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따오기황새
흰따오기황새(Milky stork)는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맹그로브숲에 서식하는 황새과에 속한 큰 새이며, 캄보디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이다. 현재 키는 약 91~97cm, 날개 길이는 약 43.5~50cm, 꼬리 길이는 약 14.5~17cm이다. 깃털은 날개와 꼬리의 깃털 몇 개를 제외하면 흰색이다. 1980년대 이후로 서식지 파괴, 남획, 병아리 불법 밀렵으로 인해 전 세계 흰따오기황새 개체 수는 5,000마리에서 2,000마리로 감소했다. 이 황새는 IUCN 적색 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흰따오기황새 | |
---|---|
싱가포르 숭아이 불로 습지 보호지구의 흰따오기황새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황새목 |
과: | 황새과 |
속: | 따오기황새속 |
종: | 흰따오기황새 (M. cinerea) |
학명 | |
Mycteria cinerea | |
(Raffles, 1822) | |
흰따오기황새의 분포 | |
흰따오기황새의 분포 지역 (초록색) | |
보전상태 | |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
묘사
편집성체
편집중간 크기의 흰따오기황새는 키가 91~97cm로, 밀접하게 관련된 홍대머리황새보다 약간 작다.[1][2] 성체 깃털은 날개와 꼬리의 검은색 비행 깃털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흰색이며, 녹색 광택을 가지고 있다.[2] 날개 길이는 435~500mm[3][4], 꼬리 길이는 145~170mm이다.[2][4] 깃털의 넓은 흰색 부분은 번식기 동안 옅은 크림색 노란색으로 완전히 덮여 있어 "Milky(우유)"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5][2] 이 크림색 색조는 번식 중 깃털에는 없다.[6] 날개 덮개와 등 깃털은 더 옅고 거의 흰색의 끝 부분 띠를 가지고 있다.[5][2]
맨얼굴 피부는 회색 또는 짙은 적갈색이며, 검은색 불규칙한 얼룩이 있다.[2] 번식 중 맨얼굴 피부는 깊은 와인색으로, 부리 밑부분과 각진 부분의 구멍에 검은 자국이 있으며 눈 주위에는 더 밝은 붉은 피부의 고리가 있다.[5][2][6] 구애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얼굴 피부는 옅은 주황색-빨간색으로 변한다.[2] 번식하는 새들은 날개 아래쪽을 따라 좁은 분홍색 띠의 맨얼굴 피부를 보인다.[2]
아래로 굽은 부리는 칙칙한 분홍빛 노란색이며 때로는 흰색으로 기울어져 있다. 부리의 길이는 194~275mm이다.[3][7] 다리는 칙칙한 붉은 살색이며[2], 부척골의 길이는 188~225mm이다.[7] 발가락이 길고 두꺼워서 발 표면적을 증가시켜 먹이를 찾을 때 부드러운 진흙 위에 서서 걷는 압력을 줄여 새가 먹이를 찾을 때 크게 가라앉지 않도록 한다.[8]
구애 중에는 부리가 짙은 노란색으로 변하고 밑부분이 회색빛 황갈색을 띠며 다리는 짙은 자홍색으로 변한다. 성별은 비슷하지만 평균적인 수컷은 더 길고 얇은 부리로 약간 더 크다.[2]
