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엔후이아목
푸시엔후이아목(Fuxianhuiida)은 캄브리아기 중국에 서식했던 멸종한 절지동물 가운데 하나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모든 종들은 청지앙 생물군(마오텐산 혈암) 지역이 포함된 윈난성의 캄브리아기 제2세 시절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 오래 전부터 절지동물 줄기군의 일종으로 여겨졌으나[1] 근래의 연구에서는 대악류(Mandibulata)에 매우 가까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
푸시엔후이아목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중기 | ||
푸시엔후이아(위쪽), 알라카라스(왼쪽), 청쟝고카리스(오른쪽)의 복원도 | ||
광웨이카리스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미분류): | 대악동물군 | |
목: | † 푸시엔후이아목(Fuxianhuiida) Bousfield, 1995 | |
속 | ||
|
수많은 화석표본들이 예외적으로 연조직이 잘 보존된 채 발굴되는데, 잘 보존된 내장과 신경조직은 이 동물의 기초 계통발생학적 위치를 감안해 전체적으로 절지동물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3]
특징 및 생태
편집이들의 최대 크기는 15cm에 달하며 저서성 포식자 또는 청소동물이었을 것으로 여긴다.[4] 푸시엔후이아목의 외골격은 광물화가 되어 있지 않으며, 체절의 수는 15개에서 40개 사이에 있다. 이 동물의 머리는 머리방패가 덮고 있으며 전경판에 연결된 눈자루와 더듬이, 나비 모양의 구하체(hypostome), 그리고 뒤쪽으로 향한 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안휘아목의 동물들은 먹이를 다듬는 데 사용되는 결각이 나 있는 특수한 더듬이 후방 부속지를 가지고 있다.[4] 청지앙고카리스과 절지류에게서 발견되는 악기(顎基)의 존재는 이들이 먹이의 단단한 껍질을 깨부숴 안에 들어있는 연약한 살을 먹었을(durophagy) 가능성을 시사한다.[1] 이 동물 분류군에 속한 종들 다수가 몸통 뒤로 갈수록 가슴 체절의 폭이 좁아지며 몸통 끝에는 가시가 나 있거나 없는 지느러미 하나 또는 한 쌍이 존재한다. 가슴은 두 가지로 나뉘며, 앞의 넓은 앞전가슴(전후흉부. opisthothorax)와 후방의 폭이 좁고 다리가 없는 고리 모양의 복부가 있다.[4]
분류
편집Per Liu et al., 2020 논문에 기반한 계통도이다.[5]
| ||||||||||||||||||||||||||||||||||||||||
산커우이아(학명: Shankouia zhenghei 산커우이아 정헤이[*])는 화석 표본 사이의 변형을 고려하여 성적 이형으로 보던 량왕사니아(학명: Liangwangshania biloba 량왕사니아 빌로바[*])의 이명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6]
각주
편집- ↑ 가 나 Yang, Jie; Ortega-Hernández, Javier; Legg, David A.; Lan, Tian; Hou, Jin-bo; Zhang, Xi-guang (2018년 2월 1일). “Early Cambrian fuxianhuiids from China reveal origin of the gnathobasic protopodite in euarthropods”. 《Nature Communications》 9 (1): 470. Bibcode:2018NatCo...9..470Y. doi:10.1038/s41467-017-02754-z. ISSN 2041-1723. PMC 5794847. PMID 29391458.
- ↑ Aria, C.; Zhao, F.; Zhu, M. (2021). “Fuxianhuiids are mandibulates and share affinities with total-group Myriapod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78 (5). Bibcode:2021JGSoc.178..246A. doi:10.1144/jgs2020-246. S2CID 233952670.
- ↑ Yang, Jie; Ortega-Hernández, Javier; Butterfield, Nicholas J.; Liu, Yu; Boyan, George S.; Hou, Jin-bo; Lan, Tian; Zhang, Xi-guang (2016년 3월 15일). “Fuxianhuiid ventral nerve cord and early nervous system evolution in Panarthropod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113 (11): 2988–2993. Bibcode:2016PNAS..113.2988Y. doi:10.1073/pnas.1522434113. ISSN 0027-8424. PMC 4801254. PMID 26933218.
- ↑ 가 나 다 Ortega-Hernández, Javier; Yang, Jie; Zhang, Xi-guang (2018년 7월 1일). “Fuxianhuiids”. 《Current Biology》 (영어) 28 (13): R724–R725. doi:10.1016/j.cub.2018.04.042. PMID 29990450.
- ↑ Liu, Yu; Ortega-Hernández, Javier; Chen, Hong; Mai, Huijuan; Zhai, Dayou; Hou, Xianguang (2020년 12월). “Computed tomography sheds new light on the affinities of the enigmatic euarthropod Jianshania furcatu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BMC Evolutionary Biology》 (영어) 20 (1): 62. doi:10.1186/s12862-020-01625-4. ISSN 1471-2148. PMC 7268425. PMID 32487135.
- ↑ Chen, Ailin; Chen, Hong; Legg, David A.; Liu, Yu; Hou, Xian-guang (September 2018). “A redescription of Liangwangshania biloba Chen, 2005, from the Chengjiang biota (Cambrian, China), with a discussion of possible sexual dimorphism in fuxianhuiid arthropods”. 《Arthropod Structure & Development》 (영어) 47 (5): 552–561. doi:10.1016/j.asd.2018.08.001. PMID 30125735. S2CID 52053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