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흥 민씨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황려 민씨에서 넘어옴)

여흥 민씨(驪興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인종조에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한 민영모(閔令謨)의 증조부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한다.

여흥 민씨
驪興閔氏
여흥 민씨 종문
나라한국
관향경기도 여주시
시조민칭도(閔稱道)
중시조민영모(閔令謨)
주요 인물민식, 민종유, 민지,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민개, 민여익, 원경왕후, 민무구, 민무질, 민무회, 민무휼, 민신, 민기, 민몽룡, 민광훈, 민점, 민희, 민정중, 민유중, 민주면, 민암, 민진주, 민진장, 민진원, 민진후, 인현왕후, 민응수, 민백상, 민종현, 민기현, 민치구, 민치상, 민치록, 민승호, 민규호, 민겸호, 민상호, 민영규, 명성황후, 민영소, 민영휘, 민영기, 민병석, 민영익, 민영환, 민복기
인구(2015년)167,124명
비고여흥 민씨 대종회

기원

편집

시조 민칭도(閔稱道의 증손자인 민영모(閔令謨)가 1138년(고려 인종 16)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태자태사(太子太師)를 역임하였다. 시조 이전에도 후백제 견훤의 신하인 일길찬(一吉粲) 민합(閔郃),[1] 918년(고려 태조 원년) 내군장군(內軍將軍)에 임명된 민강(閔剛), 1031년(덕종 즉위년) 공부상서(工部尙書)에 임명된 민가거(閔可擧),[2] 문종 때의 민창수(閔昌壽), 민창소(閔昌素) 등이 기록되어 있지만 시조 이전의 계보는 알 수 없다. 민영모가 현달하자 그의 증조부인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추대하여 족보가 만들어졌다.[3] 여흥(驪興)의 고려시대 지명인 황려 민씨(黃驪閔氏)라고도 불렸다. 민가거의 증손자인 민수(閔脩)와 민영(閔瑛)의 묘지명에 관향(貫郷)이 황려(黄驪)라고 기록되어 있고, 민가거-민창경(閔昌京)-민효후(閔孝侯)-민수·민영의 계보가 밝혀지면서 민칭도 이전에도 여흥 민씨가 있었다는 것이 고증되었다.

백운거사 이규보가 민식(閔湜)에게 올린 시 속의 "세가전벌열(世家傳閥閱) 계출(系出) 비후현(費候賢)"이라는 문장에 근거하여 노(魯)나라의 공자의 제자인 민손(閔損, 기원전 536년 ~ BC 487년 = 민자건(閔子騫))의 후예라는 설이 있다.[4] 또는 경기도 여주 향리에 있는 영월루 민굴(閔窟)에서 나온 것이 시초라는 설도 있다.

역사

편집

시조 민칭도(閔稱道)는 고려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지냈다. 2세 민세형(閔世衡), 3세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민의(閔懿)로 이어오다가 4세손 민영모(閔令謨)가 1138년(고려 인종 16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랐다.[5] 민영모의 장남 민식(閔湜)이 1167년(의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형부상서에 이르렀고, 차남 민공규(閔公珪)는 1177년(명종 7)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냈다.[6] 민영모 이후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면서 고려사 충선왕조에 왕실과 혼인이 가능한 재상지종 가문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민식(閔湜)의 증손 민지(閔漬)가 1266년(원종 7)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1325년(충숙왕 12)에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렀고, 1326년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졌다.[7]