성체는 흰 머리 깃털, 노란색-주황색 부리, 분홍색 다리로 들판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8] 흰 몸 깃털과 검은 날개 덮개로 백로와 작은 부관과 같은 다른 물떼새와 구별된다.[9] 그러나 유황은 부분적으로 동정적인 아시아열린부리황새 및 다양한 흰 백로 종과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로는 더 작고 완전히 흰색이며, 아시아열린부리황새도 더 작고 회색 부리로 인해 유황과 구별된다.[2] 베트남 주변의 분포 범위 북부에서는 유황이 밀접하게 관련된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유황과 동조하여 가끔 발생한다.[2] 그러나 유황은 성체 깃털의 유황과 구별되며, 검은색과 흰색 가슴 밴드와 날개 덮개, 분홍색 내부 보조개, 더 제한된 맨머리 피부, 일반적으로 더 밝은 부드러운 부분 착색으로 구별된다.[1][2]
다른 황새와 마찬가지로 유황은 보통 열을 이용해 지역을 이동한다. 최대 열두 마리의 새 무리가 열을 타고 10시에서 14시 사이에 높은 고도로 날아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10] 번식지와 먹이 공급장에서는 한 마리의 새가 빠르게 이륙하고 다른 새가 이륙한다는 점에서 비행이 전염성이 있다.[2] 평균 펄럭이는 속도는 분당 205회로 추정된다.[11]
아성체
편집부화 시 병아리는 흰색 솜털로 덮여 있다. 윤곽 깃털은 10-14일까지 나타나기 시작하며, 4~6주 후에는 완전한 깃털로 가득 차게 된다.[2][12] 이 깃털은 일반적으로 연한 회갈색이며 등, 엉덩이와 꼬리 덮개는 흰색이고, 날개 아래와 몸 아래에는 흰색 솜털이 남아 있다. 검은색 날개와 꼬리 깃털에는 흰색과 짙은 갈색 날개 안감이 있고, 회색 갈색 머리에는 뚜렷한 깃털이 있으며, 칙칙한 노란색 맨살 부분이 있다.[1][2][6][12] 어린 개체가 도망친 지 약 10주 후에는 머리 깃털이 사라지기 시작하고[12], 이마와 눈 주위 머리의 어둡고 맨살 부분이 드러난다.[2][12] 이러한 어두운 맨살 부분은 때때로 칙칙한 주황색 반점이 산재해 있다.[12] 둥지는 또한 짙은 갈색의 회색 부리와 부리와 눈 주위의 피부를 가지고 있다.[12]
생후 3개월이 되면 이전에 깃털이 달린 머리가 완전히 대머리가 되고 둔탁한 부리가 따뜻한 노란색으로 변하며 끝이 녹색을 띠게 된다.[2][12] 두 가지 특징 모두 성체의 특징이다. 흰따오기황새 개체는 홍대머리황새 개체와 거의 동일해 보이지만[13], 완전히 검은색 비행 깃털과 대조되는 옅은 밑날개 안감으로 홍대머리황새 개체와 구별된다고 한다.[2]
분포 및 서식지
편집흰따오기황새의 분포 범위는 동남아시아로 제한되어 있으며, 널리 분포되어 있다.[9] 이 종은 수마트라섬 (세계적인 거점), 자와섬, 술라웨시섬, 말레이시아 동부, 캄보디아, 베트남 남부 (1963~75년 전쟁 이후 대부분 재식민지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 발리섬, 숨바와섬, 롬복섬, 부톤섬에서 발견된다. 역사적으로 태국 남부에서 발견되었지만[14], 현재는 매우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5][16] 1935년부터 채취한 태국 반도의 세툴에서 완벽한 성체 수컷 흰따오기황새 표본 중 하나가 나중에 싱가포르 국립 대학의 동물학 참조 컬렉션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 종이 이전에 이곳에 서식했음을 시사한다.[16] 발견된 표본은 태국에서 보고된 최초이자[1] 아마도 마지막 흰따오기황새였을 것이다.[16] 하지만 이 황새는 여전히 가끔 부랑자로 태국을 방문하기도 한다. 발리섬과 숨바섬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도[17] 부랑자이며 수마트라섬, 자와섬[18], 술라웨시섬 (모두 인도네시아 내)에 서식하고 있다. 흰따오기황새는 1977년 술라웨시섬에서 다섯 마리의 개체가 발견되었을 때 처음 보고되었다.[19] 마두라섬은 1996년 170명이 목격된 후 중요한 개체군을 지원할 수도 있다.
