리라고 쓰여진 부대 깃발을 수여받았고 학당리는 벨기에군의 제3강하대대가 맡게 되었다.[19] 이후 벨기에군은 학당리 전투의 참전 용사들에게 학당리 훈장이라는 훈장을 추가했다.[20]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주석
- ↑ 요제프 바그너 중위가 이끄는 제1룩셈부르크 파견대는 1951년 9월 귀국하였고 제2파견대는 1952년 3월 16일에 한국으로 파병되었지만 6명의 룩셈부르크 병사들이 재입영되어 한국에서 2번째 임무를 수행했고, 이들은 벨기에 부대 휘하에서 싸웠다.
- 인용
- ↑ Crahay 1985, 192쪽
- ↑ Hu & Ma 1987, 79쪽
- ↑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117–118쪽
- ↑ 가 나 다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2011 p.38
- ↑ Crahay 1985, 125쪽
- ↑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2011, p.45
- ↑ Crahay 1985, 111쪽
- ↑ 가 나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2011, p.44
- ↑ 가 나 Crahay 1985, 113쪽
- ↑ 가 나 Crahay 1985, 114쪽
- ↑ 가 나 Crahay 1985, 116쪽
- ↑ Crahay 1985, 117쪽
- ↑ 가 나 Crahay 1985, 118–119쪽
- ↑ Crahay 1985, 120쪽
- ↑ 가 나 Crahay 1985, 126쪽
- ↑ Crahay 1985, 123쪽
- ↑ Crahay 1985, 127쪽
- ↑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2011, p.38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4일에 확인함.
- 참조 문헌
-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2000). 《History of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抗美援朝战争史)》 (중국어). Volume III. Beijing: Chinese Military Science Academy Publishing House. ISBN 7-80137-394-4.
- Crahay, Albert (1985). 《Bérets Bruns en Corée 1950–1953》. Vécu Par Des Belges (프랑스어). Brussels: Collet. OCLC 165584223.
- Hu, Guang Zheng (胡光正); Ma, Shan Ying (马善营) (1987).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Order of Battle (中国人民志愿军序列)》 (중국어). Beijing: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Publishing House. OCLC 298945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