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엔후이아목

(후시엔후이아목에서 넘어옴)

푸시엔후이아목(Fuxianhuiida)은 캄브리아기 중국에 서식했던 멸종한 절지동물 가운데 하나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모든 종들은 청지앙 생물군(마오텐산 혈암) 지역이 포함된 윈난성의 캄브리아기 제2세 시절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 오래 전부터 절지동물 줄기군의 일종으로 여겨졌으나[1] 근래의 연구에서는 대악류(Mandibulata)에 매우 가까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

푸시엔후이아목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중기
푸시엔후이아(위쪽), 알라카라스(왼쪽), 청쟝고카리스(오른쪽)의 복원도
푸시엔후이아(위쪽), 알라카라스(왼쪽), 청쟝고카리스(오른쪽)의 복원도
광웨이카리스
광웨이카리스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미분류): 대악동물군
목: 푸시엔후이아목(Fuxianhuiida)
Bousfield, 1995
  • 푸시엔후이아과
  • 청지앙고카리스과
  • 량왕사니아속
  • 산커우이아속

수많은 화석표본들이 예외적으로 연조직이 잘 보존된 채 발굴되는데, 잘 보존된 내장과 신경조직은 이 동물의 기초 계통발생학적 위치를 감안해 전체적으로 절지동물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3]

특징 및 생태

편집
 
알라카리스 구조도(우하단은 비교용인 청지앙고카리스의 전면 구조도)

이들의 최대 크기는 15cm에 달하며 저서성 포식자 또는 청소동물이었을 것으로 여긴다.[4] 푸시엔후이아목의 외골격은 광물화가 되어 있지 않으며, 체절의 수는 15개에서 40개 사이에 있다. 이 동물의 머리는 머리방패가 덮고 있으며 전경판에 연결된 눈자루와 더듬이, 나비 모양의 구하체(hypostome), 그리고 뒤쪽으로 향한 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안휘아목의 동물들은 먹이를 다듬는 데 사용되는 결각이 나 있는 특수한 더듬이 후방 부속지를 가지고 있다.[4] 청지앙고카리스과 절지류에게서 발견되는 악기(顎基)의 존재는 이들이 먹이의 단단한 껍질을 깨부숴 안에 들어있는 연약한 살을 먹었을(durophagy) 가능성을 시사한다.[1] 이 동물 분류군에 속한 종들 다수가 몸통 뒤로 갈수록 가슴 체절의 폭이 좁아지며 몸통 끝에는 가시가 나 있거나 없는 지느러미 하나 또는 한 쌍이 존재한다. 가슴은 두 가지로 나뉘며, 앞의 넓은 앞전가슴(전후흉부. opisthothorax)와 후방의 폭이 좁고 다리가 없는 고리 모양의 복부가 있다.[4]

분류

편집

Per Liu et al., 2020 논문에 기반한 계통도이다.[5]

푸시엔후이아목

산커우이아속(Shankouia)

량왕사니아속(Liangwangshania)

청지앙고카리스과(Chengjiangocarididae)

알라카리스속(Alacaris)

청지앙고카리스속(Chengjiangocaris)

푸시엔후이아과(Fuxianhuiidae)

푸시엔후이아속(Fuxianhuia)

광웨이카리스속(Guangweicaris)

샤오카리스속(Xiaocaris)

산커우이아(학명 Shankouia zhenghei 산커우이아 정헤이[*])는 화석 표본 사이의 변형을 고려하여 성적 이형으로 보던 량왕사니아(학명Liangwangshania biloba 량왕사니아 빌로바[*])의 이명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6]

각주

편집
  1. Yang, Jie; Ortega-Hernández, Javier; Legg, David A.; Lan, Tian; Hou, Jin-bo; Zhang, Xi-guang (2018년 2월 1일). “Early Cambrian fuxianhuiids from China reveal origin of the gnathobasic protopodite in euarthropods”. 《Nature Communications》 9 (1): 470. Bibcode:2018NatCo...9..470Y. doi:10.1038/s41467-017-02754-z. ISSN 2041-1723. PMC 5794847. PMID 29391458. 
  2. Aria, C.; Zhao, F.; Zhu, M. (2021). “Fuxianhuiids are mandibulates and share affinities with total-group Myriapod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78 (5). Bibcode:2021JGSoc.178..246A. doi:10.1144/jgs2020-246. S2CID 233952670. 
  3. Yang, Jie; Ortega-Hernández, Javier; Butterfield, Nicholas J.; Liu, Yu; Boyan, George S.; Hou, Jin-bo; Lan, Tian; Zhang, Xi-guang (2016년 3월 15일). “Fuxianhuiid ventral nerve cord and early nervous system evolution in Panarthropod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113 (11): 2988–2993. Bibcode:2016PNAS..113.2988Y. doi:10.1073/pnas.1522434113. ISSN 0027-8424. PMC 4801254. PMID 26933218. 
  4. Ortega-Hernández, Javier; Yang, Jie; Zhang, Xi-guang (2018년 7월 1일). “Fuxianhuiids”. 《Current Biology》 (영어) 28 (13): R724–R725. doi:10.1016/j.cub.2018.04.042. PMID 29990450. 
  5. Liu, Yu; Ortega-Hernández, Javier; Chen, Hong; Mai, Huijuan; Zhai, Dayou; Hou, Xianguang (2020년 12월). “Computed tomography sheds new light on the affinities of the enigmatic euarthropod Jianshania furcatu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BMC Evolutionary Biology》 (영어) 20 (1): 62. doi:10.1186/s12862-020-01625-4. ISSN 1471-2148. PMC 7268425. PMID 32487135. 
  6. Chen, Ailin; Chen, Hong; Legg, David A.; Liu, Yu; Hou, Xian-guang (September 2018). “A redescription of Liangwangshania biloba Chen, 2005, from the Chengjiang biota (Cambrian, China), with a discussion of possible sexual dimorphism in fuxianhuiid arthropods”. 《Arthropod Structure & Development》 (영어) 47 (5): 552–561. doi:10.1016/j.asd.2018.08.001. PMID 30125735. S2CID 52053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