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GC1

방패자리의 다수의 적색초거성이 존재하는 무거운 산개성단
(RSGC1-F01에서 넘어옴)

RSGC1 (Red Supergiant Cluster 1)은 우리은하에 있는 젊은 무거운 산개성단으로 여러 적외선 조사에서 생성된 데이터에서 2006년에 발견되었으며 전례 없는 수의 적색초거성 구성원이 존재하여 이러한 이름을 얻었다.[3] 이 성단은 태양으로부터 약 6.6kpc 거리에 있는 방패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막대의 북쪽 끝과 두 개의 주요 나선팔 중 하나인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의 내부 부분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4]

RSGC1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RSGC1의 이미지
관측 정보 J2000
별자리 방패자리
적경 18h 36m 29s[1]
적위 −06° 52′ 48″[1]
겉보기 등급 관측 불가[2]
크기 1.5 ± 0.3 pc[2]
물리적 성질
질량 ~3 × 104[2]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RSGC1의 나이는 1,000만년에서 1,400만년으로 추정되며 심하게 가려져 가시광선으로 관측할 수 없다. 이 성단은 스티븐슨 2, RSGC3, 알리칸테 7, 알리칸테 8, 알리칸테 10으로 알려진 다른 적색초거성 무리와 가깝다. RSGC1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3만배로 추정되며 이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무거운 산개성단 중 하나다.[2]

관측된 질량이 태양질량의 약 16~20배인 적색초거성은 II형 초신성 전구별이다. 200개 이상의 주계열성이 8 M 이상의 질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었으며 이를 통해 주계열맞추기로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14개의 적색초거성 구성원이 확인되었다.[1]

구성원

편집
눈에 띄는 초거성[2][5]
이름 분광형 등급 (K 밴드) 유효온도 (K) 절대등급 광도 (L) 반지름 (R)
F01 M3 / M5[6] 4.962 3,550[6] −11.75 335,000[6] 1450[7]-1,530+330
−424
[6]
F02 M4 / M2[6] 5.029 3,700[6] −11.92 215,000[6] 1,128[6]
F03 M4 / M5[6] 5.333 3,500[6] −11.28 120,000[6] 942[6]
F04 M0 / M1[6] 5.342 3,800[6] −11.24 380,000[6] 1,422[6]
F05 M6 / M4[6] 5.535 3,500[6] −11.36 190,000[6] 1,185[6]
F06 M5[6] 5.613 3,400[6] −10.70 230,000[6] 1,382[6]
F07 M2 / M3[6] 5.631 3,600[2] - 3,800[6] −10.81 190,000[6] 1,006[6]
F08 M3[6] 5.654 3,600[6] −11.33 200,000[6] 1,150[6]
F09 M3 / M6[6] 5.670 3,600[6] −10.92 150,000[6] 996[6]
F10 M5 / M3[6] 5.709 3,600[6] −10.86 235,000[6] 1,246[6]
F11 M1 / M4[6] 5.722 3,800[6] −11.03 200,000[6] 1,032[6]
F12[3] M0[6] 5.864 3,900[6] −10.70 190,000[6] 955[6]
F13 M3 / K2[6] 5.957 4,200[6] −11.39 290,000[6] 1,017[6]
F14 M3 / M1[6] 6.167 3,700[6] −10.25 74,000[6][2] 662[6]
F15 G0 / G6[6] 6.682 6,850[2] −10.07 229,000[2] - 620,000[6] 340[2]

RSGC1-F01

편집

RSGC1-F01은 RSGC1에 위치한 적색초거성이다. 반경은 태양의 약 1,450[7]-1,530[6]배로 계산되었으며(반경은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됨) 지금까지 발견된 별 중 가장 큰 별 중 하나다. 이는 태양의 35억 8천만 배의 부피에 해당하며 태양계의 중심에 배치되면 광구목성의 궤도를 집어삼킬 것이다.