흰따오기황새는 이전에는 동남아시아 전역에 걸쳐 더 널리 분포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말레이시아 반도 해안에 널리 분포했지만 현재는 페락주의 마탕 맹그로브숲으로 제한되어 있다.[20][2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BirdLife International (2016). “Mycteria cinerea”.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22697651A93627701. doi:10.2305/IUCN.UK.2016-3.RLTS.T22697651A93627701.en. 2022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Hancock JA, Kushlan JA, Kahl, MP. (1992).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 ↑ 가 나 Delacour J, Jabouille P. (1931).Les oiseaux de I’Indochine Francaise, 1–4. Paris: Exposition Coloniale Internationale.
- ↑ 가 나 Kuroda N. (1936). Birds of the Island of Java. Tokyo.
- ↑ 가 나 다 Kahl M. P. (2008). “Comparative ethology of the Ciconiidae. The wood-storks (Genera Mycteria and Ibis)”. 《Ibis》 114: 15–29. doi:10.1111/j.1474-919X.1972.tb02586.x.
- ↑ 가 나 다 Elliot A. (1992). "Family Ciconiidae (storks)", pp. 436–465 in del Hoyo J, Elliot A, Sargatal J. (eds.)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I. Lynx Edicions, Barcelona.
- ↑ 가 나 Robinson HC, Chasen FN. (1936). The Birds of the Malay Peninsula, Vol. 3. HF and G Witherby, London.
- ↑ 가 나 Swennen C, Marteijn EC (1987). “Notes on the feeding behaviour of the Milky Stork Mycteria cinerea” (PDF). 《Forktail》 3: 63–66.
- ↑ 가 나 Iqbal M. 2008. Survey and conservation of milky stork Mycteria cincerea in Sumatra Indonesia. Final report to Rufford Small Grant.
- ↑ Hoogerwerf A, Siccama GF (1937). “De avifauna van Batavia en omstreken”. 《Ardea》 26: 116–159.
- ↑ Kahl MP (1971). “Flapping rates of storks in level flight”. 《The Auk》 88 (2): 428. doi:10.2307/4083891. JSTOR 408389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Hoogerwerf A. (1936). “Met de camera naar de nimmerzatten”. 《Tropische Natur》 25: 83–96.
- ↑ Yee, E. Y.; Zainuddin, Z. Z.; Ismail, A; Yap, C. K.; Tan, S. G. (2013). “Identification of hybrids of painted and milky storks using FTA card-collected blood, molecular markers, and morphologies” (PDF). 《Biochemical Genetics》 51 (9–10): 789–99. doi:10.1007/s10528-013-9607-8. PMID 23846110. S2CID 254281344.
- ↑ Byers O, Brouwer K, Coulter M, Seal US. (1995). Stork, Ibis and Spoonbill Conservation Assignment Management Plan: Working Document. IUCN/SSC Conservation Breeding Specialist Group: Apple Valley, MN.
- ↑ Treesucon U, Round PD. (1990). Report on threatened birds in Thailand. Tiger Paper 7: 1–9.
- ↑ 가 나 다 Morioka H, Yan C (1990). “A record for the Milky Stork for Thailand”.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38 (3): 149–150. doi:10.3838/jjo.38.149.
- ↑ Silvius MJ, Verheugt WJ (1989). “The status of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in Indonesia”. 《Kukila》 4 (3–4): 119–132.
- ↑ “Milky Stork (Ibis cinereus) and birds of the Javan Plain (PDF Download Available)”. 《ResearchGate》 (영어). 2017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Escott CJ, Holmes DA (1979). “The avifauna of Sulawesi, Indonesia: faunistic notes and additions”. 《Bulletin of the British Ornithologists' Club》 100: 189–194.
- ↑ Li D, Wei Z, Yatim SH, Howes J, Ilias R. (2006). Status overview and recommend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milky stork Mycteria cinerea in Malaysia. Final report of the 2004/2006 milky stork surveys in the Matang Mangrove Forest, Perak, Malaysia.
- ↑ Ismail A, Rahman F (2016). “Current Status of the Milky Stork Re-introduction Programme in Malaysia and Its Challenges”. 《Tropical Life Sciences Research》 27 (2): 13–24. doi:10.21315/tlsr2016.27.2.2. PMC 5031160. PMID 27688848.
외부 링크
편집- Species factsheet – BirdLife Intern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