민공규(閔公珪)의 증손인 민종유(閔宗儒)는 1309년(충선왕 1) 찬성사(贊成事)로 치사하고, 1319년(충숙왕 6) 복흥군(福興君)에 봉해졌다.[8] 민종유의 아들 민적(閔頔)은 충혜왕 때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에 올랐다. 민적(閔頔)의 후손은 4명의 왕비를 배출하며 조선 왕실의 외척으로서 명문의 위상을 유지했다. 민적(閔頔)의 셋째 아들 민변(閔抃)이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지고, 민변의 아들 민제(閔霽)의 딸이 태종의 왕비 원경왕후(元敬王后)가 되었다. 태종의 왕권강화책으로 외척인 민제의 네 아들이 제거되면서 가문의 위세가 위축되었으나 세종 이후 복권되어 민적의 둘째 아들인 민유(閔愉)의 후손 중에서 왕비를 다수 배출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42명, 왕비 4명(황후 2명), 상신(相臣) 12명, 종묘배향공신 6명을 배출하였다. 과거 급제자 수는 민식-민지 계열이 민공규-민종유 계열보다 다수를 배출하였으나, 3품 이상의 당상관 배출은 민공규-민종유 계열이 월등히 우세하였는데 이는 조선조 배출된 4명의 민씨 왕비 모두 민공규-민종유 후손이었기에 과거보다는 왕비 배출로 인한 인척 등용이 더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민적(閔頔)의 12세손인 민광훈(閔光勳)을 파조로 하는 삼방파(三房派)에서 민광훈의 셋째 아들인 민유중(閔維重)의 딸이 숙종의 왕비 인현왕후(仁顯王后)가 되면서 민유중은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에 봉군되었고, 민유중의 형인 민정중(閔鼎重)이 좌의정에 올랐으며, 민정중의 아들 민진장(閔鎭長)은 우의정에 올랐다. 인현왕후의 오빠인 민진후(閔鎭厚)는 좌참찬(左參贊)에 올랐고, 민진후의 동생인 민진원(閔鎭遠)은 영조 때 노론의 영수로서 좌의정에 이르렀다. 민진후의 현손인 민치록(閔致祿)의 딸이 고종의 비인 명성황후(明成皇后)가 되면서 여흥 민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되었다. 여은부원군(驪恩府院君) 민태호(閔台鎬)의 딸은 순종의 비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가 되었다.

정재계 저명인

편집
고려 조선
  • 민영모: 인종·명종조 평장사, 태자태사
  • 민공규: 명종조 평장사, 태자소보
  • 민식: 신종조 형부상서
  • 민희: 고려말 대장군
  • 민지: 고려말 첨의정승
  • 민훤: 고려말 찬성사
  • 민종유: 충숙조 평장사
  • 민적: 충혜조 대제학
  • 민사평: 충혜조 대사성
  • 민세형: 고려조 태자소보
  • 민의: 고려조 좌복야
  • 민명신: 고려조 태복야
  • 민휘: 고려조 문하시중
  • 민뇨: 고려조 대장군
  • 민각: 고려조 대장군
  • 민기: 고려조 평장사
  • 민방: 고려조 좌복야
  • 민상정: 공민조 찬성사
  • 민순: 고려조 상서
  • 민선: 고려조 찬성사
  • 민유: 고려조 대제학
  • 민서: 고려조 도평의사
  • 민변 : 여흥군
  • 민개: 공양조 대사헌
  • 민여익: 고려조 시중 조선조 호조판서
  • 민제: 정종조 영의정, 태종조 좌의정
  • 원경왕후: 조선 3대 왕 태종의 왕후이자 세종의 모후
  • 민무구: 원경왕후의 동생이자 민무질의 형
  • 민무질: 민무구의 동생
  • 민무회: 조선조 제학
  • 민의생: 조선조 예조판서
  • 민수생: 조선조 이조판서
  • 민효중: 중종조 좌찬성
  • 민몽룡: 조선조 우의정
  • 민기: 선조조 우의정
  • 민순: 조선조 중추부사
  • 민유경: 조선조 중추부사
  • 민응협: 조선조 참판
  • 민정중: 숙종조 좌의정
  • 인현왕후: 조선 19대 왕 숙종의 계후
  • 민진원: 숙종조 우의정, 영조조 좌의정
  • 민진주: 숙종조 영의정
  • 민진장: 숙종조 중추부사, 우의정
  • 민취도: 숙종조 형조판서
  • 민승세: 조선조 대제학
  • 민희: 숙종조 좌의정
  • 민암: 조선조 우의정
  • 민백상: 영조조 우의정
  • 민응수: 영조조 우의정
  • 민종묵: 고종조 형조·병조판서
조선 말기 ~ 대한제국
  • 민치록: 고종조 영의정
  • 민치도: 고종조 애국지사
  • 민치방 : 독립 운동 (일본군인이 총검으로 찔러 평생 팔을 쓰지 못하고 여생을 보냄)
  • 민치영 :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고 일제의 밀정을 처단하였다.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훈받았다
  • 명성황후: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초대 황제인 고종의 정후(正后)
  • 여흥부대부인: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초대 황제인 고종의 친어머니
  • 민승호: 조선의 관료. 명성황후의 양오빠이자 여흥부대부인의 친동생
  • 민규호: 고종조 우의정
  • 민겸호: 조선의 관료. 여흥부대부인의 친동생
  • 민태호(閔台鎬): 조선의 관료. 순명효황후와 민영익의 친아버지
  • 순명효황후: 조선 27대 왕이자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의 정후(正后)
  • 민영우: 고종조 공조판서
  • 민영규: 의정부 의정대신
  • 민영소: 조선조 이조·호조·예조·병조판서
  • 민영휘: 조선 - 대한제국의 관료. 휘문고등학교의 전신인 휘문의숙의 설립자
  • 민영기(閔泳綺): 탁지부 대신
  • 민영익: 조선 - 대한제국의 관료
  • 민영환: 조선 - 대한제국의 관료
  • 민병석: 조선 - 대한제국의 관료
대한민국
  • 민영남: 전남도지사
  • 민영훈: 제일은행장, 은행감독원장
  • 민관식: 국회의원, 국회부의장, 문교부 장관
  • 민기식: 육군참모총장, 국회의원
  • 민후식: 해태제과 회장
  • 민병권: 육군중장, 국회의원, 무임소장관
  • 민병돈: 육군중장
  • 민병두: 국회의원
  • 민병주: 국회의원
  • 민병철: 중앙대학교 교수
  • 민병덕: 국회의원
  • 민병초: 국회의원
  • 민병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 민병철: 서울대학교 교수
  • 민병구: 서울의과대학 교수
  • 민병수: 서울대학교 교수
  • 민병근: 중앙대학교 부총장
  • 민병덕: 해태유업 대표이사
  • 민병도: 한국은행 총재
  • 민갑룡: 경찰청장
  • 민일영: 대법관
  • 민복기: 법무부 장관, 대법원장
  • 민봉기: 국회의원
  • 민은기: 서울대학교 교수
  • 민항기: 대신제과 회장
  • 민만기: 고려대학교 교수
  • 민문기: 대법관
  • 민영기: 국립천문대장
  • 민중기: 대한제당 대표이사
  • 민양기: 서울대학교 교수
  • 민두기: 서울대학교 교수
  • 민철기: 신흥학원 이사장
  • 민덕기: 크라운맥주 사장
  • 민경삼: SSG랜더스 대표이사
  • 민유성: 산업은행장
  • 민경배: 육군대장
  • 민경욱: 국회의원
  • 민경중: 육군중장