RSGC1-F02

편집

RSGC1-02는 RSGC1에 위치한 적색초거성이다. 반경은 태양의 약 1,499[2]-1,549[5]배 또는 1,128[6]배로 계산되었으며(반경은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됨) 지금까지 발견된 별 중 가장 큰 별 중 하나다. 이는 태양의 33억 7천만 배와 37억 2천만배의 부피에 해당하며 태양계의 중심에 배치되면 광구목성의 궤도를 집어삼킬 것이다.

RSGC1-F13

편집

RSGC1-F13은 다른 별들에 비해 유난히 붉은 독특한 적색초거성으로[7] 성단 내에서 질량 감소율이 (2.7±0.8)×10−5 M/yr로 가장 높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6] 또한 별에서 SiO, H2O 및 OH 메이저가 감지되었고[6] ALMA는 F13에서 다른 4개의 초거성들과 함께 별들로부터 반지름의 수백배의 거리로 확장되어 있는 CO 방출을 감지했으며[7] CO 질량 손실률은 4.2×10−5 M/yr로 추정되는데 이는 연구의 다른 적색초거성에 대한 예측값보다 10배 정도 더 크다.[7] F13은 비슷한 극단적인 적색초거성인 큰개자리 VY와 비교되고 둘 다 더 강한 어쩌면 분화성의 질량 손실을 보여준다.[7]

각주

편집
  1. Froebrich, D.; Scholz, A. (2013). “The main sequence of three red supergiant cluste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36 (2): 1116–1122. arXiv:1308.6436. Bibcode:2013MNRAS.436.1116F. doi:10.1093/mnras/stt1633. ISSN 0035-8711. S2CID 31935943. 
  2. Davies, B.; Figer, D. F.; Law, C. J.; Kudritzki, R. P.; Najarro, F.; Herrero, A.; MacKenty, J. W. (2008). “The Cool Supergiant Population of the Massive Young Star Cluster RSGC1”. 《The Astrophysical Journal676 (2): 1016–1028. arXiv:0711.4757. Bibcode:2008ApJ...676.1016D. doi:10.1086/527350. ISSN 0004-637X. S2CID 15639297. 
  3. Figer, D. F.; MacKenty, J. W.; Robberto, M.; Smith, K.; Najarro, F.; Kudritzki, R. P.; Herrero, A. (2006). “Discovery of an Extraordinarily Massive Cluster of Red Supergiants”. 《The Astrophysical Journal》 643 (2): 1166–1179. arXiv:astro-ph/0602146. Bibcode:2006ApJ...643.1166F. doi:10.1086/503275. S2CID 18241900. 
  4. Davies, B.; Figer, D. F.; Kudritzki, R. P.; MacKenty, J.; Najarro, F.; Herrero, A. (2007). “A Massive Cluster of Red Supergiants at the Base of the Scutum‐Crux Arm”. 《The Astrophysical Journal》 671 (1): 781–801. arXiv:0708.0821. Bibcode:2007ApJ...671..781D. doi:10.1086/522224. S2CID 1447781. 
  5. Fok, Thomas K. T.; Nakashima, Jun-ichi; Yung, Bosco H. K.; Hsia, Chih-Hao; Deguchi, Shuji (2012년 11월 20일). “Maser Observations of Westerlund 1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n Maser Properties of Red Supergiants Associated with Massive Clusters”. 《The Astrophysical Journal》 760 (1): 65. arXiv:1209.6427. Bibcode:2012ApJ...760...65F. doi:10.1088/0004-637X/760/1/65. hdl:10722/181706. ISSN 0004-637X. S2CID 53393926. 
  6. Humphreys, Roberta M.; Helmel, Greta; Jones, Terry J.; Gordon, Michael S. (August 2020). “Exploring the Mass Loss Histories of the Red Super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160 (3): 145. arXiv:2008.01108. Bibcode:2020AJ....160..145H. doi:10.3847/1538-3881/abab15. S2CID 220961677. 
  7. Decin, Leen; Richards, Anita M. S.; Marchant, Pablo; Sana, Hugues (2023년 3월 17일). “ALMA detection of CO rotational line emission in red supergiant stars of the massive young star cluster RSGC1 -- Determination of a new mass-loss rate prescription for red supergiants”. arXiv:2303.09385 [astro-ph.SR].