본관

편집

고구려의 골내근현(骨內斤縣)이었다. 신라 경덕왕이 황효현(黃驍縣)이라 고쳤다. 고려 초에 황려현(黃驪縣)으로 개칭하고, 1257년(고종 44) 영의현(永義縣)으로 개칭하였으며,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조선 태종 때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친향이라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었다. 1469년(예종 1)에 여주목(驪州牧)으로 개칭하고, 1896년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2013년에 여주시로 승격되었다.

항렬자

편집
  • 대동항렬 (시조로 1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백(百) 口혁(爀)
口현(顯)
치(致) 口용(鏞)
口호(鎬)
영(泳) 口식(植) 병(丙) 口기(基)
口규(圭)
口배(培)
경(庚) 口홍(泓)
口원(源)
동(東) 口희(熙) 형(馨)
재(在)
口석(錫) 준(準) 口권(權) 용(容) 口범(範) 선(善) 口순(淳) 상(相) 口영(榮) 원(遠) 口종(鍾) 태(泰) 口주(柱) 양(陽)

공목공파

편집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口세(世) 종(種) 口훈(勳) 재(載) 口현(鉉) 태(泰) 口근(根)
口동(東)
경(慶)
병(炳)
형(炯)
口준(準) 사(思) 口구(九) 회(會) 口은(殷) 성(成) 口범(範) 강(康) 口재(宰)

역암공파

편집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창(昌) 口상(祥) 경(景) 口행(行) 응(應) 口진(鎭) 승(承)
시(始)
口영(榮) 광(光) 사(思) 口구(九) 회(會) 口은(殷) 성(成) 口범(範) 강(康) 口재(宰)

돈녕군파

편집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금(金) 口건(騫) 광(光) 중(重) 口현(鉉) 水변(외자) 口근(根) 口섭(燮) 재(在) 종(鍾) 口영(永) 口래(來) 형(炯) 성(成) 口범(範) 강(康) 口재(宰)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편집

인구

편집
  • 1985년 32,858가구 137,317명
  • 2000년 43,887가구 142,572명
  • 2015년 려흥 민씨 2,199명 + 여흥 민씨 159,522명 + 여주 민씨 5,388명 + 려주 민씨 15명 = 167,124명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